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0-14 19:29:19

실체파 규모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 목록
목록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9)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5년 01월 13일
21시 19분 38초
Mj 6.6 휴가나다 해역 5-
쓰나미 여부
쓰나미 예보 해제 #
예상 최고높이: 1m
실측 최고높이: 0.2m

1. 개요2. 실체파 규모의 종류

1. 개요

실체파 규모 (Body Wave)란 지진이 발생한 후 최초로 발생하는 P파 혹은 그 다음으로 발생하는 S파 두 지진파[1] 로 계산하는 지진 규모 척도이며, 1956년에 개발되었다. 실체파는 단단한 암반을 직접 통과해 전파된다. 그리고 모든 규모 척도는 로그 스케일이기 때문에 규모가 1이 증가하면 에너지가 31.6배 증가한다. 즉, 실체파 규모도 규모가 1 올라가면 에너지가 31.6배 증가한다는 것이다.[2]

2. 실체파 규모의 종류

mB 규모: 최초로 나온 실체파 규모는 mB나 mB 등 대문자로 표기하며, 베노 구텐베르크와 찰스 리히터가 표면파 사용이 가지고 있는 ML 규모의 거리 및 크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처음 개발하였다. mb 규모는 P파와 S파를 기반으로 더긴 주기로 계산하며, 규모 8 정도까진 포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규모 5.5 보다 작은 지진에선 민감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극 초기에 정의한 mB 규모는 현대에 들어서 별로 사용하지 않고, 표준화된 mBBB 규모를 대신 사용한다.
[1] 실체파라고도 한다. [2] 진폭 10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