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04:10:51

식판

츄라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츄라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 식객에서 나온 유행어에 대한 내용은 헤이! 츄라이! 츄라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images.kidkids.net/20081118164252.jpg

1. 개요2. 기원3. 장단점4. 형태5. 기타6. 창작물 속에서의 식판

1. 개요

/ Meal tray

식기의 한 종류. '판(板)'인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릇이나 접시로 된 것이 아니라 판자로 된 식기 도구를 말한다. 넓게 보면 그릇을 받치기 위해 사용하는 쟁반 등의 물건도 식판으로 부를 수 있지만[1] 현대적인 의미의 식판이라 하면 오목하게 여러개의 칸을 나누어 만든 판자형 식기만을 의미한다. 아래의 석재 식판도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고.

한국 해군, 해병대에서는 '츄라이'라고 부른다. 영어 ' tray'가 변형된 것으로 설거지 당번도 츄라이라고도 부른다. 츄라이 관리를 담당하는 츄라이닦이는 해군에서는 상병과 병장 사이의 수병이 담당하고 수병들 중에서는 말단관리자에 해당하는 위치가 된다.

2. 기원

기원은 불분명하다. 하지만 식사시 많은 종류의 음식물들을 동시에 섭취해야 하며, 필수적으로 그릇이 필요한 을 주식으로 하는 식문화를 가진 아시아권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 마하나바미 디바에서 비자야나가르 왕조 시기에 군인들이 사용하던 돌로 만든 식판이 발굴된 일이 있다. # 다만 디테일한 모양을 잡아 만든 식기는 아니라도 판자나 가죽 등 넓직한 용기에 한상을 차려 취식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발상은 동서고금을 통틀어 보이는 현상.

3. 장단점

다수의 인원에게 균일한 식사를 제공하기 좋고, 쌓아놓거나 옮기기도 편하며 설거지도 편하다. 학교 군대의 단체 급식 식기로 자주 애용되는 이유. 또한 식탁이 없는 상황에서 식사를 할 경우 도시락처럼 들고 먹거나 무릎 위에 쟁반처럼 올려놓고 먹기에도 좋다. 어지간해선 망가지지도 않고 관리도 편하기 때문에 설거지가 귀찮은 자취생이나 독신자들이 집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뷔페에서 은근 편리하다. 온갖 종류의 음식을 다 섞어서 받기 때문에 쟁반에 받으면 이리저리 뒤섞이기 쉬운데, 식판에 받으면 이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물론 먹는 입장에서는 당연히 쟁반에 접시들을 올려서 먹는 것이 훨씬 편하다. 접시가 이리저리 흔들리기 쉬운 불안정한 곳이 아니고서야... 식판이 먹기에도 편했다면 학교나 군대 외에 일반 식당에서도 많이들 식판을 사용했을 것이다. 식판은 음식을 담는 공간이 모두 고정되어있고 담는 용량과 가짓수가 정해져있으며 배치도 바꿀 수가 없다. 조금만 양념이 넘쳐도 온갖 음식을 다 침범해 꿀꿀이죽 상태가 되어버린다. 게다가 음식 가짓수가 조금만 많아져도 밥에 대충 올리거나 양념 같은 건 마땅히 둘 데가 없는 경우가 태반이라 대충 뒤섞이거나 불안정하게 배치해야한다.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인데, 국 그릇을 들고 마시는 것처럼 식판을 들다가는 다른 반찬이나 밥이 흘러내려 떨어질 수 있다. 때문에 다 먹기 전까지는 숟가락으로 떠먹을 수밖에 없다. 또한 넘치기가 쉽다보니 많이 담기도 힘들다. 그러다 보니 을 말아먹는 국이나 라면, 혹은 비빔밥이 나올 경우 식판 대신 따로 준비된 냉면 그릇에 배식을 해 주거나, 별도의 그릇에 담아 식판 위에 올려 주는 경우도 많다. 단, 군대는 삼계탕이 나오든 국밥이 나오든 식판에 바로 퍼주는 경우가 많다.

4. 형태

국내에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으로 만든 금속제 식판이 많이 쓰인다. 내구성이 강하고 부피도 덜차지하며 위생관리가 용이한데다 값이 싸서 그렇다. 다만 이런 금속제 식판들은 너무 딱딱하고 차가워 보이며 평범한 접시에 놨을 때보다 음식이 맛이 없어 보인다는 비판을 받는다. 물론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식기는 아니다보니 사용처에선 가볍게 무시하고 넘기는 문제.

유아용 식판은 거의 대부분 플라스틱제이다. 금속제 식판은 무게도 은근 나가는 편이고 사고가 덜 발달한 유아에게 있어서 각종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대개 밥/국 자리가 아래에 크게 있고 위에 반찬 칸이 3칸 정도 있다. 위의 사진처럼 동그랗게 파여있는 경우도 있지만 네모난 모양으로 된 것도 있다. 양쪽 끝 반찬 칸은 밥/국 칸과 높이를 맞춰줘야 식판의 균형이 맞기 때문에 중간 반찬 칸보다 조금 더 깊게 파여있는 경우가 많다. 중간 반찬 칸은 조금이라도 더 여러 반찬을 놓기 위해 가운데가 약간 솟은 형태로 분리된 것도 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수저 젓가락을 둘 수 있도록 길쭉한 칸이 파여있기도 하다.

파일:Mess-Tray.jpg
서양의 식판은 동양권과는 식단구성이 다르다보니 위 사진과 같이 형태가 좀 다르게 생긴 경우도 있다. 보통 아래쪽 가운데의 가장 큰 칸에 메인요리나 스프, 스튜, 시리얼 등 국물요리를 넣고 주변 칸에 빵, 크래커, 샐러드나 반찬류, 디저트(주로 과일), 음료컵 등 부식류를 넣는다. 밥을 먹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큰 칸에 밥을 넣고 주변 칸들에 반찬을 넣으면 되지만 국같은 음료 외 별도의 국물요리를 넣을 곳이 마땅치 않아서 국도 함께 먹고자 할 경우는 별도의 그릇을 사용해야 한다.

