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2:38

토지(1987년 드라마)

토지(KBS)에서 넘어옴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토 지
土 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소설
제1부 제2부 제3부 제4부 제5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디어 믹스
영화
(1974)
KBS 드라마
(1979~1980)
KBS 대하드라마
(1987~1989)
SBS 드라마
(2004~2005)
만화
}}}}}}}}}}}} ||
KBS 1TV 대하드라마
토지 (1987~1989)
土地 / Land
파일:external/mtour.hadong.go.kr/04_05_bimg02.gif
<colbgcolor=#fadcc4><colcolor=#201d19>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토요일, 일요일 21:20 ~ 22:30
방송 기간 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방송 횟수 103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colbgcolor=#fadcc4><colcolor=#201d19> 연출 주일청, 윤흥식, 윤영묵, 이녹영, 오동석, 정을영, 류시형
극본 김하림, 김원석
조연출 공영화, 이덕건, 신정관, 이덕건, 고흥식
기술감독 김기수 → 최명호
조명감독 최일순 → 임길신
야외촬영 이주희 外 다수
카메라감독 백남주 → 정원문
미술감독 최연호 → 이석우
고증위원 박정식
편집 차옥진
음악 서근식
원작 박경리 저,
소설 《 토지
출연 이재은, 안연홍, 최수지, 정승규, 윤승원, 김수정, 전미선, 김희진, 반효정, 박원숙, 신구, 임동진, 연운경, 최성준, 박병호, 박용식, 김성겸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wavve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구성4. 등장인물5. 여담

[clearfix]

1. 개요

1987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한 8번째 KBS 대하드라마.

박경리 작가의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자 2번째 드라마화 작품이며, 당초 <노다지>의 후속으로 점찍혔으나 원작자 측이 성급한 제작 일정에 불만을 품으면서 1987년 하반기로 미뤄진 것이다.

2. 특징

당시 작가에게 지급된 원작료 1억원은 당시까지 최고 기록이었다. 1979~1980년까지 같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가 3부까지 다루었다면, 이 때는 방송기간 중 원작자의 4부가 연재완료되었고 방송도 4부까지 다루어졌다.

그리고 1979년판이 주간극으로 방영된 반면, 87년판은 주말에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로 편성된 거였다.

극본은 김하림이 1, 3, 4부를, 김원석이 2부를 각각 담당했으며, 연출은 주일청이 1부~4부 총지휘, 윤흥식, 윤영묵, 이녹영, 오동석, 정을영, 류시형 PD 등 총 10여명의 연출진이 기용되었다. 조연출은 공영화 및 이덕건 PD, 타이틀 음악 작/편곡은 방송음악의 대부 임택수, 음악감독은 서근식, 고증은 박정식, 타이틀 글씨는 창해 김창환(1921~1992)이 각각 맡았다.

3. 구성

1부 40회 (1987.10.24~1988.4.9)
2부 23회 (1988.4.16~1988.8.28)[1]
3부 22회 (1988.10.16~1989.3.19)
4부 18회 (1989.4.2.~1989.8.6)[2]
총 103회 방영.

종영 후 2016년 티비젠에서 일부 회차를 짧게나마 맛보기 식으로 공개했으나 사이트 폐쇄로 영상까지 사라졌다가, 2020년 3월 4일부터 유튜브 KBS 드라마 클래식 채널에서 유료로 서비스중이며, '같이삽시다' 채널에도 총집편이 올라왔다. 2021년 5월 3일에 KTV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wavve에선 16:9 화면비로 서비스 중이다.

야외와 건물 내부는 필름으로 촬영했고 14회부터 세트장은 VTR로 촬영했다. 단, 초반 1회부터 13회까지 전부 필름으로 촬영됐다. 지금 와서 고화질 TV로 보면 장면별로 질감이 달라져서 아쉬운 선택이다.[3]

