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6:32:25

파계사

파일:파계사 전경 문화재청.jpg
파계사(把溪寺) 전경

1. 개요2. 역사3. 건물4. 주요 문화재
4.1. 보물
4.1.1.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4.1.2. 영산회상도4.1.3. 원통전
4.2. 국가민속문화재
4.2.1. 영조대왕의 도포
4.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4.3.1. 원통전 수미단4.3.2.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4.4.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4.4.1. 설선당4.4.2. 산령각4.4.3. 적묵당4.4.4. 진동루4.4.5. 기영각4.4.6. 아미타삼존도4.4.7.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4.4.8. 소장 책판 일괄
4.5. 도난문화재
5. 교통6. 기타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 ( 중대동 7) 팔공산 국립공원 서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이름의 유래는 '시냇물을 잡다()'라는 뜻이다.

2. 역사

804년 심지(心地)가 창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1605년 중창되었다가 1695년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의 출생과 관계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숙종의 부탁을 받은 현응은 농산과 함께 백일 기도를 하였고 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이 숙빈 최씨의 꿈에 나타났다. 이렇게 태어난 아들이 후일의 영조였다는 것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 주변 40리 이내의 조세를 받아 쓰라고 하였으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당시에도 사대부들에 의한 불교 탄압이 극심하였다. 1979년 관음보살상을 개금(蓋金)[1]할 때 불상에서 나온 영조의 어의(御衣)는 이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준다.

파일:hscsqDy.jpg
파일:vWkOg5Fr.jpg

3. 건물

현존하는 건물로 2층 누각인 진동루(鎭洞樓), 법당인 원통전(圓通殿), 적묵당(寂默堂) 등이 있다. 부속암자로 현니암(玄尼庵), 성전암(聖殿庵), 금당암(金堂庵), 극락전 등이 있다. 성전암은 경북 3대 도량 중의 하나로 성철 스님이 한 때 수도했던 곳이다.

문화재 보물 제1214호 파계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있다.

4. 주요 문화재

4.1. 보물

  • 992호 -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1214호 - 영산회상도
  • 1850호 - 원통전

4.1.1.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1989년 4월 10일 보물 제992호로 지정되었다.

4.1.2. 영산회상도

1995년 1월 10일 보물 제1214호로 지정되었다.

4.1.3. 원통전

파일:파계사 원통전 문화재청.jpg
파일:파계사 원통전 편액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원통전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12월 29일 보물 제1850호로 승격되었다.

4.2. 국가민속문화재

4.2.1. 영조대왕의 도포

파일:영조대왕의 도포1 문화재청.jpg
파일:영조대왕의 도포2 문화재청.jpg
파일:영조대왕의 도포 명문 문화재청 수정.jpg
영조대왕의 도포

4.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 73호 - 원통전 수미단
  • 74호 -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4.3.1. 원통전 수미단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3호로 지정되었다.

4.3.2.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다.

4.4.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 7호 - 설선당
  • 8호 - 산령각
  • 9호 - 적묵당
  • 10호 - 진동루
  • 11호 - 기영각
  • 52호 - 아미타삼존도
  • 53호 -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 54호 - 소장 책판 일괄

4.4.1. 설선당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

4.4.2. 산령각

파일:파계사 산령각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산령각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었다.

4.4.3. 적묵당

파일:파계사 적묵당 전경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적묵당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9호로 지정되었다.

4.4.4. 진동루

파일:파계사 진동루 측면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진동루 측면
파일:파계사 진동루 계단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진동루 계단
1715년 지어진 문으로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로 지정되었다.

4.4.5. 기영각

파일:파계사 기영각 2015년 문화재청.jpg
파계사 기영각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4.4.6. 아미타삼존도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

4.4.7. 신중도 및 복장유물 일괄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4.4.8. 소장 책판 일괄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4호로 지정되었다.

4.5. 도난문화재

  • 삼장탱화 - 1707년 만들어진 불화이다.
  • 나한탱화 - 1867년 만들어진 불화이다.
둘 다 1991년 10월 12일에 도난되었다.

5. 교통

시내버스 간선버스 101(-1)번이 유일하며 종점이기도 하다. 시내버스 종점은 파계삼거리에 있는 파계사 주차장에 있으므로 사찰로 가려면 종점 주차장에서 내린 후 좀 더 들어가야 한다. 지선버스 칠곡3번 파계사 방면, 팔공3번이 있으며, 모두 파계사 서쪽의 칠곡군 동명면에서 온다. 그러나 칠곡3번은 1일 2회만 운행하고, 팔공3번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50분 간격으로 다니며 그것도 12월부터 2월까지는 운행하지 않는다.

6. 기타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군위군과 가장 가까운 곳이 되었으나 극락전에 있는 군위로 통하는 등산로는 산세가 상당히 험준하다.

파계삼거리로 올라가는 길부터 파계사에 이르기까지, 주변에 많은 카페와 식당 등이 형성되어 있다. 산 속에 위치하면서도 도로가 잘 되어 있고, 분위기 좋은 카페와 식당이 많아 팔공산으로 드라이브 오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2023년 11월 19일 오후 5시 50분경 동구 신용동 팔공산로 파계사에서 동화사로 가는 방면 내리막길에서 드라이브 중이던 i30 차량이 연석을 들이받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엽에 미끄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0대 여학생 1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또다른 10대 여학생은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20대 운전자도 심정지 상태로 대구파티마병원에 실려 갔으나 11월 20일 오전 결국 사망했다. 함께 동승한 10대 남학생 2명도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각기 연인과 지인 사이로 확인됐다. #1 #2

[1] 을 덮어 씌우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