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0:04:44

카스코카우다

카스코카우다
Cascocauda
파일:unnam호ed.jpg
학명 Cascocauda
Yang et al., 2022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계통군 석형류 Sauropsids
익룡목 Pterosauria
†아누로그나투스과 Anurognathidae
아과 †바트라코그나투스아과 Batrachognathinae
†카스코카우다속 Cascocauda
  • †카스코카우다 롱(C. rong)모식종
    Yang et al., 2022

1. 개요2. 발견 및 명명3. 특징
3.1. 외피와 색깔

[clearfix]

1. 개요

쥐라기 중기 칼로비안절인 1억 6500만 년 전부터 쥐라기 후기 옥스퍼드절인 1억 6000만 년 전에 중국에서 살았던 익룡의 한 속. 속명의 뜻은 '고대 꼬리'. 종명은 한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푹신한 외모라는 뜻의 'mao rong rong'이라는 문구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전체 학명의 뜻은 '푹신한 고대 꼬리'다.

2. 발견 및 명명

완모식표본이자 유일한 표본인 NUU-57003은 중국의 티아오지샨층에서 발견되었다. 하북성 청룡현 위치한 무토우댕 지역에서 채집되었으며 연대는 쥐라기 중기 칼로비안절에서 쥐라기 후기 옥스퍼드절까지로 측정된다. 광범위한 연조직이 보존되어 있어 거의 완전하고 연결된 골격으로 되어 있다. 이 표본은 2018년 12월 두 표본의 외피 구조에 대한 설명 및 분석에서 다른 아누로그나투스과 표본 CAGS-7070과 함께 양지샤오와 동료들에 의해 이름 없는 아누로그나투스과로 분류되었다 2022년에야 정식 학명을 부여받았다.

3. 특징

다른 아누로그나투스과와 마찬가지로 짧고 넓은 두개골, 개구리 같은 턱, 큰 눈, 넓은 날개, 짧은 꼬리를 가졌다. 날개 길이는 434mm이지만 완모식표본은 아직 어린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 두개골은 콧구멍, 전안와창 및 궤도를 분리하는 턱의 상승 과정이 보인다. 이빨은 길고 얇으며 표면이 매끄럽고 끝쪽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위턱에는 최소 19개의 이빨이 있다.

대부분의 척추는 뭉개지거나 가려져 있지만 목은 눈에 띄게 짧고 등뼈는 10개 이상 보이며 짧고 넓은 천추뼈도 있으며 세 줄의 피부뼈 도흉과 아래에 보존되어 있다. 꼬리는 다른 아누로그나투스과에 비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고, 길이는 42mm이고 최소 20개의 꼬리뼈를 가지고 있다. 이 척추뼈는 꼬리 밑 부분에서 약 2mm 길이로 시작하여 중간 지점 근처에서 최대 3.4mm까지 증가한 후 꼬리 끝쪽으로 다시 짧아진다. 중간 꼬리뼈는 또한 척추뼈와 긴 갈매기뼈를 연결하는 긴 접합뼈돌기를 갖고 있는데 이는 주 척추 주임 길이의 최소 2배다.

견갑골은 오구보다 약간 길며 길이 비는 1:2이며 함께 V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약 6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완골은 견고하며 다른 바트라코그나투스아과와 달리 삼각형 모양의 삼각가슴능선을 가지고 있으며 직선 요골 및 척골과 달리 약간 구부러져 있다. 요골과 척골은 상완골보다 훨씬 길며 날개 앞발가락의 첫 번째 뼈보다 약간 짧고 두 번째 지골과 길이가 거의 같다. 나머지 두 개의 지골은 길이가 점차 감소한다. 익상골은 짧고 구부러져 있으며 끝이 뭉툭하고 중수골은 요골 길이의 1/4에 불과하다. 뒷다리의 뼈는 길고 곧으며 비골은 경골 길이의 절반에 불과하다. 중족골 I-IV는 길고 길이가 대략 동일하며 가장 긴 발가락뼈는 발톱 앞의 끝에서 두 번째 지골이다. 다리 사이의 견갑골을 지지하는 다섯 번째 발가락은 중족골이 훨씬 짧고 튼튼하며 첫 번째 발가락은 튼튼하고 직선인 반면 두 번째 발가락은 가늘고 약간 구부러져 있다. 발과 날개의 발톱은 모양이 비슷하고 급격하게 구부러져 있지만 날개 발톱은 더 크고 더 튼튼하다.

3.1. 외피와 색깔

모식표본은 피크노섬유로 거의 완전히 덮여 있고 이 피크노섬유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길이가 3.5~12.8mm인 단순한 곡선형 섬유다. 이 섬유는 머리, 목, 몸통, 사지, 꼬리를 포함하여 몸 대부분을 덮었다. 두 번째 유형은 기부 근처에 연결된 섬유 다발로 구성되며 길이는 약 2.5~8mm이고 날개 막을 덮었다. 샘플링된 피크노섬유에 대한 연구에서는 섬유 내에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다른 화석 외피, 특히 파에오멜라노솜에서 확인된 멜라노솜 색소와 유사하다. 또한 이들 피크노섬유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은 사람의 붉은 머리카락과 유사한 흡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이 피크노섬유는 단열 기능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비행 중 몸체와 날개를 유선형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

피크노섬유 또는 깃털이라는 이러한 가지 구조의 정체성에 대해 일부 학자들이 2020년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들은 이를 익룡 날개의 막에서 발견되는 경화 섬유인 뭉쳐지고 분해된 악티노피브릴로 해석하고 멜라노솜과 케라틴이 오히려 피부에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 해석은 표본의 보존과 일치하지 않다며 다른 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그들은 일관된 구조, 규칙적인 간격, 날개 막 너머의 섬유 확장이 피크노섬유의 식별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하며, 더욱이 공룡 화석 깃털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멜라노솜과 케라틴을 섬유로 제한하는 것은 이들이 섬유이며 보존된 피부로 인한 오염과 일치하지 않다는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날개 막은 잘 보존되지 않았으며 화석에서 부분적으로 식별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