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8:51:08

2020 CD3

미니 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태양계
Solar Syste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nopad> 목성형 행성 [A]
항성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소행성체 왜행성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 카론 등 5개)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36472 마케마케 ( S/2015 (136472) 1)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 디스노미아)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지구위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ea152><colcolor=#fff> 위성
준위성 2004 GU9 · 2006 FV35 · 2013 LX28 · 2014 OL339 · 카모오알레바 · 2023 FW13
임시 위성 1991 VG · 2006 RH120 · 2020 CD3 · 2024 PT5
✝: 지구의 힐 권(Hill sphere)을 벗어난 임시 위성
}}}}}}}}} ||
파일:2020 cd3.webp
2020 CD3
구분 임시 위성(~ 2020년 3월 7일)[1]
지구 궤도 공유 천체
아폴로 소행성
지구접근천체
지름 1.9 ~ 3.5 m 추정
질량 4,900 kg 추정
궤도 장반경 1.025317654 천문단위(AU)
원일점 1.064673127 천문단위(AU)
근일점 0.985962181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 0.844727739°
이심률 0.038383688
공전 주기 379.2일
70~90일 추정(임시 위성 궤도 주기)
겉보기 등급 24.09 (2020년 1월 25일 기준)
절대 등급 (1AU) 31.67(±0.34)
최대 지구 접근 거리 0.00175554 천문단위(AU)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지구임시 위성. 지구의 위성인 것은 사실이나 2006 RH120과 같은 일시적인 위성이다.

2. 상세

미국 항공우주국이 지원하는 천체 관측 프로젝트인 '카탈리나 스카이 서베이(CSS)' 연구진이 2020년 2월 25일 발표한 지구의 임시 위성. 발견 자체는 동년 2월 15일 레먼산 천문대에서 발견되었다.

4~5년 전 지구 중력에 의해 지구 궤도로 끌려온 소행성으로 이를 발견한 천문학자 캐퍼 위어초스 미국 애리조나대 행성과학과 선임연구원은 "2020 CD3의 지름은 약 1.9~3.5m 사이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2020 CD3은 4년 이상 지구 주변 궤도를 돌았지만 크기 때문에 희미해서 포착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2020 CD3은 2015~2016년 즈음부터 약 4~5년간 지구의 두번째 위성으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2020년 3월 7일 지구를 떠났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준위성으로 전환되거나 벗어날 때 쯤 달의 인력에 이끌려서 손자위성이 될 가능성도 보고 있다. 손자위성 자체가 상당히 희귀한 상황이라 가능성은 아주 낮은 편.

서양에서는 지구의 2번째 위성이라는 아이덴티티 때문인지 꽤나 화제가 되었으며, 이 때문에 SNS에서는 미니 문(Mini Moon)이라는 별명을 짓기도 했다. 전술했듯 떠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발표되자 아쉬움을 표하는 네티즌들은 물론 학자들도 있었다.

2014 AA처럼 1AU 기준 절대 등급이 30보다 작은 극소수의 소행성 중 하나이며, 크기 때문에 설령 지구에 충돌하더라도 눈에 띄는 영향은 미치지 못한다.[2]
[1] 출처 : A Fleeting Moment in the Solar System [2] 일반적으로 절대 등급이 30등급인 소행성들의 크기는 약 5m 이하다. 적어도 10m는 되어야 눈에 잘 띄기 시작하며,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을 일으킨 소천체의 크기는 약 16.8m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