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칸토스테가 Acanthostega |
|
학명 |
Acanthostega gunnari Jarvik, 1952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육기어강Sarcopterygii |
계통군 | 견두류Stegocephalia |
과 | †아칸토스테가과Acanthostega |
속 | †아칸토스테가속Acanthostega |
종 | |
|
복원도 |
[clearfix]
1. 개요
데본기에 서식했던 다리라고 할 수 있는 기관을 가진 최초의 척추동물로 해부학적으로 틱타알릭처럼 엽상형 지느러미 물고기가 완전하게 육지로 올라온 사지동물의 중간 형태에 해당한다.[1]2. 연구사
육기류에서 진화한 아칸토스테가는 어류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유선형의 두개골은 육기류와 유사하며 아가미뼈와 감각 기관이 모인 옆줄이 있었다. 또한 어류와는 달리 등추에는 관절 돌기라고 불리는 고리가 서로 맞물려 있어 튼튼한 등뼈로 몸을 지탱할 수 있었다.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육식을 했으며 해엄칠 때는 노처럼 생긴 꼬리를 좌우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었는데, 꼬리 위에 늘어선 지느러미는 골질의 지느러미 줄기가 지탱했다.독특하게도 아칸토스테가의 발가락은 이크티오스테가와는 달리 8개다. 다시 말해 총 32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지구상 어떤 생물보다도 많은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각 발에는 물갈퀴가 있어서 지느러미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상격인 틱타알릭도 육지로 기어 올라왔으니만큼 간혹 육지로도 올라왔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몸을 들고 네발로 걷는 것은 힘들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다리의 팔꿈치가 앞으로 향할 수 없는 구조였으며, 뒷다리도 뒤를 향한 구조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갈비뼈도 짧아서 육상에서 기어다닐 때 내장을 보호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2] 그 외에 폐를 가지고 있었지만 물 밖에서 호흡하기에는 용량이 적어서 주로 아가미로 호흡하며 물속에서 지냈을 것이며, 아마도 용존산소가 부족할 때 물 밖의 공기를 마시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3. 대중 매체
다큐멘터리 <생명 40억년의 비밀> 생명의 재구성 에피소드의 척추동물의 진화과정을 설명하는 부분에 등장하며, 생명 그 영원한 신비 어류의 상륙작전 에피소드에선 화석을 통해 아칸토스테가의 모습을 복원하는 모습이 잠시 등장한다.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선 두 번째로 추가된 토너먼트 한정 양서 공룡으로 에리옵스와 달리 공격에 특화되어 있다. 다만 비싼 가격에 비해 능력치가 크게 좋은 편은 아니다.
[1]
다만 최초의 사지동물은
석탄기 전기에 처음 출현하였기에 아칸토스테가가 진정한 의미에서 사지동물인 것은 아니다.
[2]
이러한 신체구조 때문에 아칸토스테가의 발은 육상 위를 걷기보다는 오늘날의
장수도롱뇽이 그런 것처럼 바닥을 헤집어서 이동할 때나, 바닥을 짚어서 폐호흡을 할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