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7 20:09:56

젊은 날의 초상

젊은날의 초상에서 넘어옴
이문열의 장편소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사람의 아들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젊은 날의 초상
황제를 위하여 대륙의 한 영웅시대
레테의 연가 미로의 날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시인 변경
오디세이아 서울 선택 아가
호모 엑세쿠탄스 불멸 리투아니아 여인 }}}}}}}}}
젊은 날의 초상
젊은날의 肖像
파일:external/bimage.interpark.com/4015466g.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문학, 연작
작가 이문열
출판사 민음사
발매일 1981년[1]

1. 개요2. 줄거리
2.1. 하구2.2. 우리 기쁜 젊은 날2.3. 그 해 겨울
3. 미디어 믹스
3.1. 드라마3.2. 영화
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너는 말이다. 한번쯤 그 긴 혀를 뽑힐 날이 있을 것이다. 언제나 번지르르하게 늘어놓고 그 실천은 엉망이다. 오늘도 너는 열 여섯 시간분의 계획을 세워놓고 겨우 열 시간분을 채우는 데 그쳤다. 쓰잘 것 없는 호승심에 충동된 여섯 시간을 낭비하였다.
이제 너를 위해 주문을 건다. 남은 날 중에서 단 하루라도 그 계획량을 채우지 않거든 너는 이 시험에서 떨어져라. 하늘이 있다면 그 하늘이 도와 반드시 떨어져라. 그리하여 주정뱅이 떠돌이로 낯선 길바닥에서 죽든 일찌감치 독약을 마시든 하라.
이문열의 연작 소설. 개별적으로 쓰고 발표한 중편들이 어느 정도의 연결성을 가지도록 묶여 있다. 다만 각 장은 애초에 독립적인 중편소설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이야기의 연대순과 발표 시기가 일치하지 않는다. 즉 소설적 시간은 '하구'→'우리 기쁜 젊은 날'→'그해 겨울'[2] 순이지만 실제 발표 순서는 '그해 겨울(1979년 발표)' →'하구(1981년 발표)'→'우리 기쁜 젊은 날(1981년 발표)' 순으로 이루어졌고 1981년에 민음사에서 전체를 묶어 3부작 연작 출간했다. 하지만 이문열이 이 작품을 실제로 탈고한 것은 등단을 하기 전이라는 증언이 있으니, 발표 순서와는 별개로 작품이 쓰인 순서는 연대순일 가능성도 있다. 이문열은 가운데 부분인 '우리 기쁜 젊은 날'을 제외한 '하구'와 '그해 겨울'을 자신의 중단편 전집에 수록하기도 했으니, 개별적인 작품으로서만 봤을 때 '그해 겨울'이 가장 뛰어나다고 보고 그 작품을 가장 먼저 발표했을 가능성도 없잖다.

하구, 우리 기쁜 젊은 날, 그해 겨울 모두 주인공의 이름은 영훈이다. 또한 그해 겨울에서 하구의 배경인 강진의 이야기와 우리 기쁜 젊은 날의 인물인 하가와 김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에, 개별 중편들의 주인공이 동일인이라고 추측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이문열이 자신의 젊은 시절의 정신적 방황을 각각의 작품으로 소설화시킨 것을 한 사람의 일대기인 것처럼 묶어 한 권의 연작소설로 출간한 것이다. 존재의 의미를 끊임없이 제기하는 주인공의 치열한 정신 세계를 그리고 있는, 지극히 문청(문학청년)적인 감수성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2. 줄거리

2.1. 하구

극중 화자인 '나'는 이영훈으로, 부산 낙동강 하구에 와서 대학 입시 준비를 하는 한편, 형의 모래 채취 사업을 돕다가 장티푸스에 걸려서 투병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러던 와중에 황이라는 어떤 병든 남자를 알게 되고, 그 여동생과도 친교를 가지게 된다.

'나'가 하구에서 알게 된 사람 중엔 모래 장사를 동업하는 박용칠과 최광탁이 있는데, 둘은 친하게 지내다가도 툭하면 싸운다. 이유인 즉슨, 박용칠의 딸은 최광탁을, 최광탁의 아들은 박용칠을 닮았기 때문에 술만 마시면 그 이야기를 하다가 다투게 되는것. 후에 최광탁이 암에 걸려 생명이 위독해지는데, 최광탁의 임종 자리에서야 둘은 이 응어리를 풀게 된다.

