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5:19:05

서울 능동 귀걸이

1. 개요2. 특징과 역사3. 참고자료4. 여담5. 같이 보기

1. 개요

대한민국(남한)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고구려 금귀걸이. '금제태환식이식'이라고도 부른다.

2. 특징과 역사

고구려 후기인 5세기 및 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능동(광진구)에서 출토되었다. 그래서 유물 이름이 서울 능동 귀걸이이다.

고구려 금귀걸이의 특징은 후기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커진다고 하며(특히 윗부분), 이로 미루어 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랫부분은 누금세공으로 장식해서 식물 모양으로 새겼다.

남북역사문화교류협회에서 보여주는 고구려 목걸이와 신라 목걸이의 비교(두번째 문단 사진).

3. 참고자료

서울 능동 귀걸이(출저: 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4. 여담

북한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귀걸이도 남한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귀걸이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

2007년 5월에 삼국시대의 금제 귀걸이 및 목걸이를 실물크기와 똑같이 재현시킨 귀걸이와 목걸이가 만들어져 판매되기도 했었는데 그 중 고구려식 귀걸이도 있었다 #.

5.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