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1:07:10

통번역대학원

1. 개요2. 입시3. 졸업4. 개설대학
4.1. 대한민국4.2. 아시아4.3. 아메리카4.4. 오세아니아4.5. 유럽

1. 개요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通飜譯大學院

대한민국에서 통역사가 되기 위한 가장 큰 스펙은 통번역대학원 석사 학위이다. 물론 한국에서는 통역사의 공식적인 자격증이나 공식적인 면허 제도는 없으나, '관행적인' 것은 있다. 통번역대학원 졸업장이 기본적으로 통역사 자격증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전문적인 동시통역 및 순차통역 일은 통번역대학원에 소속된 통번역센터 또는 졸업생들 네트워크 내에서 도는 경우가 많고, 인하우스 통역사 채용에 있어서도 통번역대학원 졸업장을 기본 서류로 요구하는 곳이 많다. 특히 국제회의 통역 시장에서는 통번역대학원 석사 졸업장이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특히 통상적으로 국제회의 통역사라는 타이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번역대학원을 졸업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2. 입시

대부분의 통번역대학원이 학생의 배경(출신 대학, 학점, 연구계획서 등)은 전혀 보지 않고 오로지 시험만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1차 지필시험, 2차 구술시험으로 진행된다. 모두 사전 지참이 안되며 1차 지필에서 요하는 것은 정확성, 스피드, 해석 능력이 된다. 2차 구술시험의 경우는 통역시험이다.

1차 지필의 경우는 요약 혹은 번역시험이며, 2차 구술의 경우는 문장구역 및 메모리 시험이다.

특히 서울권 통번역 대학원의 경쟁률은 통상적으로 10:1을 상회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통번역대학원 입학만을 위해 재수, 삼수를 하기도 하기 때문에 준비생들은 "영어 고시", "통역 고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3. 졸업

입학시험도 어렵지만 졸업시험이 더 어렵다. 그래서 2년만에 졸업하는 사람을 '수재'라 부르는데 그이유는 대개 2년만에 졸업을 못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 그래서 많은 기관이나 기업에서는 통역사가 수료자인지 졸업자인지를 따로 가려 선발하며, 각 통번역대학원의 통번역연구소 등에 일을 의뢰하기도 한다.

졸업시험 결과에 따라서 국제회의 통역전공(동시통역), 통번역전공(순차통역) 전공이 다르게 배정된다. 특히 앞에 해당하는 국제회의 통역전공의 경우 입학 후에도 동시통역 시험 통과를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4. 개설대학

4.1. 대한민국

4.1.1. 전문대학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 한일, 한중, 한불과가 있다. 번역학과와 통역학과가 따로 분리 되어있어 도중에 번역학과 학생이 2학년이 되어 통역학과로 전과할 수 있는 제도가 있으나 사실상 어렵다.
  • 파일:제주대학교 로고.svg 제주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한일,한중,한독과가 있다. 통번역대학원 가운데 유일한 국립으로 등록금이 매우 저렴하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전문통번역학과(AITP) 한영, 한중, 한러과가 있다.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 한독, 한불, 한중, 한일, 한서, 한노, 한아과가 있다. 통역 혹은 번역 중 세부 전공을 택해 각 대학원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통번역대학원 중 가장 역사가 깊고 경쟁률이 높기로 유명한 곳이다.

4.1.2. 특수대학원

  •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통번역학과: 의료원을 확장하면서 최근 의료통역 인재양성에 집중 중이다.
  • 파일: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엠블럼.png 국제언어대학원대학교 : 한영통번역(야간), 한베실무통번역 전공이 있다.
    한영통번역(야간): 평일 오후 - 온라인 비대면 주 2회 수업 / 토요일 오전 - 대학원 출석 대면 수업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대학원 : 주로 특수외국어(몽골어, 아랍어, 베트남어) 위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외국어도 있다.
  •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야간과정. 한영,한일,한중과가 있다.
  • 파일: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엠블럼.jpg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한영, 한일, 한중과가 있다. 학부 과정이 없고 대학원만 존재한다.
  •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야간 반 운영으로 직장인 수학가능, 한영 전공이다.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가 있다. 성경 쪽으로 유명하다.

4.1.3. 기타

  • 고려대학교 외국어센터: 고려대-맥쿼리대 통번역 석사과정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1학기는 고려대학교(비학위과정)에서, 2-4학기는 호주 맥쿼리 대학교(석사학위과정)에서 진행하며 최종 학위는 호주 맥쿼리 대학교에서 수여한다.[1]
    • 일반 통번역 과정 (3학기/1년 6개월): MA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 심화 통번역 과정 (4학기/2년): MA in Advanced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 국제회의 통역 과정 (4학기/2년): MA in Conference Interpreting

4.2. 아시아


일본의 통역사들은 거의 대부분이 사설 통역·번역 학원에서 과정을 이수한 뒤에 각자 통역 에이전시에 소속되어 통역 일을 한다. 일본 통역·번역 학원은 통역과와 번역과로 나뉘어져 있으며, 통역과에서는 오로지 통역만 배우고 번역과에서는 오로지 번역만 배운다. 거의 모든 학원이 일영(日英), 일중(日中) 과정만 개설되어 있다. 입문통역(sight translation 위주), 초급순차통역, 중급순차통역, 고급순차통역, 동시통역 등 과정이 세분화 되어 있으며 각 과정당 6개월 x 주 2회 회당 2시간 수업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과정당 수업료도 매우 비싸다. 한국의 통번역대학원 교과 과정과 비교하면 매우 부실한 편이다.

4.3. 아메리카

4.4. 오세아니아


4.5. 유럽



[1] 고려대에서 운영하는 비학위과정은 주중반(Full-time)과 주말반(Part-time)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자를 선택하면 고려대에서 1학기, 후자를 선택하면 고려대에서 2학기까지 마친 뒤에 호주에 가야 한다. 이 과정은 맥쿼리 대학교의 커리큘럼을 따르는데, 일반적인 한국 통번역대학원의 커리큘럼과 꽤 차이가 있으므로 입학을 희망한다면 반드시 경험자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것. 특히 맥쿼리 대학교는 연구 중심 대학이기 때문에 리서치, 이론 등의 과목이 필수이며 매 학기 페이퍼를 제출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학생들의 평이 크게 갈리는 편. 전공 선택은 크게 3가지로 나뉘며 국제회의 통역 과정은 자격 요건을 갖춘 자만 이수할 수 있다. 자격 요건에 따라 테솔, 국제학 등의 학위를 복수 전공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