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2:45:10

변연계

대뇌변연계에서 넘어옴

🧠 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d5c5c> 구조 대뇌 뇌량 | 전두엽 ( 운동 피질 · 브로카 영역 ) | 두정엽 ( 감각 피질 ) | 측두엽 ( 해마 · 베르니케 영역 ) | 후두엽 | 둘레엽 | 뇌섬엽
사이뇌 송과선 | 시상 | 시상하부 | 시상밑부 | 시상상부
소뇌
뇌간 중뇌 | 교뇌 | 연수
기저핵 선조체 | 창백핵 | 흑질 | 시상밑핵
그 외 뇌실 | 뇌척수액 | 변연계 ( 편도체 · 해마 )
주요 신경전달물질 글루탐산 | GABA | 도파민 | 세로토닌 | 아세틸콜린 | 노르아드레날린 | 히스타민
이론 뇌가소성 | 브로드만 영역 }}}}}}}}}


1. 개요2. 이름의 유래3. 구조
3.1. 변연엽(limbic lobe)3.2. 해마와 그와 연결된 조직들
4. 관련항목

1. 개요

변연계(, limbic system)는 대뇌피질 간뇌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부위로, 겉에서 보았을 때 귀 바로 위쪽(또는 측두엽의 안쪽)에 존재한다. 감정[1], 행동, 동기부여, 기억, 후각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변연계, 둘레계통이라고도 한다.

변연계라는 개념은 정신의학, 신경학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정확한 기능과 정의는 계속 변화되고 있다.

2. 이름의 유래

변연계(limbic system)는 1952년에 의사이자 신경과학자인 폴 D. 매클린에 의해서 처음 도입된 단어이다. 다만 브로카 영역의 폴 브로카는 1878년에 뇌의 이 부위를 "le grand lobe limbique" 라고 처음으로 불렀다.

"limbic"은 경계, 가장자리를 뜻하는 라틴어인 limbus에서 따온 말로, 특히 의학에서는 해부학적인 구조의 경계를 뜻한다. 브로카는 기능적으로 다른 뇌 내의 두 구조 사이에 낀 물리적인 위치를 지칭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려고 만들었다.

3. 구조

변연계는 변연엽과 그 안에 해마와 그와 연결된 조직들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limbic_sys01.svg
복측(앞쪽)에서 바라본 해부학적 위치에서 변연계의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한 그래픽예시
특히 꼬리핵(미상체)와 조가비핵을 함께 아울러 선조체(striatum)라고도 한다. 이 선조체 꼬리와 해마체(hippocampus)의 머리영역(치상회)이 만나는 영역에 편도체(amygdala)가 놓여서 위치하고 있다. 한편 담창구(globus pallidus)는 조가비핵(putamen)과 시상(thalamus)사이에 끼여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구형(ball)의 신경다발 덩어리이다. 아직까지 유두체(mammillary body,MB)의 주요기능은 시상과 담창구 그리고 선조체로 이어지는 경로의 메커니즘에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마와 뇌량대상피질(retrosplenial(cingulate)cortex) 신경세포 다발이 뇌궁의 그것에서 처럼 유두체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2]

3.1. 변연엽(limbic lobe)

  • 해마곁이랑(parahippocampal gyrus): 공간기억을 형성하는 역할
  • 띠이랑(또는 대상회,cingulate gyrus): 심박수, 혈압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기능, 인지적 과정, 주의집중과정에 관여
  • 치아이랑(치상회(DG),dentate gyrus):이빨모양의 형태로 새로운 기억의 형성에 관여한다고 연구 및 보고되고있다. 해마 줄기를 형성하게 되는 연합뉴런(inter-neuron)들과 과립세포(granule cells ,GC)들의 신경다발은 해마를 드나드는 모든 정보들이 예외없이 이곳을 거치게 되는 곳이다.[3][4]
  • 뇌들보밑이랑(subcallosal gyrus) : 뇌량하부
※ 덧붙여 아래의 구조들도 때에 따라 변연계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
  • 내후각피질(entorhinal cortex): 기억과 관련
  • 조롱박피질(piriform cortex): 후각과 관련된 기능
  • 뇌활이랑(fornicate gyrus): 띠이랑, 해마곁이랑을 합쳐서 뇌활이랑이라고도 한다.
  • 측좌핵(nucleus accumbus): 보상, 기쁨, 중독과 관련
  • 안와전두엽피질(orbitofrontal cortex): 의사결정과 관련된 구조

3.2. 해마와 그와 연결된 조직들

  • 해마(hippocampus): 뿔처럼 곡선으로 생긴 2개의 조직으로 그 끝에 편도체가 있다. 인지능력과 관련이 깊고 장기기억형성, 공간지각을 위해 필요한 조직이다. 해마가 손상되면 손상되기 전의 기억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손상된 후에는 새로운 기억을 생성할 수 없다.
  • 편도체(amygdala): 보상과 공포, 그리고 짝짓기와 같은 사회적 기능과 관련 있는 구조로 2개의 아몬드 모양의 신경 집합체이다. 편도체는 해마를 자극하여 환경을 둘러싼 여러 세부사항을 기억하게 한다.
  • 뇌활(뇌궁): 해마에서 유두체와 사이막핵(septal nuclei)으로 신호를 전달해주는 C자 모양의 축삭돌기 다발.
  • 유두체 또는 유선체(mammillary body): 뇌활의 앞쪽 끝에 있으며 인지기억(recognition memory)과 관련이 있다.
  • 사이막핵(septal nuclei): 뇌량(corpus callsum)의 아래쪽에 있으며, 후각신경구, 해마, 편도체, 시상하부, 시상 등에서 오는 상호 신호를 받는 부위이다. 후각과는 관련이 없으며 보상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후각신경구(olfactory bulbs)
  • 시상앞핵(anterior thalamic nuclei)
  • 고삐교차연결(habenular commissure)

4. 관련항목


[1] 분노,공포와 같은 감정은 변연계에서, 기쁨,슬픔과 같은 감정은 전두엽에서 느끼는것으로 추측된다.(참고로 일본의과대학교수가 쓴 2005년 출간된 책의 내용인데 오래되었고 추측성이라 신뢰성은 떨어짐) [2] eNeuro. 2018 Jan-Feb; 5(1): ENEURO.0383-17.2018. Published online 2018 Mar 8. Prepublished online 2018 Feb 26. doi: 10.1523/ENEURO.0383-17.2018 ,PMCID: PMC5844061 ,PMID: 29527569 Collateral Projections Innervate the Mammillary Bodies and Retrosplenial Cortex: A New Category of Hippocampal Cells ,Lisa Kinnavane,corresponding author Seralynne D. Vann, Andrew J. D. Nelson, Shane M. O’Mara, and John P. Aggleton # [3] News Release 5-Dec-2019 Between arousal and inhibition , Why nerve cells in the brain process information differently ,University of Freiburg Claudio Elgueta & Marlene Bartos , DOI 10.1038/s41467-019-13533-3 # [4] Published: 05 December 2019 ,Dendritic inhibition differentially regulates excitability of dentate gyrus parvalbumin-expressing interneurons and granule cells , Claudio Elgueta & Marlene Bartos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