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3:58:55

인포서(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 포지션

G

RD

CF

LD

RW

LW

1. 개요2. 역할3. 타 인포서와의 관계4. 대표 선수5. 여담

1. 개요

NHL에만 존재하는 포지션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아이스하키라는 스포츠의 전략으로서의 포지션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경기 도중 발생하는 몸싸움에서의 역할에 가깝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문제점, 그리고 오늘날의 추세 등은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아이스링크의 파이터들"[1]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아이스하키에서 싸움이 줄어드는 추세이기에 인포서의 필요성도 줄어들었다.

2. 역할

상대팀 1라인 스코어러를 상대로 거친 몸싸움이나 도발을 거는 수비 전문선수중 주로 싸움과 상대 에이스 견제에 주력하는 선수를 뜻한다. 주로 득점력이나 스킬이 떨어지는 선수지만 깡이 있고 수비력이 있는 선수로 주로 3, 4라인에 위치한다.

인포서들은 트레이닝 할 때 일반적인 하키 트레이닝과 더불어 격투기 트레이닝을 한다. 단순한 수비전담이 아니라 좀더 거칠게 상대의 에이스와 비비적대면서 짜증을 유발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도발도 하면서 멘탈을 흔드는 것. 그래서 상대 에이스가 흔들리면 그걸로 OK. 그래서 이럴때는 상대팀에서도 똑같은 인포서들이 나와서 맞불작전을 놓거나, 그 인포서들을 상대로 싸움을 한다.

싸움이 금지된 NHL 밖의 아이스하키에는 크게 의미가 없긴 하지만, 아이스하키는 단체 경기이기 때문에 싸움만 하지 않을 뿐 인포서의 역할인 아군 보호 및 상대 에이스 견제 역할은 당연히 해야 한다. 즉 아이스하키의 3D포지션으로 궂은일을 마다않고 하는 선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인포서는 실력 못지 않게 멘탈과 깡이 강하고 리더십은 물론 팀원들의 신뢰가 두터워야한다. 이런 걸 갖춘 선수는 팀내에서도 주장이나 라커룸 리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스탯이 구리더라도 팬들에게 사랑받는 선수가 될 수 있다.

3. 타 인포서와의 관계

인포서들은 상대팀 인포서들끼리 라이벌리가 생길수가 있는데, 인포서는 상대팀이 자기팀 1라인 에이스를 견제하려고 집중적으로 바디체크를 하는 식으로 달려드는 상대 인포서를 막아야할때도 있다. 이때 인포서는 자기팀 에이스의 보디가드 혹은 프렌드 실드로 주저없이 나서서 필요할 경우 멱살잡고 싸워서 분위기를 띄우거나 자기팀 에이스 대신 페널티를 뒤집어 쓰는등 이름 그대로 인포서처럼 플레이한다. 자기팀 에이스가 괜히 상대팀의 지저분한 견제에 흥분해서 날뛰다가 퇴장을 당하거나 보복을 당하면 그 경기뿐 아니라 시즌을 날려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인포서가 나서야 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NHL 역사 상 최고의 선수인 웨인 그레츠키가 에드먼턴 오일러스에서 로스앤젤레스 킹스로 트레이드 될 때, 자신을 지켜주던 인포서인 마티 맥솔리를 같이 트레이드 시켜주길 요청했던 게 이런 인포서의 존재 이유다 .[2]

싸움을 전문으로 하는 직종 특성 상 다른 팀들 선수들에게 미움 받는 건 당연하지만 인포서끼리 친한 경우도 더러더러 있다. 이유는 이 선수들은 하키장에 싸움이 없으면 존재 의미가 희미해지기 때문에 밥 줄이 끊기는 것. 그래서 슬픈 이야기지만 경기 중 상대 인포서에게 싸움 제의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이봐 나 이번 경기 끝나면 마이너로 강등 당할 거 같은데 한 번만 싸워주라 ㅜㅜ" "하... 어제 이 새로 해서 안 싸우려고 했는데 어쩔 수 없지" 대략 이런 식. 또는 루즈한 경기에 분위기를 띄우고자 그냥 싸우기도 한다.

4. 대표 선수

2015 시즌 NHL의 올스타 MVP였던 존 스콧이 대표적인 인포서.

캐나다의 3~4부리그인 LNAH 퀘벡팀소속의 인포서 스티브 보세는 아이스하키경기를 관전하러온 종합격투기 프로모터의 눈에띄어 종합격투기 선수제안을 받고 수락해 UFC까지 진출했다. 전적은 2승 1패로 괜찮은 전적을 냈고 2018년 프로 복싱으로 전향했다.

5. 여담

산발적으로 강한 바디 체크 때문에 감정이 솟아서 싸우는 하키 파이트는 지금도 일어나긴 하지만 인포서와는 다른 경우다. 이건 어느 선수나 열받으면 그리 될 수 있다. 그나마 아이스링크 위에서 스케이트를 신은 상태에선 펀치를 해도 체중이 실리지 않아 덜 다친다. 다른 스포츠에서 주먹질을 허용하지 않는 걸 감안하면 아이스하키에서도 장기적으로 하키 파이트도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1] 영어 제목은 Ice Guardians [2] 다만 저 마티 맥솔리는 36세 시즌인 2000년 보스턴 브루인스시절 상대 밴쿠버 커넉스의 흑인 아이스하키 선수이자 같은 인포서인 도널드 브래시어의 안면에 하키스틱을 날리는 미친 짓을 했다. 브래시어는 하키스틱을 맞고 그대로 다운되어 아이스링크에 머리를 찍혀서 3단계 뇌진탕으로 그해 시즌 말미에야 복귀했다. 브래시어는 그날의 기억이 없다고 하며, 맥솔리는 이 헤드샷으로 형사고소까지 됐으며 징역형은 피했지만 집행유예 18개월을 선고받고 NHL에서부터 잔여시즌 전체+다음시즌 전체 징계를 받아 커리어가 끝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