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국제 |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
|
한국 |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 뉴스핌 GAM배 페어 기전 SG배 단체전 퓨처스리그 |
||
일본 |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
||
중국 |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 ||
대만 | 종합 기전 왕좌전 |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기타 |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동양증권 후원의 국제 바둑 기전.'동양증권배'라는 줄임말로도 유명하다. 한국 국내 최초의 국제 기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깊은 기전이다.
2. 역사
한국이 1988년 응씨배 우승이라는 고무적인 성과를 이룩한 뒤 응씨배와 후지쯔배와 같은 국제 기전 또한 국내에서 유치되었으면 하는 열망 또한 높아졌다. 이런 열망에 힘입어 구 동양증권(현 유안타증권)[1]이 1억원[2]의 우승 상금을 내걸고 개최한 국제 기전이 동양증권배다. 이는 최초의 한국기원 개최의 세계 대회로서, 훗날 삼성화재배와 LG배 등의 한국기원의 국제 기전 개최를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했다.하지만 대회 초기의 구조는 그다지 순탄치 못했다. 특히 1, 2회 대회[3]의 경우 참가 기사층이 국제 기전이라 칭하기 어려울 정도로 척박했으며, 사실상 국내 기사 위주로 진행되었다. 설상가상으로 1회 대회 때는 당시 바둑계 최강자였던 불참한 조훈현[4]과 서봉수, 떠오르는 신예 이창호가 모두 조기에 탈락하는 바람에 양재호와 장수영이 결승에서 만나기도 했다.[5] 그러다 3회 들어 국제 기전으로서의 인지도가 격상되면서 참가 기사층의 풀이 넓어졌다. 당시 존재했던 국제 기전인 응씨배, 후지쯔배, 그리고 동양증권배를 석권하면 그랜드슬램이란 칭호를 받았을 정도.[6]
이창호로서도 의미 깊은 기전인데, 그가 최초로 우승한 국제 기전이기 때문. 이전까지는 여러 차례 스승을 꺾는 포스를 보였음에도 타이틀 보유 기록은 국내 기전에만 국한되어 있어 '국내용'이란 오명 아닌 오명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제3회 동양증권배에서 린하이펑[7]을 꺾고 우승을 차지한 뒤 각종 국제 기전에서 우승을 쓸어담으며 승승장구하게 된다. 게다가 7회 대회서 중국의 1인자 전기 6회 우승자 마샤오춘을 꺾은 것도 의미 깊은 기록. 전기 대회 우승자 마샤오춘을 상대로 축머리 묘수로 단번에 역전시키면서 우승했고, 그 뒤로 마샤오춘은 이창호를 상대로 승리한 적은 있으나, 결승전 번기 승부에서는 승리하지 못했다.
4~9회 까지는 한,중,일 일본,중국이 그야말로 일정 연기를 여러번 내세워 아무렇지도 않게 요구하여 어림없는 일이었다.
그러다 1998년, 외환위기로 인해 동양증권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대회 폐지가 결정되어 최초의 한국 국제 기전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래도 동양증권의 바둑 후원 움직임은 계속되어 '동양종합금융증권배 한중일 국가대항전', '동양증권배 타이젬 왕중왕전'으로 명맥을 이었고, 한때 온미디어를 통해 바둑TV를 소유한 적이 있기도 했다.
3. 역대 우승자
- 단위는 당시 기준.
회차 | 년도 | 우승자 | 전적 | 준우승자 |
1 | 1988 - 1989 | 양재호 七단 | 3:1 | 장수영 八단 |
2 | 1989 - 1990 | 서봉수 九단 | 3:1 | 이창호 五단 |
3 | 1990 - 1992 | 이창호 五단 | 3:2 | 린하이펑 九단 |
4 | 1992 - 1993 | 이창호 六단 | 3:0 | 조치훈 九단 |
5 | 1993 - 1994 | 조훈현 九단 | 3:1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6 | 1994 - 1995 | 마샤오춘 九단 | 3:1 | 녜웨이핑 九단 |
7 | 1995 - 1996 | 이창호 七단 | 3:1 | 마샤오춘 九단 |
8 | 1996 - 1997 | 조훈현 九단 | 3:0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9 | 1997 - 1998 | 이창호 九단 | 3:1 | 유창혁 九단 |
[1]
유안타증권이 '동양종합금융증권'이란 명칭을 썼을 때는 이 대회가 없어진 뒤였다.
[2]
당시 물가 수준을 감안하면 지금은 최소 2~3억 정도 될 것으로 예상.
[3]
1회 대회는 특이하게도 32강 ~ 4강까지의 대국이 동시간에 치러지지 않았으나, 2회 대회는 대국이 동시간에 치러졌다.
[4]
제1회 응씨배 출전에 임하기 위해 불참함
[5]
그래서 흥행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측면도 있었다.
[6]
3개 대회 우승을 처음으로 달성한 인물이 바로
조훈현. 1989년 응씨배 우승, 1994년 동양증권배와 후지쓰배 동시 우승.
[7]
이창호의 유년 시절 가장 존경하는 기사였다는 멘트로도 유명하고 둘로서는 첫 대결이기도 했다. 린하이펑은 자신의 아들보다도 한살 어린 기사를 상대하느라 부담감에 휩싸였다고. 실제로도 이창호는 당시 만16세 우승으로 국제 기전 최연소 우승 기록까지 경신했다.
판팅위가 아슬아슬하게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