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02 03:50:20

밀라노 프로젝트


1. 개요2. 상세
2.1. 왜 추진되었나?2.2. 추진 상황
3. 결과

1. 개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대구광역시의 낙후된 섬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섬유사업으로 탈바꿈 시키고자 김대중 정부에서 마련한 정책이다. 대구광역시를 이탈리아 밀라노처럼 국제 섬유패션 도시로 키운다며 시작한 조단위의 대형 국책 과제다. 이후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으로 이름을 바꿔 더 지원했다. 지역 클러스터사업 시초 격이라 더 기대를 모았던 사업이나 결과는 만신창이다.

2. 상세

대구는 1950년대 이래로 값싼 인건비와 경부선이 지나가는 비교적 편리한 교통망으로 인해 섬유산업이 급속히 발달했는데 1960년대 이후로 수출을 위해 경공업을 집중육성하면서 대구에 경공업 중심의 염색산업단지가 만들어졌고, 섬유산업은 1990년대까지 대구를 먹여살리는 산업이 되었다. 이에 따라 대구의 인구도 매년 급속히 증가하여 1955년에 48만이었던것이 1970년에 106만, 1985년에 202만으로 15년에 한번씩 인구가 두배씩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섬유산업이 탄소섬유 같은 고부가가치 섬유를 만드는 것이 아닌 말그대로 방직산업, 즉 저임금에 의존했던지라 1990년대에 소득수준의 상승에 따라 섬유업체들이 더 싼 노동력을 찾아 동남아와 중국 등으로 이전하였고, 중국 섬유산업의 발달에 따라 내수시장에서도 중국제 섬유제품이 점유율을 확보하면서 하향세로 접어들었는데, 섬유를 대체할 다른 산업의 발달이 미진한 상태였기 때문에 결국 1990년대 초반부터 대구의 경제성장률은 전국에서도 하위권으로 쳐지기 시작했고 침체되기 시작한 섬유산업 지원에 1986-97년 산업합리화 업종 지정 명목으로 예산 2700억이 투입되었으나 효과는 미미했다.

이에 급속히 증가하던 대구의 인구도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정체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IMF 외환위기로 해외로 이전하지 않은 섬유기업들도 잇따라 연쇄도산해서 침체되던 섬유산업이 더욱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러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지역의 대표산업인 섬유산업을 되살리기 위한 정책이 추진된다.

2.1. 왜 추진되었나?

1998년 김대중 정부의 출범과 함께 경상도의 민심을 달래기 위해 대구 경북을 위한 대형 국책사업이 시행된 것이 바로 밀라노 프로젝트다.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바뀐 정권과 이에 대한 보상책으로 급조된 프로젝트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때 대구 섬유산업은 대구 전체 매출의 50%에 육박하는 대표산업이었다. 따라서 유권자들의 대부분이 섬유산업 종사자라도 해도 무방할만큼 이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서는 섬유산업에 대한 지원책이 무엇보다 주효했을 것이다.

밀라노 프로젝트는 90년대 이후로 점점 매출이 줄어들고 악화되고 있는 대구의 섬유산업을 지원하여, 경쟁력 있게 만들고 패션 분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야심찬 계획이었다.

국민의 정부에서도 자민련과 연정을 꾸리던 상태에 레드 콤플렉스로 각종 공격을 당하던 상황을 몸소 겪어봤기 때문에 대구 살리기에 꽤나 적극적으로 나섰고 경제기획원 차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출신의 문희갑 당시 대구시장의 중앙정치에서의 영향력 확대라는 두개의 박자가 맞아 떨어지며 추친된 사업은 섬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탈바꿈 시키자는 의견이 수립되었다.

2.2. 추진 상황

1단계로 1998년에서 2003년까지는 무려 6,800억원(국비 3,760억원, 지방비 515억원, 민자 2,615억원)의 혈세를 쏟아부어 섬유산업을 회생시키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2단계 사업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추진되었으며 혈세 1980억이 투입되었다. 섬유뿐만 아니라 메카트로닉스와 한방, 모바일산업 등으로 확대됐다. 이 시점부터 사실상 밀라노프로젝트는 죽은 프로젝트가 되었다.

3단계 사업은 2008년부터 추진되었다. 이명박 정권의 탄생으로 간신히 살아난 해당 사업에는 4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2005년 사업 초기 대구시의 요구에 의해 주어진 권한은 대부분 박탈되어 산업자원부가 다시 맡는 형태로 돌아갔다.

3. 결과

2005년 감사원은 지난 달 31일 대구시가 섬유산업 진흥을 위해추진해온 일명 ‘밀라노 프로젝트’의 핵심인 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에 대해 “타당성을 면밀히 분석,사업의 추진 여부를 전면 재검토 하라”고 통보했다. 사업을 시작한지 5년째인 2004년 8월말까지도 사업 진척률은 1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산업연구원은 ‘4대 지역 진흥사업 평가와 후속사업 기본방향 연구’에서 “패션어패럴밸리를 조성하겠다는 사업은 현실성이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 대구 지역 내 봉제업체가 지나치게 적어 해외 기업 유치는커녕 국내 비(非)대구지역 기업 유치도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지적이었다.

그리고 각종 비리로 인해 자금은 떼먹히고 시장은 구속되고 대기업 유치도 실패하는 바람에 결국 밀라노 프로젝트는 흐지부지 되고 말았다. 진보적인 패션과 보수적인 지역정치권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 결과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을 정도. 결국 대구의 인구는 인천에게 밀리기 시작하여 전국 제4의 도시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그래도 건진게 있다면 섬유산업단지 이시아폴리스 정도이다. 이시아폴리스엔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다이텍연구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위치하고 있는데 2010년대에 와서 예산부족과 방만운영으로 질타받고 있다.

이같은 혹평에도 불구하고 대구시와 일부 섬유 관련기관들은 밀라노프로젝트를 아직 실패라고 단정짓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즉 구조개선 정책 추진때의 산업 성과는 초기에 악화됐지만 이후 10년에 걸쳐 개선 성과가 나타나는데 밀라노프로젝트도 이 경우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14년 뒤, 이 사업과 관련해 밀라노와 맺었다던 자매결연은 '거짓'으로 드러났다.

밀라노 프로젝트 전면 재검토(2005.03, YTN)

당시 대구의 섬유패션도시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 2000년에 '패션이'라는 마스코트를 만들기도 했다. 물론 아직까지도 이 '패션이'를 잘 아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대구시에겐 일종의 흑역사가 된 캐릭터이다.
파일:대구광역시 마스코트 패션이.svg

대구 FC 관련 짤방 "쉬메릭 선수"가 이 밀라노 프로젝트의 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