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0:36:45

조 헨드리

죠 헨드리에서 넘어옴
파일:joehendrybio.jpg
JOE HENDRY

1. 프로필2. 개요3. 커리어4. 기타5.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joehendrypro.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 TNA WRESTLING
링네임 Joseph S. Hendry
Joe Hendry
본명 Joseph Samuel Hendry
조셉 새뮤얼 헨드리
생년월일 1988년 5월 1일 ([age(1988-05-01)]세)
출신지
[[스코틀랜드|]][[틀:국기|]][[틀:국기|]] 에든버러
신장 188cm
체중 97kg
별명 The Local/Global Hero
The Prestigious One
The Man Who is Better Than Damien Sandow
The King of the Entrances
주요 커리어 BWR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1회
SWA 래이어드 오브 더 링 챔피언 1회
SWE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ICW 태그팀 챔피언 1회
NGW 태그팀 챔피언 1회
프라이드 레슬링 N7 챔피언 1회
PWE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PWU All-Ulster 챔피언 2회
Reckless Intent 월드 챔피언 1회
Reckless Intent UK 챔피언 1회
Respect Pro Wrestling 챔피언 1회
WCPW/Defiant 챔피언 1회
Defiant 인터넷 챔피언 1회
커트 앵글 인비태이셔널 럼블 우승 (2016년)
Fight Forever 맨즈 월드 챔피언 1회
디스커버리 레슬링 Y 디비전 챔피언 1회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1회
피니쉬 무브 크리스마스 기프트
더블 헨드리 락
프릭크 오브 내츄럴
헨드리 락
헨드리 슬램
테마곡 I Believe In Joe Hendry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개요

Say his name and he appears I believe in Joe Hendry

스코틀랜드 TNA 소속 프로레슬러.

3. 커리어

영국 출신의 아마추어 경력이 있는 선수. 초기엔 영국에서 활동 중인 레슬러들에게 트레이닝을 받으며 데뷔 준비를 하고 있었고 2013년에 데뷔해 영국 무대에서 활동하며 커리어를 늘렸고, 2014년에 WWE에도 출연하긴 했지만 엑스트라[1]로 잠깐 출연한것 외에는 없었다.
루세프, 라나와 러시아 대사로 등장했던 조 헨드리 (50초 부터)
2016년에 ROH가 영국 투어를 열면서 조 헨드리도 여기에 출연하게 되면서 ROH와 인연이 생기고, 2018년부터 임팩트 레슬링에서 활동하게 되는데, 데뷔전에서 일라이 드레이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그라도와 팀을 이뤄 일라이 드레이크 & 트레버 리에게 패한다. 이후로 승패가 왔다갔다 하면서 활동하다가 출연이 뜸하게 되면서 임팩트 레슬링과 결별하게 된다.

ROH에 2019년에 계약을 맺게 되면서 인디단체를 병행하며 활동하게 된다. 다른단체에서 경력을 늘리는 것과 반대로 ROH에서는 챔피언에 등극한 기록이 없다.

2022년 9월에 임팩트 레슬링에 다시 모습을 보이면서 조 헨드리 관련 프로모가 뜨며 계약 맺음을 알린다. 바운드 포 글로리 XVIII에서 벌어진 콜 유어 샷 건틀렛에 참가자로 등장하지만 무스에게 탈락된다. 본격적으로 다시 임팩트 레슬링에서 활동하며 제이슨 호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라지 싱과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둔다. 브라이언 마이어스의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 자리에 도전할 수 있게되면서 브라이언 마이어스를 꺾고 새로운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에 오른다. 하드 투 킬 2023에서 무스를 상대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치열한 격돌끝에 승리를 거둔다. 무스가 계속해서 도전을 걸면서 노 서렌더 2023에서 다시 챔피언십 매치로 벌어지면서 닷 컴뱃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둔다.

새크리파이스 2023에서 브라이언 마이어스를 상대로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두고,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서 에디 에드워즈 & 톰 롤러 & JR 크라토스와 팀을 이뤄 PCO & 새미 캘러핸 & 알렉스 코글린 & 프레드 로서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리벨리온 2023에서는 더티 당고 & 산티노 마렐라와 팀을 이뤄 더 디자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조 헨드리는 더티 당고와 같이 산티노 마렐라를 습격한 범인을 찾는 진행에 투입되는데 범인은 더티 당고였고, 언더 시즈 2023에서 더티 당고를 상대로 임팩트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둔다.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3에서 또 더티 당고를 상대로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면서 또 한번 승리를 거둔다. 케니 킹이 조 헨드리에게 접근하면서 슬래미버서리 2023에서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케니 킹이 로프에 발을 올리는 반칙성 핀을 사용하면서 조 헨드리가 패해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히스 & 우에무라 유야와 팀을 이뤄 타구치 류스케 & 록키 로메로 & 마스터 와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이머전스 2023에서 우에무라 유야와 같이 제이슨 호치 & 존 스카일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2] 우에무라 유야가 떠나는 것이 결정되면서 계속 태그팀으로 같이 다닌 조 헨드리가 위로하지만 라스칼즈가 우에무라 유야를 비꼬면서 조 헨드리는 우에무라 유아와 같이 라스칼즈를 상대로 우에무라 유야의 임팩트 레슬링 잔류가 걸린 경기로 맞붙지만 패하면서 우에무라 유야는 임팩트 레슬링에 나올 수 없게된다.

