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9:43:44

melonDS

멜론DS에서 넘어옴
파일:melonDS 로고.png
공식 홈페이지 공식 GitHub
1. 개요2. 상세3. 호환성4. DraStic과의 비교
4.1. 앱 자체의 기능
4.1.1. 안드로이드 버전
4.2. 게임 호환성
5. 기타

[clearfix]

1. 개요

melonDS는 오픈 소스 닌텐도 DS 에뮬레이터이다. DeSmuME 프로젝트가 사실상 중단되면서 새로운 NDS 에뮬레이터의 유망주가 되었다.

2. 상세

melonDS는 lolSNES와 blargSNES, 그리고 DeSmuME 개발에도 참여했던 꽤 유명한 에뮬레이터 개발자인 Arisotura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해당 개발자는 DeSmuME 프로젝트에서 해보지 못한 것들, 예를 들어 실제 닌텐도 DS 같이 BIOS에서 펌웨어를 부팅시킨다거나[1] Wi-Fi를 이용한 로컬 통신 기능을 추가하는 것 등을 해보고 싶어 독자적인 melonDS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한다. 프로젝트 시작일은 2016년 6월 20일이며, 대중에게 처음 0.1 버전을 공개한 것은 2017년 5월 30일이다.

그리고 실제로 개발자가 하고 싶은 걸 둘 다 이뤘다! BIOS에서 부팅하는 걸 실제로 성공해서 melonDS를 사용할 때에는 BIOS도 닌텐도 DS에서 추출해서 넣어줘야 하며, Wi-Fi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플레이도 지원하고 있다.

DeSmuME와 비교했을 때 더 깔끔한 화면 출력과 다양한 레이아웃, 쾌적한 에뮬레이트 (같은 컴퓨터에서 DeSmuME는 버벅이는데 melonDS는 쾌적하게 돌아가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를 지원하는 것이 장점이다. 0.9.1 버전부터는 제대로 된 전체화면 모드도 지원한다.

0.9.4 버전에서 DraStic의 FreeBIOS 클론을 기본으로 넣어주게 되어서 일반 DS모드로는 따로 바이오스와 펌웨어를 넣어주지 않아도 작동하게 되었다. 단 DSi모드로 하려면 여전히 바이오스와 펌웨어를 추출해서 넣어야한다.

업데이트 주기의 경우 핫픽스가 필요한 정도의 중대한 버그가 있는 게 아니라면 보통 3개월에 1번 꼴로 업데이트 된다.

3. 호환성

melonDS는 폭넓은 호환성을 지닌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공식적으로 윈도우 64비트 및 x86-64 ARM 기반의 리눅스 macOS[2]까지 지원하고 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안드로이드 버전과 iOS 버전도 있다. 이 정도면 사실상 모든 OS에서 지원된다고 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

안드로이드 버전의 경우 개인 개발자 GitHub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3] iOS 버전의 경우 Delta라는 에뮬레이터 앱에 melonDS 엔진이 내장되어 있는 형태이며 AltStore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Delta 공식 홈페이지 Delta 설치 방법 최근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설치가 가능해진 상태다.

개발자에 의하면 32비트용 JIT를 따로 개발하기는 어려울 것 같아서 앞으로도 32비트 OS는 지원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했다. 그리고 동시에 64비트 OS를 잘 돌리는 사양이기만 하면 웬만한 게임들을 원활하게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4. DraStic과의 비교

NDS 에뮬레이터 중에서 성능이 가장 뛰어난 것은 드라스틱인데, 이것과 비교해 보면 melonDS의 성능을 가늠할 수 있다.

4.1. 앱 자체의 기능

4.1.1. 안드로이드 버전

  • 배속: 배속을 했을 때, 드라스틱보다 훨씬 빠르다.
  • 불러오기: 드라스틱은 게임을 종료할 경우 마지막 플레이 지점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그 부분에서 불러오기가 가능하지만, 이쪽은 게임 종료 시 무조건 리셋되어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 타 기기와의 통신: 드라스틱은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 기능이 없지만, 이쪽은 와이파이를 통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 비활성화: 드라스틱은 버튼과 터치 기능 양쪽 모두 비활성화가 가능하지만, 이쪽은 버튼만 비활성화 할 수 있다.

4.2. 게임 호환성

게임명 호환성 비고
그려라, 터치! 내가 만드는 세상 O [4]
마법천자문 DS 2 O [5]

5. 기타



[1] 기존 NDS 에뮬레이터들은 바이오스를 거치지 않고 직통으로 펌웨어를 부팅시킨 것이다. [2] ARM 기반의 Apple M1도 지원된다. [3] 사용법은 블로그 참고 [4] 드라스틱은 스테이지 내에서 그림을 그린 뒤에 저장을 하면 맵이 보이지 않는 버그가 있는데, 이쪽은 그런 거 없다. [5] 드라스틱은 한자 쓰기 유형에서 그은 획이 표시되지 않는데, 이쪽은 그런 거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