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4cbb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wiki style="color:#4cbb17;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좌석 | ||
간선 | |||
지선 | |||
순환 | |||
낭만 | |||
섬지역 마을버스 | |||
폐지된 노선은 목포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
1. 노선 정보
목포시 간선버스 1번 | |||||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해양대차고지) | 종점 |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오룡리(오룡주차장) | ||
종점행 | 첫차 | 05:5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20 | 막차 | 22:10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20~25분 | ||
운수사명 | 목포운수 | 인가대수 | 16대[1] | ||
노선 | 해양대차고지 - 목포대교입구 - 목포해상케이블카 - 해양대후문 - 해양대학교 - 신안비치호텔 - 국제여객선터미널 - 남초등학교 - 목포역 - 2호광장 - 연동파출소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석현동 - 석현삼거리 - 하나로마트입구 - 시민문화체육센터 - 옥암푸르지오 - 주공회룡마을 - 남악복합주민센터 - 남악고 - 오룡중학교 - 행복중학교 - 오룡푸르지오2차 - 오룡주차장 |
2. 개요
목포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다.3. 역사
- 1972년을 기준으로, 대반동에서 선창 - 역전 - 삼학양조장 - 연동(현재의 연동광장)~ 검문소 - 상리(상동) - 석현리(현재 석현동)를 거쳐 무안군 삼향면 대양리(현재 목포시 대양동)까지 운행하였다. 즉. 처음에는 무안까지 가는 시계외 노선이었던 것.[2] 인가대수는 15대 였으며, 배차간격은 3분이었다. 1972년 당시의 1번은 현재의 1A번과 거의 똑같다. 30번과의 통합이전의 1번은 해양대에서 석현동까지만 갔지만 1A번은 대양동까지 운행했기 때문이다.
- 대반동종점은 대략 2006년 쯤 사라지고 해양대종점으로 옮겨졌다가 해양대종점도 사라졌다. 대반동종점은 현재 신안비치호텔 입구 삼거리 자리에 있었으나 종점 부지도 협소했고 도로가 확장되면서 사라졌다. 횡단보도 쪽에 작게 공원을 조성한 곳과 도로 중앙까지 과거 종점이었다.
- 원래 본선을 포함한 모든 노선이 천일약국 - 목포문화원 - 남일극장 루트의 좁은길로 다녔으나 2000년대 초반 근화희망타운 지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동명어시장 - 동명동사거리 - 남초교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6년 개편 때 1A번도 동명동사거리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4년까지 여객선터미널 →서산초등학교 방향만 좁은 길을 따라 운행하였다.
- 2007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지간선제가 도입되며 간선버스 노선이 되었다.
- 2016년 5월 1일 개편 때는 공식적으로 1-1번과 1-2번이 폐선되었으나, 1-2번은 운행계통상으로나 노선번호로는 살아 남았다.
- 해양대종점이 폐쇄되면서 2019년 5월 7일에 30번과 통합하여 '해양대후문 - 어민동산 - 홍일중.고교 - 대성동우체국 - 산정동주민센터 - 동부광장 - 용당광장 - 문태중.고교 - 목포중앙여중 - 시민문화체육센터 - 옥암푸르지오 - 남악아이파크 - 회룡마을 - 남악상록.옥암모아엘가 - 애향중 - 도립도서관 - 남악중앙시장 - 남악고 - (→ 오룡중 →/← 남악부영아파트 ← 신동아파밀리에 ←) - 남악풍경채' 구간이 연장되었다. 목포시 공지사항 또한 1A번, 1-2번과 인가가 분리되었다.
- 2020년 10월 22일부터 '제일풍경채아파트 - 오룡호반써밋 - 오룡주차장' 구간이 연장되었고, 남악제일풍경채아파트 정류소가 아파트 서편에서 동편으로 이설되었다.
-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개회식, 폐회식, 제43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개회식, 폐회식 당시 셔틀버스 연계를 위해 실내체육관으로 임시연장하여 운행했었다.
