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3 23:58:31

생불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실존인물은 불교계에서 실제로 살아있는 부처라 불리는 인물만 근거를 포함하여 작성하고 가상인물은 작중에서 살아있는 부처라 칭송받는 경우만 근거와 함께 기재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실존인물은 불교계에서 실제로 살아있는 부처라 불리는 인물만 근거를 포함하여 작성하고 가상인물은 작중에서 살아있는 부처라 칭송받는 경우만 근거와 함께 기재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비유적 의미

1. 개요

生佛

불교 용어로서 살아 있는(生) 부처(佛)를 뜻하는 말. 비슷한 의미로 활불(活佛)이라는 표현도 있다.

뛰어난 법력 및 인품을 지닌 고승 중 일부가 받는 별칭이다. 생불이란 명칭 자체는 여러 지역에서 누구든 존경받는 스님이면 받을 수 있다.[1]

아래는 20세기 특히 70~80년대 기준 공식적인건 아니지만 이른바 '세계 4대 생불'이라 불리웠던 사람들이다. 물론 세계 몇대 운운하는 내용들이 그러하듯이 출처가 필요하다.

2. 비유적 의미

일종의 속어로서 엄청나게 큰 마음씨를 가진 대인군자를 호칭하는 말로 쓰인다. 노상추일기에도 나오는 것을 보면 조선 시대에도 '생불'이라는 속어가 지금과 같은 의미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1777년 무과에 낙방하고 서울을 떠난 노상추가 난데없는 폭우에 묵을 곳이 없었을 때 김 부장이라는 사람이 노상추와 노상추의 동행들에게 그날 자신의 집에서 묵게 해 주고 식사도 제공해 주었는데, 노상추는 그를 '생불'이라고 부르며 감사를 표했다.
入城內李五必家, 留宿, 以今二十四日, 設討逆陳賀, 庭試設行云, 而余與鄭敬由及淸之, 約行還鄕爲計. 鄭和卿留見陳賀, 知設科與否, 然後還鄕爲計. 與二友, 二十二日發行, 出南大門, 風雨從西南來, 冒雨到漢津, 風波大起, 且大雨如注, 莫適所向矣. 有一丈夫語曰, 當此風雨, 此無店幕, 何以爲之, 余對曰, 救人於因厄之際, 是善事指導, 安過一夜之道如何, 卽答曰然矣, 我家雖陋, 第來之從往, 厥家, 金部將爲號者也. 向暮風殘雨息, 余與敬由, 宿此而留卜物, 淸之則乘暮渡江, 送敬由奴馬及余馬, 命喂于沙坪店, 二人宿江上冷窓, 主人善待突溫飯善, 故安寢, 是所謂生人之佛, 谷谷有之者也.
성내(城內)로 들어가 이오필(李五必)의 집에 머물러 묵었다. 지금 24일에 역적을 토벌해 진하(陳賀)하고 정시(庭試)를 실시한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정경유(鄭敬由) · 정청지(鄭淸之)와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약속하였다. 정화경(鄭和卿)은 머물면서 진하(陳賀)를 보고 과거를 실시하는지 여부를 알아본 뒤에 고향으로 돌아올 계획이다. 두 친구 정경유 · 정청지와 함께 22일에 출발해 남대문(南大門)을 나서니 비바람이 서남쪽에서 불어왔다. 비를 무릅쓰고 한강진(漢江津)에 도착하니 풍파가 거세게 일었다. 또 큰 비가 퍼붓듯이 내리는데 적당히 갈 곳이 없었다. 한 장부(丈夫)가 말하기를
“이와 같은 비바람을 만났는데 여기에 주막이 없으니 어찌하려는가?”
하기에 내가 대답하기를
“재앙이 있는 때에 착한 일로 사람을 구하고, 하룻밤을 편히 지낼 수 있는 방도를 인도하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였다. 그가 즉시 답하기를
“그렇습니다. 우리 집이 누추합니다만 따라 오십시오.”
라고 하였다. 그 집으로 따라갔는데 김(金) 부장(部將)이라는 사람이었다. 저물녘에 바람이 잦아들고 비가 멈추었다. 나와 정경유는 이곳에 묵으면서 짐을 두었고, 정청지는 저물녘에 강을 건넜다. 정경유의 말과 남자 종, 그리고 나의 말은 사평점(沙坪店)으로 보내어 말을 먹이도록 명하고, 나와 정경유 두 사람은 강변의 냉창(冷窓)에서 잤는데, 주인이 따뜻한 방과 좋은 식사로 잘 대접해주어서 편안히 잤다. 이 사람은 이른바 살아있는 부처인데, 마을마다 이와 같은 사람이 있다(是所謂生人之佛, 谷谷有之者也).
노상추일기 정유년( 1777년) 9월 20일 #

생불은 보통 대인군자보다도 한수 위로 자기 주변에 직접적으로 자기 인생을 말아먹을 X맨들이 깔렸음에도 대인군자의 면모를 보여줄때 붙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주변 상황이 그렇게 심각하게 나쁘지 않다 하더라도 본인의 인덕 자체가 정말 궤를 달리할 정도로 뛰어나서 생불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1] 스님이 아닌 경우에도 불리는 경우는 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태국 국왕을 생불로 여긴다. 물론 우상화 정책이라고 대내외적으로 비판하는 세력도 있으니 진지하게 들으면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