터닝 포인트 2023에서 사이먼 밀러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하드 투 킬 2024에서 AJ 프란시스에게 공격당하면서 이후로 둘간의 대립으로 이어진다. 새크리파이스 2024에선 크레이지 스티브와의 디지털 미디어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AJ 프란시스의 방해로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3월 14일에 AJ 프란시스와 경기를 갖지만 패한다. AJ 프란시스 & 리치 스완이라는 2명의 적을 둔 상황에 리벨리온 2024에서 리치 스완과 경기를 갖지만 외부의 방해로 패한다.

언더 시즈 2024에서 재커리 웬츠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어게인스트 올 오즈 2024에서 프랭키 카자리안과의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2024년 6월 18일 WWE NXT에서 열린 배틀로얄에 프랭키 카자리안과 같이 TNA 소속으로 특별 출전했으며 쇼 시작 전 미리 입장해있던 카자리안과 달리 무려 입장신과 입장 세그먼트를 잡아주는 파격적인 등장을 했으나 다굴을 맞으며 프랭키 카자리안에게 첫 번째로 탈락되는 수모를 맞는다. 이후 WWE 공식 X에 업로드 된 영상에서 빠른 탈락에 숀 마이클스에게 분통을 터트리며 앞으로 어느 장소, 어느 시간, 어느 쇼에서든 자신을 볼 수 있을거라고 자신의 이름을 외치라며 퇴장해 재등장을 예고했다.믿는다고 한 마디 해주는 숀마는 덤이다.

4. 기타

  • 아마추어 레슬링을 하기 이전엔 유도를 배웠고 검은띠를 보유하고 있다.
  • 영국 아마추어 레슬러로 활동하며 각각 금메달, 동메달을 보유한 경력이 있다. 아마추어 레슬러 출신답게 경기 스타일 일부는 커트 앵글과 유사한 점이 많다.
파일:GQC_9gQXcAEVvqN.jpg
  • 10년 동안 밴드를 했던 경험이 있으며 소니 뮤직과의 계약도 입에 올랐었던 실력자이다. 그 경험을 살려 자신의 테마곡도 스스로 작사 작곡해 직접 불렀는데 무려 애플 차트에 오를 정도로 중독성 있는 편이다. 가히 TNA의 탑페이스로 만들어준 일등공신. 본인도 밈을 알고 있는지 자신의 SNS 프로필 사진은 물론이고 위의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장면을 엄청나게 많이 심심치않게 올리는 편이다. 한편 그의 노래 실력은 기믹으로 발전해 자신의 테마곡 뿐만 아니라 유명한 노래에 대립 상대를 조롱하는 개사를 덧붙혀 노래하고 쌈마이 느낌이 풀풀 나는 뮤직비디오도 만들어 프로모 면으로써 팬들에게 상당한 호응을 불러오고 있다.
  • 위의 팬들의 호평이 알음알음 레슬링 팬들에게 퍼져나가다 본격적으로 알려진건 NXT와 TNA의 협업이였다. NXT 배틀로얄에 참전한 레슬러들 중 가장 크나큰 환호를 받으며 떼창을 받은건 물론이고 NXT 첫 데뷔 영상이 무려 WWE 공식 X 계정에서 충격적이고 역대급이라며 호평받던 와이어트 식스의 데뷔 영상을 제치고 더 많이 좋아요를 받으며 레슬매니아 40 이후로 가장 많이 좋아요를 받은 트윗이 되었다. NXT가 보통 신인 양성소 2부 리그로 취급받으며 러와 스맥다운에 비해 받는 관심도가 현저히 적은걸 생각하면 엄청난 쾌거나 다름없다. 본인도 그런 반응이 매우 기뻤는지 여러번 X에 트윗을 게시했다.

5. 둘러보기

파일:200px-ICW_logo_2017.png
ICW 태그팀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STI
(2012)
로컬 파이어
(2016)
미정
파일:01-roh-logo-2020_0.jpg ROH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파이널 배틀 등장
마티 스컬
(2017)
조 헨드리
(2020)
달튼 캐슬
(2021)


[1] 애덤 로즈의 로즈버드 및 러시아 외교관. [2] 여기서도 특유의 노래 실력이 빛을 발했는데 본인의 태그팀 테마곡도 자신이 작사 작곡하며 직접 불렀다. 본인의 테마곡만큼 상당히 중독성 있는 편. 팬들도 홀리 쉿 챈트로 화답해 좋은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