-
2024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구 30번 구간이
신 2번으로 분리되었으며, 해양대 - 석현동 구간과
60번의 석현동 - 남악 구간을 통합해 해양대 - 대반동 - 목포역 - 버스터미널 - 석현동 - 남악 - 오룡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해양대 방면으로 운행할때 송광아파트를 들리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folding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2024년 7월 13일부터 주말감차가 시행되어 주말엔 17대로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4년 11월 1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2-1번으로 이동하였다.
- 2025년 1월 1일부터 목포시 공영버스가 시행되어 회사가 유진운수, 태원여객에서 목포운수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2대가 감차되었고, 시간표가 변경되어 평일/주말 배차가 10~15분/20~25분으로 늘어났다.
4. 특징
- 1번이라는 첫 번째 번호를 가진 노선에 걸맞게 '남서 ↔ 북동 축'(영산로)[3]을 직선으로 운행한다. 그렇기에 버스터미널, 목포역, 여객선터미널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다.
- 행정구역 상 무안군에 속하는 남악지구, 오룡지구 구간의 경우 구간요금이 존재하긴 하나, 2014년에 남악신도시 요금 단일화가 시행되어 기본요금과 구간요금의 차액은 무안군이 대신 지불한다.
- 90년대 중반 이후 백년로의 개통과 북항지구, 하당지구 택지 개발등이 이루어지며, 백년로 연선인 북서-남동 간선축이 발달하자 중요성이 약간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 예전에는 1-1, 1-2, 1-3, 101번, 소반동 지선, 실내체육관 지선, 근화희망타운 지선 등 잡다한 지선 노선들이 많았으나 1-2번과 1A번(근화희망타운)을 제외하고 전부 통폐합 되었으며 1-2번과 1A번도 2019년부로는 기점이 달라지면서 인가가 분리되어, 현재는 본선만 남았다.
- 원래 본선은 목포시 경계 내에서만 운행했지만 30번과 통합 후 무안군 일로읍 오룡지구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 해양대차고지에서 8시 40분까지 나온 차는 오룡 왕복으로 해양대차고지에서 종료, 그 이후에 나온 차들은 오룡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석현동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오룡 왕복 막차인 8시 40분 차는 해양대차고지에 11시 30분에 도착하고, 오룡에서 운행 종료하는 막차는 10시 20분에 해양대차고지에서 출발, 11시 40분에 오룡에서 운행종료를 한다.
-
목포역,
목포종합버스터미널에서
1987 촬영지로 알려진 연희네 슈퍼로 가는데 아주 유용하다. 구목포수협에서 하차. 배차간격이 좋아서 터미널 앞, 역 앞에서도 자주 다닌다.[4]
- 편도 운행시간은 80분, 왕복 운행시간은 170분이다.
- 2024년 개편 이전에는 노선거리가 너무나도 길고 비효율적이라 20시부터는 오룡까지 운행하는 차량과 해양대 중간종료 차량이 각각 20분 간격으로 번갈아서 나왔다. 당시 해양대 중간종료 차량은 2019년 이전에 쓰던 행선판을 사용했다.
4.1. 배차간격
대반동을 기점으로 하던 시절부터 배차간격이 불규칙했다. 본선이 대반동에서 공단종점(현. 석현동차고지)까지 운행하고 지선 노선이 공단 이후로 연장되는 형태라서, 101번을 포함한 7개 지선이 통합하여 배차하였고 때문에 버스터미널, 공단방향은 본선과 지선 버스가 일정한 간격으로 도착했었다. 반면 돌아올 때는 지선들이 장거리 노선들이라 아무리 본선 배차간격으로 고려해서 출발해도 이미 버스터미널부터 두 대가 연달아 오거나 정말 심한 경우 10분 이상 간격까지 벌어지는 등 배차간격이 불규칙했었다.대안으로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목포역을 직선으로 쏘는 200번, 300번, 800번 등이 있어서 급하다면 좌석버스 요금을 내더라도 이용할 만도 하겠지만, 이 노선들이 목포역 방향으로 갈 때는 영암/무안에서 탄 승객들이 주로 내리기만 하기 때문에 기사들도 이 구간에서는 손님 태울 의지가 없는지 멀리서 버스가 보일 때부터 적극적으로 타겠다는 의사를 표현하지 않으면 오던 속도 그대로 지나간다. 버스터미널처럼 확실히 정차할 만한 정류장 아니면 대안으로 이용하기도 어려웠다. 그래도 이 문제는 지선 노선이 대거 정리되는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상당 부분 해소된 문제다.