한편 형은 사업을 그만 두게 된다. 그리고 '나'와 친교를 나누던 병든 황과 여동생은 사실 계모에게 돈을 받던 것이 아니라 여동생이 내연 관계를 맺은 남자에게 돈을 받던 것이였고, 황은 그것이 치욕스러워 떠나려 했던 것이다. 오래잖아 요양원으로 떠난 황은 죽어버렸고, 여동생은 내연관계를 알고 찾아온 본처에게 시달리다가 자해 시도를 한다. 그리고 이미 대학에 합격한 '나'는 이 모든 것을 뒤로 한 채 떠난다.
그리고 '나'와 친구로 지냈던 서동호라는 사람은 어느날 이복형이 찾아오자 충격에 빠진다. 서동호의 아버지는 사실 빨치산으로, 후퇴 때 가족을 버리고 바다로 도망쳐서 하구에서 숨어 지냈던 것이다.

훗날 돌아왔을때는 강진은 없었고, 낯선 도시가 있었다. 우연히 만난, 부동산 투기 붐으로 졸부가 된 옛 술 친구를 만나 강진에 살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는 황의 여동생에 대해서 묻는다. 그러자 그는 나를 차에 태워 어딘가로 향한다. 이제는 중년이 되어버린 그녀는 룸살롱 마담이 되어 있었고, "유적이 끝났느냐"는 그녀의 질문에 '나'는 아직이라 대답하며 끝난다.

2.2. 우리 기쁜 젊은 날

'나'는 대학에 진학해서 청춘을 소비한다. 그러던 중 문학동인회에 참가하는데, 온갖 뻥으로 회원들을 놀리지만, 체호프의 단편 소설을 표절해서 자기가 쓴것인양 발표한 것이 들통나 강퇴당한다. 당시 국내에서 미번역된 작품이라고 소개되었는데, 같은 서클의 불문과 3학년 학생이 그걸 원서로 읽은 적이 있어 들통났다.

그러다가 혜연이라는 여자친구를 사귀게 되지만 신분 차이로 헤어진다. 혜연은 전형적인 중상류층의 부르주아였고, 주인공은 힘겹게 검정고시를 마치고 대학에 온 신입생이다.

중간에 작중 화자가 창작한 동화가 나오는데, 한 나그네가 해를 찾으려고 발에 땀나게 뛰지만 끝내 이룰 수 없었다는 내용으로 헤어진 여자친구에게 바치는 글이다. 혜연과 썸 타고 있을때쯤, 그녀에게 빌린 노트를 건네주면서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하자 혜연은 "해를 따다 달라"고 한다.

결국 술에 빠져서 인생을 허비하게 된다. 그러던 중 친하게 지내던 김형이 뇌진탕으로 사망해 충격에 빠진다.

2.3. 그 해 겨울

'나'는 '방우'라는 시골 술집의 잡일꾼 노릇을 하며 지내다 때려 치고 바다에 가던 중, 어느 한 지식인을 만난다. 그는 과거 반체제 단체에 소속이었는데, 콩밥을 먹게 한 밀고자를 암살하러 가는 것이었다.

그 사람 외에도 밀고자를 암살하겠다고 다짐한 사람은 많았으나, 출옥 후 안락한 일상에 빠지거나 병으로 죽어 이제 그 하나만 남았던 것이었다.

주인공은 그와 헤어졌다가 바닷가에서 다시 만나게 되는데 그는 이미 암살을 포기한 후였다. 찾고 보니 밀고자는 이미 막장 생활에 지쳐 폐인이 되어 있었다고. 그는 살려두는 게 고통이라며 허세를 부린다. 주인공도 오랫동안 꿈꿔온 자살을 포기하고 약병과 유서를 바다에 던져 버린다.

훗날 주인공이 찾아보니, 그 지식인은 단란한 가정을 꾸리면서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3. 미디어 믹스

3.1. 드라마

1986년에 드라마화되었고, 손창민이 주연이었다.[3]

3.2.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젊은 날의 초상(1991년 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1년 곽지균 연출로 1986년에 주연 자리를 꿰차지 못했던 정보석이 결국 주인공 이영훈 역을 맡으며 영화화되었는데 대종상에서 감독상 등을 받으며 그럭저럭 범작 수준은 된다.

4. 여담

소설 배경으로 창수령이라는 고개가 나오는데, 영양군 영덕군 사이에 있는 실존 지명이다.

5. 관련 문서



[1] 문학사상 1979년 12월 호 - <그해 겨울>, 한국문학 1981년 5월호 - <하구>, 세계의문학 1981년 여름호 - <우리 기쁜 젊은날> [2] 처음 발표되었을 때 제목은 그 겨울이었다. [3] 원래는 정보석이 500:1의 경쟁률을 뚫고 주연이 되었으나 연기력 때문에 하루만에 잘리고 대신 감독에게 빌다시피 해서 다른 작은 역으로 들어갔다고 한다(아래 줄거리 가운데 1부 '하구' 부분에 등장하는 친구 '황' 배역을 맡았다.) 정보석이 훗날 예능등의 방송에서 종종 얘기하는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