5. 기타

  • 식판을 세척해주는 업체도 있다.
  • 손으로 들고 먹는 것이 가능한 이 주식인 서구권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도구였지만 야외에서도 가정식과 똑같은 수준의 식사를 제공받길 원하는 마인드가 늘자 역시 식판을 도입하는 경우가 생겼다. 다만 아시아권과는 달리 서구권에서는 금속제 식판보다는 플라스틱제 식판이 더 많은지라 금속제 식판은 군대의 전유물처럼 쓰이고 있다. 미군에서는 1회용 종이 식판, 혹은 교도소, 소년원, 소년분류심사원, 구치소에서 플라스틱 식판을 쓰고 있는 경우가 보인다.
  • 국내의 편의점 도시락 도시락 전문점에서 취급하는 대부분의 도시락 용기 역시 식판 형태와 비슷하다. 물론 식판과는 다르게 제품마다 밥과 반찬 등이 들어가는 공간을 맞춤 제작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 그릇을 들고 먹는 문화가 일반적인 일본에서는 가정식 형태의 식당을 포함해 일부 초중고교 및 대학이나 자위대 및 회사 내 식당조차 식판을 사용하지 않는다.[2] 그 대신 식당에서 쟁반 그릇 접시를 놓아준다.
  •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가격은 개당 5천 원~1만 원 선.
  • 컴퓨터를 쓰면서 사용할 수 있는 식판도 있다. 그 원리는 키보드 위에 투명한 소형 테이블을 얹어놓는 것. 한국인 디자이너의 아이디어로 탄생한 제품이라고 한다. #
  • 정리된 식판을 꺼낼 때 맨 위에것은 어딘지 사람들의 손을 탄 것 같아서 안쪽의 것으로 밑장빼기를 하기도 한다.
  • 작은 그릇에 음식을 담으면 비교적 많이 담긴 것 같은 시각적 효과를 주기 때문에 식판도 작은 걸 사면 다이어트 효과를 볼 수 있다. 강예빈의 다이어트로 알려진 방법. 다이어트 식판도 판매되는 것 같지만 어린이용 식판을 사용해도 무방할 듯하다.
  • 군대에서는 식판의 세척 용이성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식판에 비닐봉투를 씌워서 먹기도 한다. 씌운 상태로 밥을 먹은 뒤 봉투만 벗겨내면 식판은 아예 씻을 필요가 없게 된다. 가끔 숟가락질을 너무 세게 해서 비닐을 찢어버리는 일이 있기는 하다. 그래도 바로 식판에 먹는 것보다는 훨씬 적게 묻는다. 식판에 꼭 맞는 사이즈의 비닐봉투가 군용으로 시판 중이며 대개 '식판비닐'이라 불린다. [3] 분식집에서 떡볶이, 순대 등을 위생비닐 씌운 접시에 담아서 내오는 행위를 식판에 적용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식이 쌀인 일본 자위대나 중국 인민해방군에서도 훈련시 식판을 비닐로 감싸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삼성전자에서 2018년에 출시한 갤럭시 노트9의 클라우드 실버 색상이 식판 색깔과 비슷해서 '스텐 식판'으로 놀림받곤 한다.

6. 창작물 속에서의 식판

  • 온라인 FPS 게임 AVA에서는 AI미션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탈주병이 식판을 들고 나온다.
    2009년 10월 27일 업데이트를 통해 플레이어가 쓸 수 있는 무기로 추가되었다. 이름하여 ' 선임의 식판'.자기 식판은 어디에다 팔아먹고 후임의 것도 아니고 선임의 것이라니 느린 연사력과 짧은 리치가 문제이지만 기관단총이나 돌격소총보다도 더 높은 55의 대미지를 자랑하는 근접무기로, 각종 변태적인 무기들(불량 감자, 오리몽둥이)이 판을 치는 아바의 세계에서 적절한 네이밍의 센스와 함께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세도 다른 근접무기들처럼 한손으로 쥐고있는 방식이 아니라 양손으로 가지런히 쥐고 있는 배식 받으러 오는듯한 모양새가 인상적.
    캡슐을 구매하다보면 랜덤하게 나오는 쿠폰을 500개까지 모아서 영구로 구매하거나, 아니면 50개만 모아서 30일 제한 내구로 구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쿠폰 등장 확률이 매우 랜덤하기에 50개를 모으는 것도 쉽지 않다. 캡슐 2개당 쿠폰 3~4개 나올까말까 한 수준. 이 때문에 식판을 가지고 있다면 캐시를 엄청나게 질렀다는 것으로 해석해도 된다.
    그러다가 진짜로 후임의 식판도 나왔다. 이쪽은 실제 식판과 흡사하다.

[1] 이런 쟁반은 그릇을 하나씩 하나씩 가져다주는 식당이 아니고서야 대체로 거의 모든 식당에서 사용한다. 그릇을 올려둔 쟁반을 점원 혹은 손님이 들어서 탁자에 올려놓는 식으로 쓴다. [2] 일본에서는 한국처럼 점심 시간에 줄 서서 먹는 학교 급식이나 구내식당이 흔하지 않고 대부분 집에서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미리 식사거리를 구매한 뒤 점심에 아무 장소에서 혼자 또는 친구/동료들과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세척 용이성을 극단적으로 추구한 방식으로는 아예 식판 없이 비닐로만 밥을 먹는 비닐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