그러다가 2019년 5월 7일 30번과 통합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배차간격 문제가 생겨났다. 버스가 시간표대로 배차되어 나가는 곳은 석현동 기점 한 곳 뿐이라 이미 오룡주차장 회차점에서 배차간격이 심각하게 깨져서 회차하기 시작해서 다시 해양대를 통과할 쯤에는 이미 배차간격은 벌어질 대로 벌어진다. 예전에는 목포역에서 버스터미널(석현동) 갈 때 버스 타기가 매우 편했었는데 지금은 5분 간격으로 버스가 오다가 15분~30분이 다 되어도 버스가 안 오는 불규칙한 운행간격 문제가 심각하다.
다만 2024년 개편으로 구 30번 구간이 다시 분리되어서 배차간격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봐도 된다.
현재 2024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으로 배차간격은 10~12분이다.[7][8]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목포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6. 파생노선
6.1. 구 1A번(근화희망타운 지선), 1-2번(군산동 지선)
자세한 내용은 목포 버스 20\ 문서 참고하십시오.7. 폐선된 연장지선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7.1. 1-1번
목포시 간선버스 1-1번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해양대종점) | 종점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용포리(용포3구)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60분 | ||||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 인가대수 | -[9] | ||
노선 | 해양대학교 - 여객선터미널 - 목포역 - 2호광장 - 연동파출소 - 홈플러스 - 문화방송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석현동 - 임성리역 - 초당산마을 - 아이파크.전남개발공사 - 김대중광장 - 용포1구 - 용포2구 - 용포3구 |
1번 버스의 첫번째 연장지선인 이 노선은 남악신도시 개발 이전부터 존재하던 노선으로, 남악지구의 아파트단지들이 생기기 전에 있던 마을들, 용포리의 마을들, 그리고 현재 남악리 안동마을 등의 주민들을 위해 존재하던 노선이다.
1번 노선의 해양대 - 석현동 구간을 운행 후 석현삼거리, 임성리역, 상용, 초당산마을, 법원(검찰청), 아이파크, 한라비발디, 남악주공회룡마을, 전남도청, 남악리젠시빌, 남악부영아파트 등을 경유하여, 안동마을, 용포1~3구까지 운행했다. 이 노선은 1번 노선 차량 중 3대의 차량이 그 때 그 때 상황에 따라 배차하고 1시간 간격으로 운행했다
남악신도시 개발 이전에는 상용 이후 구간을 '상용 → 남악 → 안동 → 용포3구 → 무내미 → 상용' 구간을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1-1번과 시계방향으로 운행하는 1-3번 이렇게 두 노선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두 노선에 1대 씩의 차량이 각각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남악신도시에 전라남도청이 입주하자 2005년 10월 18일부터 도청을 경유하게 되었다.
2007년 1월에는 남악리젠시빌을 출퇴근시간에 한해 임시로 경유하기도 하였다.
동명동사거리 구간 대신 구 조흥은행-남일극장 구간을 경유하기도 하였고, 2000년대 초반에 하당지구를 경유한 적도 있다.
2007년 3월 대개편 때 1-1번과 1-3번을 폐선하고 108번에 1대를 넘겨줬다. 대신 108번이 기존 '상용 - 대안동 - 무내미' 구간에서 '상용 - 전남도청 - 안동 - 용포1~3구 - 무내미' 구간으로 변경하였다.
하지만 기존 108번 이용객들의 반발이 심하여, 2007년 4월 1일에 108번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1-1번이 부활했다. 부활된 1-1번은 무내미 구간을 경유하지 않고, '상용 - 전남도청 - 안동 - 용포1~3구' 구간을 1시간 간격으로 양방향 운행하는 형태로 바뀌고 1-3번은 그대로 사라졌다.
