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59 | 1960 | 1961 | 1962 | |||
머리 겔만 | 오게 보어 | 마르빈 골드버거 | 레온 판호프 | ||||
<rowcolor=#fff> 1963 | 1964 | 1965 | 1966 | ||||
키스 브루크너 | 툴리오 레제 | 프리먼 다이슨 |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 ||||
<rowcolor=#fff> 1967 | 1968 | 1969 | 1970 | ||||
지안카를로 윅 | 세르히오 푸비니 | 아서 와이트만 | 난부 요이치로 | ||||
<rowcolor=#fff> 1971 | 1972 | 1973 | 1974 | ||||
로저 펜로즈 | 제임스 요르겐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
류드비그 파데예프 | 스티븐 호킹 | 스티븐 와인버그 | 엘리엇 리에브 | ||||
<rowcolor=#fff> 1979 | 1980 | 1981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제임스 글림 | 아서 야페 | 제프리 골드스톤 | ||||
<rowcolor=#fff> 1982 | 1983 | 1984 | 1985 | ||||
존 워드 | 마틴 크루스칼 | 로버트 그리피스 | 다비드 루엘 | ||||
<rowcolor=#fff> 1986 | 1987 | 1988 | |||||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 로드니 벡스터 | 율리우스 베스 | 브루노 추미노 | ||||
<rowcolor=#fff> 1989 | 1990 | 1991 | |||||
존 벨 | 야코브 시나이 | 토마스 스펜서 | 위르그 프뢸리히 | ||||
<rowcolor=#fff> 1992 | 1993 | 1994 | |||||
스탠리 맨델스탐 | 마틴 구츠빌러 | 리처드 알노위트 | 스탠리 데서 | ||||
<rowcolor=#fff> 1994 | 1995 | 1996 | 1997 | ||||
찰스 미즈너 | 로만 자키브 | 로이 글라우버 | 해리 레만 | ||||
<rowcolor=#fff> 1998 | 1999 | ||||||
에드워드 위튼 | 나탄 자이베르크 | 배리 맥코이 |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 ||||
<rowcolor=#fff> 1999 | 2000 | 2001 | 2002 | ||||
타이썬 우 | 시드니 콜먼 | 블라디미르 아르놀드 | 존 슈워르츠 | ||||
<rowcolor=#fff> 2002 | 2003 | 2004 | |||||
마이클 그린 | 이봉 브루하 | 제임스 요크 |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 ||||
<rowcolor=#fff> 2005 | 2006 | ||||||
조르조 파리시 | 세르히오 페라라 | 다니엘 프리드먼 | 페터르 판니우벤위젠 | ||||
<rowcolor=#fff> 2007 | 2008 | 2009 | |||||
후안 말다세나 | 조셉 폴친스키 | 미첼 파이겐바움 | 이고르 튜틴 | ||||
<rowcolor=#fff> 2009 | 2010 | ||||||
카를로 베치 | 알렝 루에 | 레이몽 스토라 | 마이클 아이젠만 | ||||
<rowcolor=#fff> 2011 | 2012 | 2013 | |||||
헤르베르트 슈폰 | 조반니 조나라지노 | 진보 미치오 | 미와 테쓰지 | ||||
<rowcolor=#fff> 2014 | 2015 | 2016 | |||||
그레고리 무어 | 피에르 라몽 | 컴런 바파 | 앤드류 스트로밍거 | ||||
<rowcolor=#fff> 2017 | 2018 | 2019 | |||||
칼 벤더 | 배리 사이먼 | 빌 서더랜드 | 프란시스코 칼로게로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
스베틀라나 지토미르스카야 | 조엘 레보위츠 | 안티 쿠피아이넨 | 크쉬슈토프 가벤트스키 | ||||
<rowcolor=#fff> 2023 | 2024 | 2025 | |||||
니키타 네크라소프 | 데이비드 브리제스 | 샘슨 샤타슈빌리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제프리 골드스톤 Jeffrey Goldstone |
|
출생 | 1933년 9월 3일 |
영국 잉글랜드 맨체스터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분야 | 입자이론( 양자장론) |
학력 |
맨체스터 그래머 스쿨 (
졸업)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 물리학 /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 물리학 / 박사) |
경력 |
유럽 입자물리연구원(
방문연구원) 하버드 대학교( 방문연구원) 코펜하겐 대학교( 방문연구원)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이론물리학자로 분야는 양자장론이다.2. 생애 약력
1933년 9월 3일 영국 맨체스터에서 출생했다. 맨체스터 그래머 스쿨을 1951년에 졸업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의 자연과학부에 진학, 물리학 트리포스를 이수했다.1954년 학사 학위를 받고, 동대학원으로 진학한뒤 한스 베테의 지도하에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연구, 1958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편, 1956년부터 연구 펠로우로 재직하기 시작했고, 1960년까지 트리니티 컬리지에 재직했다.
1960년부터 1962년까지 유럽 입자물리연구원, 코펜하겐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재직했고, 1962년부터 1976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3. 연구약력
1957년 파인만 다이어그램의 연결에 관하여 연구하다가 키스 브뤼크너가 제시한 4차수의 연결된 클러스터 정리를 바탕으로 무한 차수의 연결된 클러스터 정리를 제시했다.1961년 섭동 전개한 양-밀스 이론의 라그랑지언에 초전도 방정식의 해를 적용해 해밀토니언과 보손 전파인자를 이끌어내면서 보손 질량의 기원을 이끌어 냈다. 이후 골드스톤이 제시한 이론 체계는 난부-골드스톤 보손으로 명명되었으며 자발 대칭 깨짐으로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