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伯樂[1]본명은 손양(孫陽). 생몰년 미상.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인물로, 말을 감정하는 상마가(相馬家)라는 직업에 종사하던 인물이었다. 그 안목이 특출나 그가 고르는 말은 백이면 백 명마였다고 한다. 이에 사람들이 본명인 손양 대신 백락이라는 별명으로 불렀다고 하며, 현대에도 본명보다는 별명이었던 백락으로 주로 불리는 인물이다.
2. 일화
이 인물에 대해 두 가지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첫째는 백락일고(伯樂一顧)라는 고사로. 백락이 한 번 뒤돌아본다는 뜻이다. 어느 날 말을 팔려는 사람이 백락에게 와서 말 감정을 부탁했다. 그 사람은 꼭두새벽부터 말을 팔려고 나왔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사려고 하지 않아 난감한 지경에 있었다. 간곡한 부탁에 못 이겨 따라나선 백락의 눈에 비친 그 사람의 말은 생각보다 훨씬 좋은 준마였다. 놀란 백락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감탄하는 표정을 지은 채 한동안 말을 바라보다가 아깝다는 표정을 지은 채 그 자리를 떠났다. 유명한 백락이 그리하는 것을 본 사람들은 앞을 다투어 그 말을 사려고 했고, 말 주인은 처음 생각했던 값의 열 배가 넘는 돈을 받고 말을 팔 수 있었다.
둘째는 백락상마(伯樂相馬). 백락이 말을 관찰한다는 뜻이다. 초나라 왕이 백락에게 좋은 말을 구해오라는 명을 내렸다. 명을 받은 백락이 길을 나서던 중 소금장수의 마차와 마주쳤다. 소금마차를 끌던 말은 비쩍 마르고 볼품없이 생겨 언뜻 보기에는 아무데도 쓸데없어 보이는 말이었는데, 천하의 명인이었던 백락은 단번에 그 말이 천리마의 자질을 갖추고 있음을 직감했다. 불세출의 천리마로 태어나 왕을 태우고 세상을 호령했어야 할 말이 보잘 것 없는 먹이를 먹고 비쩍 마른 채 소금수레를 끌고 있는 모습을 보자 백락은 절로 측은지심이 들어 입고 있던 베옷을 벗어 말의 잔등을 덮어 주었다. 그러자 말은 자신을 알아주는 데 감격해 길고 우렁차게 울었다.
소금장수에게서 말을 사 온 백락이 초나라 왕에게 그 말을 보이자, 초나라 왕은 대뜸 화를 내었다. 좋은 말을 구해오라 했더니 웬 비루먹은 말 한마리를 끌고 덜렁덜렁 왔으니 화가 날 수밖에. 하지만 말에 대해서는 이길 자가 없다는 백락이 강권하는지라 초나라 왕도 못 이긴 체 며칠간 기다려 보기로 하였다. 백락이 비루먹은 천리마에게 나라 안에서 가장 좋은 먹이와 마굿간을 내주어 힘써 보살피니 말은 곧 비쩍 말랐던 예전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어지고 위풍당당한 천리마의 모습을 되찾았다. 이에 초나라 왕이 몹시 기뻐하며 바로 말 위에 올라타 채찍을 한 번 휘두르니 말은 그 길로 천 리를 질주했다 한다.
이 두 가지 고사는 모두 재능이 세상에 어떻게 드러나고 어떻게 쓰이는가에 관한 우화로서 후세에 전해지고 있다.
伯樂敎其所憎者相千里之馬, 敎其所愛者相駑馬
以千里之馬時一有, 其利緩 駑馬日售, 其利急 - 韓非子 第23篇 說林
以千里之馬時一有, 其利緩 駑馬日售, 其利急 - 韓非子 第23篇 說林
한비자에는 제자에게 말 감정법을 가르치는 고사가 나온다. 자신이 미워하는 자에게는 천리마 감정법을 가르치고 좋아하는 자에게는 짐말 감정하는 법을 가르쳤다. 천리마는 드물기 때문에 이익 보는 것이 더디고, 짐말은 거래가 활발하니 이익을 빠르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일화는 현대의 자동차 업계에도 그대로 적용되는데, 헨리 포드는 상위 5%가 아니라 하위 95%를 위한 자동차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론하에 짐말이라고 할 수 있는 포드 모델 T를 출시하여 20세기 초 승용차 시장을 석권하고 컨베이어 벨트 생산 방식을 자동차 뿐 아니라 여러 산업 분야 전반에 퍼뜨렸다. 21세기 현재도 천리마에 해당되는 고급 승용차 시장보다 짐말에 해당되는 일반 승용차와 트럭 시장이 훨씬 더 거대하며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제품 분야를 살펴봐도, 천리마라 할 수 있는 시그니처 모델은 대부분은 제품 자체로 이윤을 보기보다는 회사의 인지도를 높이는 홍보 수단의 용도에 더 가까우며 실질적인 매출은 일반적인 모델이 책임진다.
[1]
樂의 음이 하도 많아서 국내에는 대체로 널리 쓰이는 '락'으로 읽는데
광운에 따르면 이 인물의 이름은 '백로'로 읽는게 맞다.
반절이 魯刀(ㄹㅗ+ㄷㅗ = 로)切이기 때문. 다만 한중일 모두 관습적으로 백락으로 읽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