1-1번 단독운행 체계로 바뀐 이후 2008년경 남악신도시의 아이파크, 주공회룡마을, 남악리젠시빌, 남악부영아파트 등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옥암지구 애향중학교가 개교하면서 2010년 9월 18일에 아이파크 앞을 경유하지 않고[10] 한라비발디, 모아엘가 등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하지만 남악신도시가 확장되면서 노선굴곡이 늘어나며 편도운행 시간이 60분에 달해 배차간격 유지가 점점 힘들어졌다.
임성, 남악지구, 용포리 등 시외구간을 경유하며 시계외요금이 존재한다.
- 1번에 투입되는 차량들 일부가 교대로 투입해 운행했다. 때문에 전면에는 1-1번 표시가 있었으나 측면이나 내부안내도에는 1번 표시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1번 외에도 간혹 같은 간선 도색을 사용하는 30번이나 2번, 13번 등의 차량이 투입될 때도 있었다.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의 옥암지구 이전으로 인하여 2011년 5월 16일부터 '초당산마을 - 아이파크(남악주공2차)' 사이에 노선을 연장하여 법원(검찰청)을 끼워서 운행중이다.[11] 인근 도로구조가 좀 거시기하다보니 해양대 방향과 용포3구 방향 차량 모두 법원 앞 정류장에 정차하니 타기 전에 방향을 확인해야 했다. #
지도상으로만 봐서는 갑자기 노선을 이탈(?)하여 법원을 찍고 다시 원 노선으로 복귀하는 형태라 선형이 나빠보였다.
2대가 60분 간격으로 20회를 운행했는데, 날이갈수록 노선이 길어지며 배차간격 유지가 어려워지다가.. 2011년 12월 기준 3대를 투입하는 듯.
2013년 12월 9일부로 남악부영애시앙 뒷길이 빠지고 남악골드디움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2014년 8월 25일 부로 법원 구간이 빠지고 남악주공회룡마을과 남악부영애시앙 사이에 전남도청 구간과 남악고 구간이 빠지고 김대중광장-남악근화베아채(정문)구간으로 직선화되었다. 105번 노선도 폐선되고 전남도청이 생길 때부터 도청을 경유한 유서 깊은 노선이었는데 도청 가는 버스는 60번만 남게 되었다. 그 이후 9번 버스가 생기면서 옛말이 되었다.
2016년 5월 1일 버스 개편 때 폐선되었다. 1-1번이 다녔던 구간인 임성리~초당산마을, 용포리 구간은 800번이 운행하게 된다.
7.2. 1-3번
목포시 시내버스 1-3번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해양대학교) | 종점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용포리(용포3구)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20분 | ||||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 인가대수 | -[12] | ||
노선 | 해양대학교 - 인어바위 - 여객선터미널 - 동명동사거리 - 목포역 - 2호광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우진아트빌 - 중앙병원 - 석현삼거리 - 임성 - 상용 → 무내미 → 용포1~3구 → 전남도청 → 상용 → 이후 역순 |
- 2007년 3월에 108번과 통합되며 폐선되었다. 실질적으로는 108번 노선이 한 달 만에 환원되고 1-1번 버스도 부활하면서 1-1번과 통합된 셈이다.
7.3. 101번
목포시 시내버스 101번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해양대학교) | 종점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상마리(청계초등학교)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 | ||||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 인가대수 | -[13] | ||
노선 | 해양대후문 - 해양대학교 - 인어바위 - 여객선터미널 - 동명동사거리 - 목포역 - 2호광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우진아트빌 - 중앙병원 - 목포가톨릭대학교 - 전남예술고입구 - 지산 - 목포대학교 - 상마리 |
- 이 노선을 무안읍으로 연장시켜 만든 노선이 200번이다.
