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東明1925년부터 1980년까지 동명목재상사를 주축으로 한 목재/제조업 특화 기업 집단. 라이벌 성창기업처럼 부산을 대표한 목재 재벌이었으나 신군부 세력에 의해 해체 당한 기업 1호였다.
2. 역사
1925년 목공 강석진이 경상남도 부산부 부산면 좌천동에 있는 일본인 가구점 근처에 '동명목재소'를 연 게 시초다. 1945년에는 범일동으로 이전/확장한 뒤 1949년에 '동명목재상사'로 사명을 바꾸고 1959년에 인도네시아에서 원목을 수입해 가공하고 1961년에는 미국에 처음으로 수출해 호평을 받았다. 1964년에는 남구(당시 부산진구) 용당동에 대규모 목재 가공 공장을 만들었다. 거기에 1967년엔 부산은행을 세워 1968년에는 명예 회장에까지 추대됐다. 1973년에는 부산투자금융까지 세웠다.1965년 당시 국내 재계 서열 1위의 재벌이었고 1970년대 당시에는 한국에서 7년 연속 수출 1위 기업이었다. 해체 직전까지만 해도 동명해운, 동명산업, 동명중공업, 동명개발, 동명식품으로 구성된 6개의 다양한 자회사와 동원공업대학(現 동명대학교), 동원공업고등학교(現 동명공업고등학교)[1]를 보유한 굴지의 재벌이었다. 거기에 1977년에는 '동명불원'을 세웠다.
74년도 종합소득세신고소득금액 순위표 (신고분) <단위 천원> |
||||
순위 | 성명 | 주된 소득 장소 | 소득 금액 | 자진 납세 |
1 | 강석진 | 동명목재 | 4,785,473 | 811,342 |
2 | 조중훈 | 대한항공 | 1,490,524 | 501,700 |
3 | 권철현 | 연합철강 | 425,125 | 145,129 |
4 | 이상순 | 원풍산업 | 367,571 | 91,954 |
5 | 단사천 | 한국제지 | 305,909 | 86,841 |
6 | 전중윤 | 삼양식품 | 301,944 | 75,498 |
7 | 주창균 | 일신산업 | 293,987 | 78,586 |
8 | 서정귀 | 호남정유 | 288,478 | 93,718 |
9 | 장병희 | 영풍광업 | 278,896 | 67,772 |
10 | 최기호 | 영풍상사 | 278,634 | 68,094 |
1974년도 종합 소득 순위를 보면 1위에 강석진 동명목재 회장이 위치해 있다.
2.1. 해체
▲신군부에 의하여 강압적으로 작성한 강석진 회장의 포기 각서
하지만 1979년 장남 강정남에게 사장직을 맡긴 후 방만한 운영과 해외 원목 가격 상승, 국내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1980년 국보위에 의해 표면상 강제 헌납 명분으로 1980년에 어이없게 강탈당해 사라지고 말았고 계열사들은 한국산업은행의 관리를 받다가 정리되거나 각자 다른 기업에 매각됐다. 일설에 의하면 박정희 시기였던 1969년에 김대만 당시 부산직할시장이 수뢰 혐의로 구속된 적이 있는데 이를 강석진 회장이 변호하다가 같은 시기 동명불원[2]을 고급묘로 이장하는 것이 차지철의 시야에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이것이 해체 원인이라는 소문이 있지만 이건 명백한 거짓이다. 이후 1980년 국보위가 들어서자마자 동명목재 노동자 투쟁이 벌어진 적이 있었는데 이 투쟁이 그룹 자체를 와해시켰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전두환 정부 시절 비슷한 이유로 희생된 국제그룹과 비교하면 둘 다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성장한 재벌이었던 공통점이 있고 당연하게도 두 그룹의 창업자 모두 말로를 어이없게 맞이하였다.
