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중 1 | 중 2 | 중 3 | 중 4 | 남 1 |
권태호 | 김기환 | 이성룡 | 김종섭 | 안수일 | |
남 2 | 남 3 | 남 4 | 남 5 | 남 6 | |
이장걸 | 안대룡 | 방인섭 | 김동칠 | 이영해 | |
동 1 | 동 2 | 동 3 | 북 1 | 북 2 | |
김수종 | 홍유준 | 강대길 | 손근호 | 문석주 | |
북 3 | 울주 1 | 울주 2 | 울주 3 | 비례 | |
백현조 | 공진혁 | 홍성우 | 김종훈 | 천미경 | |
비례 | 비례 | ||||
권순용 | 손명희 | ||||
* 북 1 정치락 사퇴 (2024.1.10.) | |||||
◀
제7대 |
}}} }}}}}} |
울산광역시의
의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8c95><tablebgcolor=#008c95> |
북구 제2선거구
농소2,3동 北區 第二選擧區 Buk District 2 |
}}} | |||
|
||||||
<colbgcolor=#008c95><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62,295명 (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울산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시의원 |
|
문석주 (재선) |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북구의 농소2,3동 일대를 관할한다.원래 보수 성향이 강하던 지역이었으나, 점점 보수세가 약화되어 5회 지선때 민주노동당이 이 곳을 탈환하기도 하였고, 울산을 온통 붉은 빛으로 물들인 6회 지선에서는 다시 새누리당이 승리하였다가, 더불어민주당이 유례없는 압승을 거둔 7회 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탈환하기도 했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북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다. 애초에 공단 지역이라 국민의힘의 친기업 정책에 반감을 느끼는 사람도 많고, 북구 제1선거구에는 농소1동, 북구 제3선거구에는 강동동, 효문동의 보수세가 있는 반면 여긴 그러한 역할을 할 곳도 없다.
여담으로 민선 4기 강석구 전 북구청장의 시의원 시절 지역구가 이곳이었다.
2. 역대 선거 결과[1]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북구 제1선거구 | ||||
제2대 | 강석구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2] |
북구 제2선거구 | ||||
제3대 | 강석구 |
|
2002년 7월 1일 ~ 2006년[3] | [4] |
제4대 | 이방우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5대 | 이은영 |
[[민주노동당|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6대 | 문석주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7대 | 백운찬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8대 | 문석주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만기(姜萬基) | 9,046 | 2위 |
|
42.40% | 낙선 | |
4 | 강석구(姜錫求) | 12,824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7.5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35,455 |
투표율 62.04% |
투표 수 | 21,997 | ||
무효표 수 | 667 |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석구(姜錫求) | 8,440 | 1위 |
|
53.05% | 당선 | |
3 | 이성근(李成根) | 7,469 | 2위 |
[[민주노동당| |
46.9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9,358 |
투표율 55.25% |
투표 수 | 16,221 | ||
무효표 수 | 312 |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방우(李方雨) | 10,009 | 1위 |
|
54.28% | 당선 | |
4 | 김대영(金大永) | 8,428 | 2위 |
[[민주노동당| |
45.7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4,321 |
투표율 54.48% |
투표 수 | 18,699 | ||
무효표 수 | 262 |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문석주(文碩柱) | 11,846 | 2위 |
|
46.55% | 낙선 | |
5 | 이은영(李銀英) | 13,600 | 1위 |
[[민주노동당| |
53.44%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47,627 |
투표율 54.11% |
투표 수 | 25,771 | ||
무효표 수 | 325 |
2.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3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문석주(文碩柱) | 15,421 | 1위 |
[[새누리당| |
53.21% | 당선 | |
3 | 이은영(李銀英) | 13,555 | 2위 |
[[통합진보당| |
46.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3,369 |
투표율 56.44% |
투표 수 | 30,123 | ||
무효표 수 | 1,147 |
2.6.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백운찬(白雲燦) | 19,329 | 1위 |
|
53.26% | 당선 | |
2 | 문석주(文碩柱) | 11,793 | 2위 |
[[자유한국당| |
32.49% | 낙선 | |
4 | 김도현(金到賢) | 679 | 4위 |
[[민주평화당| |
1.87% | 낙선 | |
6 | 최용규(崔勇圭) | 4,488 | 3위 |
[[민중당(2017년)| |
12.3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7,156 |
투표율 65.02% |
투표 수 | 37,164 | ||
무효표 수 | 875 |
2.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백운찬(白雲燦) | 14,887 | 2위 |
|
49.31% | 낙선 | |
2 | 문석주(文碩柱) | 15,301 | 1위 |
|
50.6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2,295 |
투표율 49.31% |
투표 수 | 30,720 | ||
무효표 수 | 532 |
석 달 전 대선에서 울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으며 승리한 지역이 됨에 따라 치열한 승부가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백운찬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도 문석주 전 시의원을 단수공천하며 설욕에 나선다.
공단의 영향력이 강한 곳임에도 진보정당에서 후보를 내지 않았고,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으면서 양당 1:1 매치업, 그리고 백운찬 후보와 문석주 후보 간의 리턴매치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단 1.37%p(414표차)로 국민의힘 문석주 후보가 가까스로 복수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북구 안에서도 가장 보수세가 약한[5] 농소3동에서 백운찬 후보가 단 64표차(0.47%p)로만 승리한 반면 농소2동에서 문석주 후보가 265표차(1.87%p)차로 승리하며 관내투표에서도 승기를 잡았고, 대선 때도 국민의힘의 손을 들어준 관외사전투표에서도 문석주 후보에게 54.1%를 주며 211표차 더 벌리면서 승리가 확정되었다.[6] 민주당 입장에서는 선거 전 여러 악재만 아니었다면 충분히 가져올 수 있는 지역구라서 더욱 아쉬운 대목.[7]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
[2]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3]
4회 지선
북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4]
농소2동, 농소3동
[5]
얼마 전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유일하게 과반까지 준 동이다.
[6]
대부분 지역에서 관외사전투표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많은 표를 주는 것과는 반대 양상이다. 2022년 들어 두 선거를 통해 포착된 좀 독특한 현상이다. 사전투표율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는데(이제 본투표율과 거의 비슷해짐), 보수 유권자 사이에서도 사전투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여 보수층의 참여율도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7]
여기를 먹었으면 적어도 국민의힘의 울산 전 지역구 싹쓸이는 저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