- 200번 좌석버스가 생기기 전에는 잘 나가던 노선이었지만 좌석버스 신설 이후 승객이 점점 줄어들다가, 2007년 3월 개편 때 200번과 중복이라는 이유로 폐선되었다. 청계에서 회차하는 방식이 아니라 종점에서 휴식 후 배차시간에 맞춰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 현재의 한국폴리텍대학 정류장이 마지막 정류장이었고 조금 더 가면 종점이 있었다. 버스 2대에서 3대 정도를 세울 수 있는 비포장 공터와 작은 건물이 있었다. 승하차는 가능했지만 정류장 표지가 없었는데 노선 폐지 후 그 자리에 정류장을 따로 설치하지 않았고 해당 부지도 사라져 현재는 흔적을 찾기 어렵다. 행선판이나 노선 안내도에는 청계라고만 표기되었으나, 몇몇 노선 안내자료에는 상마2구를 종점으로 표기한 자료들이 있었다.
7.4. 1번(실내체육관)
목포시 시내버스 1번(실내체육관)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해양대학교) | 종점 |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실내체육관)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60분 | ||||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 인가대수 | -[14] | ||
노선 | 해양대학교 - 인어바위 - 여객선터미널 - 동명동사거리 - 목포역 - 2호광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우진아트빌 - 중앙병원 - 목포가톨릭대학교 - 실내체육관 |
7.5. 1번(소반동)
목포시 시내버스 1번(소반동) | |||||
기점 |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북항종점) | 종점 | 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동(석현동차고지) | ||
종점 행 |
첫차 | ?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60분 | ||||
운수사명 | 태원여객, 유진운수 | 인가대수 | -[15] | ||
노선 | 북항종점 - 해양대학교 - 인어바위 - 여객선터미널 - 동명동사거리 - 목포역 - 2호광장 - 홈플러스 - 목포과학대학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 우진아트빌 - 석현동차고지 |
- 과거 시점이 대반동이었을 때 시점을 대반동에서 북항종점까지 연장해서 다녔던 노선이다. 해당 구간은 왕복 2차선에 도로가 구불구불하고 연선 거주인원이 적어 1시간 간격으로 운행했다. 당시에는 이 노선이 해양대로 다니던 유일한 노선이었다.
- 2006년 해당 구간의 도로를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하면서 대반동종점이 없어지고, 기점을 해양대후문으로 변경되면서 해당 지선이 본선으로 편입되어 사라졌다. 현재 1번 노선이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출발해서 석현동까지 갔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8. 둘러보기
목포시 ↔ 무안군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목포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무안읍 | |
청계면 | ||
몽탄면 | ||
삼향읍 · 일로읍 |
1남악
2-1남악
3-1남악
77-1남악
|
|
남악: 남악신도시 지역만 경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무안군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좌석버스 | |
농어촌버스 |
50임성리역
55임성리역
|
|
임성리역: 임성리역만 경유. |
[1]
주말 및 공휴일에는 10대 운행
[2]
물론 현재는 모두 목포시에 편입되었다.
[3]
구 중앙로. 새주소체계에서 다른 시군 구간과 합쳐 '영산로'로 변경되었다.
[4]
정류장은 바닷가쪽 4차선 도로에 있다.
[5]
20-1번은 석현동 방향으로 하루 8회 뿐이라 대안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6]
목포역에서는 300번, 800번은 다른 정류장에서 정차하기도 하고 배차간격이 90~120분이다.
[7]
평일기준으로 오룡 중간출발 차량은 8분, 해양대 출발은 10~12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8]
주말에는 10~15분 간격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9]
1번 차량으로 운행했었다.
[10]
대신 아이파크 옆구리에 있는 안 쓰던 정류소에 정차.
[11]
초반 보도자료에는 '석현삼거리 - 그린씨앤지 - 태원골프연습장 - 임성역 - 삼향읍사무소 - 종월촌 - 상용마을.옥남초교 - 초당산마을 - 아이파크' 노선을 '석현삼거리 - 하나로마트 - 부주산입구 - 시민문화체육센터 - 법원.검찰청 - 아이파크'로 변경한다고 적혀 있었으나, 실제로는 그냥 연장하는 걸로 끝났다. 기존 노선 이용자들의 반발 및 60번과의 중복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12]
1번 차량으로 운행했었다.
[13]
1번 차량으로 운행했었다.
[14]
1번 차량으로 운행했었다.
[15]
1번 차량으로 운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