2008년에야 진실화해위원회가 신군부에 의한 강탈이라고 밝혔지만 실의에 빠진 강석진 회장은 동명목재를 강탈 당한 후 화병을 얻어서 1984년에 이미 작고했고, 아들 강정남 전 사장 등 후손들이 1988년 청원서를 내고 1997년 국가를 상대로 반환 소송을 걸어 1998년 1심 승소를 거뒀지만 이후 2000년 2심, 2002년 상고심에서 각각 패소당했다. 2010년에도 국가 및 부산시, 해운대구 등을 상대로 토지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가 2011년 1~2심 전부 시효가 지나 번번이 기각 당하고 말았다. 공장 터는 현재의 감만부두 및 신선대부두 자리에 걸쳐서 있었다.[3]
그나마 옛 계열사 중에 구 오너 가문이 소유하는 거라고는 동명대학교와 동명공업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동명문화학원 정도다. 그 외에 동래구에 있는 해바라기 맨션도 계열사 동명개발이 금양이라는 업체와 공동으로 건설한 것이고 현재도 남아있다.
3. 계열사 목록
- 동명목재상사: 1980년 부도 후 1981년 도산됨.
- 동명산업: 1981년 도료 부문이 대우그룹으로 매각되어 '동주산업'으로 변경됐다가 1983년 개인사업가 이준수에게 매각된 후 대우그룹 관계사 노릇을 하다 2006년 미국 PPG社에 매각되어 'PPG코리아'가 됨.
- 동명중공업(現 모트롤): 1977년 동명산업에서 분리됐으며, 주로 전동 지게차를 만들던 업체였다. 배터리 전기 차량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당시 꽤나 시대를 앞섰던 것이다. 당초에는 일본 니치유와 기술제휴로 전동 지게차를 만들었으나, 이후 이른시기에 니치유 FBR형을 참고해서 자체 기술로 전동 지게차 고유모델 개발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룹 해체 후 1984년 대우그룹 계열 동양유압에 넘겼다가 1987년 그룹에서 계열 분리됐고 2007년 '동명모트롤'로 바꿨다. 2008년 두산중공업에 인수되어 두산모트롤이 됐다가 2010년 (주)두산으로 합병. 다만 2020년 두산그룹에서 계열 분리되어 '모트롤'이 됨.
- 동명해운: 그룹 해체 후 선박이 동성해운으로 넘어감.
- 동명개발
- 동명식품: 舊 남진식품. 1980년 정리됨.
- 동명수출포장
- 동영제지
- (주)동원
- 학교법인 동명문화학원
4. 관계사 목록
- 부산은행: 1980년 그룹 해체 후 지분 일부가 롯데그룹으로 매각했으며 2011년 BS금융지주 설립 후 자회사가 됐다. 이후 BNK금융지주로 사명 변경.
- 부산투자금융: 1980년 동일한 이유로 럭키그룹에 매각했고 1994년 LG종합금융으로 변경했다가 1999년 LG증권에 합병.
5. 관련 문서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 동명대학교
- 국제그룹: 전두환 정부 시기에 비슷한 이유로 사라진 재벌이다.
- 명성그룹: 전두환 정부 시기에 비슷한 이유로 사라진 재벌이다.
- 대한선주: 서주우유로 유명한 윤석민 회장이 1973년에 김연준 한양학원 초대 이사장에게서 대한해운공사를 인수한 국내 굴지의 해운 기업이었으나 1980년대에 불어닥친 해운업의 불황으로 인해 경영난이 겹치자 이에 전두환 정부가 1987년에 제정한 '해운산업 합리화조치'에 따라 경영에서 손을 떼면서 한진그룹에 인수되어 한진해운과 합병했다. 그러나 전두환 퇴임 이후 5공 비리 폭로에 편승한 윤석민 전 회장이 대한선주가 5공에 정치 자금을 안 바쳐서 망했다고 '해운산업 합리화조치'가 위헌이라 주장하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냈으나 1995년에 헌법재판소는 '문제 없다'고 일단락했다. 참고.
6. 참고/외부 문헌
- 한국기업흥망사 - 공병호 저. 명진출판. 1993. p89~93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산역사문화대전 자료
- 동명목재 사건 조사보고서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2008.
[1]
동명공업고, 동명정보공업고등학교, 부산항만물류고등학교를 거쳐 2019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했다.
[2]
가족묘였다고 한다.
[3]
감만부두와 신선대부두 사이에 현재도 남아있는 동명부두가 과거에 동명목재 공장이 있었다는 사실을 암시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