4. 등장인물

아들 정석: 장승화[5]
  • 지리산 동학 - 독립운동
    • 김개주: 오영갑
    • 우관: 박병호
    • 혜관: 박용식
    • 윤도집: 박웅
    • 운삼 선생: 김기진
    • 김강쇠: 고희준
    • 김짝쇠: 김유행
  • 기타
    • 오 서방: 선동혁
    • 소지감: 최정훈
    • 하기서: 이문환
    • 안순이: 강민경
    • 숙이: 이주희
    • 오서방댁: 안해숙
    • 지에코: 김보미
    • 이도영: 서상익
    • 윤덕용
    • 이현두
    • 최창호
    • 양영준
    • 김수일
    • 유병준
    • 박해상
    • 김순구
    • 박시영
    • 전성기
    • 강은주
    • 신원균
    • 윤성옥
    • 김범기
    • 이향수
    • 김선덕
    • 노영화
    • 차양희
    • 김상훈
    • 오진수
    • 정승곤
    • 최경수
    • 권오균
    • 최용팔
    • 박건식
    • 정해창
    • 조양자
    • 김영순
    • 김민정
    • 온영삼
    • 안대용
    • 박승규[9]
    • 주희
    • 안옥희
    • 안정훈
    • 이한승
    • 송종원
    • 임영식
    • 신용규
    • 이용진
    • 이영수
    • 조동신
    • 송석호
    • 김선덕
    • 김수연
    • 강영아
    • 홍영미
    • 장이경
    • 이화영
    • 박연은
    • 윤지수
    • 서준영
    • 김경애
    • 남경희
    • 송미령
    • 박순
    • 김은희
    • 최길호
    • 이연정
    • 김만용
    • 이종민
    • 한태희
    • 이성수
    • 이민수
    • 김성환(1975년생)[10]
    • 조지환
    • 김자영
    • 김정국
    • 임수택
    • 안성택
    • 박용민
    • 김상환
    • 윤영민
    • 박지홍
    • 김현석
    • 황동섭
    • 장민성
    • 여학생: 장서희[11]

5. 여담

  • 촬영은 원작의 배경인 경남 하동군 악안면 평사리에서 했는데 KBS 측은 1987년 4월 평사리 마을회의에서 주민들을 설득하여 1988년 5월까지 동네 전체를 촬영장으로 사용키로 하고 주민들에게 사용료를 지불, 양철지붕을 볏짚으로 씌우고 전신주들을 대나무로 둘러싸는 등 개조를 거쳤다. 최 참판댁 안채 및 사랑채는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별당은 경북 달성군 하빈면 묘동의 고가를 각각 개조해 찍었으며 강원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 청평호반 상류에 나루터 및 저잣거리, 경기도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에 장터 오픈세트를 각각 마련했는데 설치 비용만 2억여 원이 들었다. 2부 무대인 만주 북간도 용정 오픈세트장은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 정왕리 수인선 군자역전 일대[12]에 차렸는데 부지 5천 평, 건평 2천여 평이었다.[13]
  • 1980년대 당시 비디오테이프 재활용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작품인데, 필름으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초기에는 실내까지 필름으로 찍었으나, 회차가 진행될수록 실내만 비디오카메라로 찍는 때도 있었다.
  • 원작과 달리 김평산이 처형되기 전에 함안댁이 먼저 자살하였다. 이는 SBS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초반에 간난할멈 역으로 출연한 정애란은 전원일기의 김회장 어머니 역으로 방영 당시에 겹치기 출연하였다.
  • 당시 쌍라이트 형제로 유명한 김유행이 고희준의 동생이라는 설정으로 3부와 4부에 출연했었다.
  • 1인 다역배우
    • 오영갑: 김개주, 박효영 의원
    • 김영배: 평사리 농민, 하동읍내 상인, 용정 일본순사, 유인실을 고문한 형사
    • 유순철 배우: 하동읍내 대장장이, 독립운동가 강우규
    • 이원종: 이초시, 길상이 꿈의 신선
    • 원미원: 용정 월선옥 집주인, 진주 주막집 주인
    • 최석구: 젊은 김한경, 아들 김범석
  • 몇몇 배우들은 SBS판 토지에 다시 나오는데, 내력은 다음과 같다.
배우 KBS판 SBS판
이재은 최서희(아역) 봉순(기화)
신구 공 노인 문 의원
윤문식 주갑 서금돌
김지영 이용의 어머니 김 서방댁
맹호림 갖바치 임 역관
장희수 쪼깐이 강혜숙의 어머니
이원종 이 초시 김 서방
이일웅 임 역관 바우 할아범


[1] 88 서울올림픽 경기중계로 방송결방. [2] 결방사유는 1989.5.13 특집드라마 조명하 방송으로 결방. [3] 90년대 초반 무렵까지는 제작비.절감 차원에서 중요한 장면은 고급 카메라를, 배경전환 등 덜 중요한 장면에는 저화질 일반 카메라를 쓰는 많았다. 심지어 70년대 말~80년대 초 흑백-컬러 전환기에는 컬러 장면과 흑백 장면이 교대로 나오기도 했다. 당시에는 TV부터 화질이 구렸기에 이러한 차이를 눈치채기 어렵기도 했다. [4] 이재은은 2004년 방영한 토지에서 봉순의 성인 역을 연기했다 [5] 태권도 국가대표 출신. [6] 당시 '곽애리' 명의로 활동. [7] 86회부터 [8] 당시 '장순천' 명의로 활동. [9] 당시 '박태민' 명의로 활동. [10] 송관수 역의 배우와 동명이인. 1993년 KBS 공채 15기 탤런트로 뽑혔으나 1995년 교통사고로 반신불수 판정. [11] 86회 광주학생항일운동 묘사 장면. [12] 현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정왕역 일대. [13] 출처: <KBS 저널> 1988년 4월호 p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