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23:45:24

초점(김범수)


1. 개요2. 음원 및 라이브3. 가사4. 곡 분석5. 커버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초점.jpg
초점 (new.MAKE20 #10)
트랙 곡명 작사 작곡 편곡
1 초점 윤사라 Davey nate, 전상환 전상환, 안준민

2. 음원 및 라이브

음원 뉴페스타 라이브(-1키)

3. 가사

초점
한걸음 물러나 바라보아야 알게 되는 것이 있나 봐
소중한 것들은 항상 멀어져야 눈물겹게 반짝이잖아
흐릿해 보이던 너의 모습이 이렇게도 아름다웠나
이제야 맘의 초점이 맞춰지고
네가 없는 내 모습도 선명하게 보여

후회하고 있고 돌아가고 싶
아무 어도 시간은 고집스레 흘러
가 없 향으론 한 나는 움직이기 싫은데

나누어 마시던 커피 한잔이 제목도 희미한 영화가
달이 참 예뻤던 밤의 그 산책이
마지막이 될 거란 걸 몰랐던 나인 걸

후회하고 있고 돌아가고 싶
아무 어도 시간은 고집스레 흘러
가 없 향으론 한 나는 움직이기 싫은데

한없이 많은 내일을 쌓아둔 것처
너를 껴안고 더 사랑하는 일
내일 같은 난
정말 후회하고 있어

[전조]

네가 루가 끊임없
도 시간은 날 도 지만
루하루 몇 겹이고 쌓
숨겨지지 않는 너인

오늘도 널 사랑하니
2옥타브 솔(G4) 구간은 하늘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연두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파란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주황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4. 곡 분석

  • 조성 : E ㅡ> F(마 장조 ㅡ> 바 장조)
  • 최고음 : 3옥타브 도(C5)
헬곡 제조기 김범수 아니랄까봐 이 곡도 굉장히 난도가 높은 헬곡이다. 물론 The one in my life, 사랑만으론, 바보같은 내게, To me 같은 대놓고 초고음을 내는 곡들과 다르게 최고음은 비교 상 높지는 않지만 이 곡 또한 가슴에 지는 태양과 비슷하게 극강의 컨트롤을 요한다.
상술한 3옥도 끝판왕인 가지태보다는 약간 쉬운 곡인데, 시작부터 대놓고 중고음을 남발하고 탈인간 급 컨트롤을 요하는 가지태에 비하면 벌스 부분은 비교적 음이 낮아 크게 무리없이 할 수 있다. 그러나 후렴구부터 지옥이 시작되는데, 2옥타브 솔(G4) ~ 2옥타브 라(A4)의 중고음이 지속적으로 나오며 성구전환을 숨 쉬듯이 해야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진성구에서도 강약조절을 하다보니 실수하기 쉽다.
2절에서는 '니가 없는' 부분이 진성으로 바뀌어 2옥타브 시(B4)까지 올려야하며 역시 강약조절, 성구전환이 그대로 많이 나와 컨트롤이 어렵다. 그나마 3절에서는 모조리 진성으로 바뀌고 강약조절도 덜 강조되어서 세심한 컨트롤 부분은 약간 쉬워지나 문제는 1키가 전조되면서 2옥타브 라(A4) ~ 3옥타브 도(C5)의 고음들의 향연이 벌어진다. 거기다가 '한 걸음도'에서 한 옥타브를 건너뛰는(2옥도 ㅡ> 3옥도) 부분까지 등장하고 '도우려 하지만'에서 '하' 부분을 3옥타브 도(C5)로 길고 부드럽게 이어야해서 피지컬과 호흡 면에서 급격하게 어려워진다. 거기다 끝에는 성구전환+음꺾기로 다시 세심한 컨트롤로 마무리를 해야한다.
그야말로 듣기엔 아름다운 노래, 부르면 아름답지 못한 헬곡이며 일반인이 완창하고 싶으면 보컬학원이든 독학이든 보컬 공부를 극강의 노력으로 완벽한 수준으로 끝마친다던지 아예 타고난 천재여야 가능한 수준이다. 본 가수인 김범수 또한 이 곡은 굉장히 어렵다고 강조하면서 범관적 헬곡 4위로 랭크했고 라이브에서도 1키를 낮춰서 불렀을 정도.[2] 상술한 가지태보다는 약간 쉽고 행복하지 말아요같은 곡들보다는 훨씬 더 어려운 3옥타브 도(C5) 최상위권의 헬곡이다. 대략 One Day, 사계(하루살이)와 비슷한 난도다.

5. 커버

5.1. DK


5.2. 진민호


5.3. 잠골버스 안준헌


5.4. 그렉 프리스터


5.5. 더 히든 전철민


5.6. 김동현


6. 기타

  • 김범수가 굉장히 아끼는 곡이기도 하며 묻혔다고 굉장히 아쉬워했다. 당시에 아이돌들의 전쟁 시기였기에 기성 실력파 가수들이 힘쓰기 힘든 시기였다. 그래서 언젠가는 수면 위에 올라올 것이라고 단언했다. 물론 숨겨진 명곡이라서 듣는 이들은 괴랄한 난이도를 떠나서 굉장히 잘 만든 역대급 명곡이라고 추켜세운다.
  • 원래는 1키가 더 높았다. 그러니까 그대로 불렀다면 최고음은 무려 3옥타브 도#(C#5). 게다가 가사에서도 봤듯이 2옥타브 후반이 난무하다보니 만약 진짜로 그대로 진행했다면 바보같은 내게의 난이도랑 비슷한 역대급 헬곡이 탄생했을 것이다. 물론 데모곡을 받자마자 김범수는 너무 어렵다고 거절했었고, 협상 후 1키를 낮춰 지금같은 곡이 된 것이다.
  • 노래방 번호는 TJ는 76422, 금영은 22696이다.

7. 관련 문서


[전조] E ㅡ> F [2] 물론 원키로 부른 영상도 있어서 원키도 당연히 가능하지만 김범수 언급 상 '듣기 좋은 라이브에 맞게 키 조정'을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