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2:58:54

자유의 다리

내일의 기적소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유의 다리 옆에 놓였던 철교에 대한 내용은 임진강철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임진각망배단.jpg
망배단 뒤로 보이는 자유의 다리, 임진강철교, 그리고 독개다리.[1]
파일:attachment/e0662240a4a4dbdf0d804cd31b0f77a5.jpg
임진강 위에 놓인 임진강철교 하행선과 밑으로 보이는 자유의 다리.
자유의 다리

1. 개요2. 역사
2.1. 6.25 전쟁 전후2.2. 자유의 다리 복원2.3. 또 한 번의 복원
3. 여담4. 외부 링크5. 경기도 기념물 제162호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와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를 잇던 교량. 1953년 건설되었으며, 길이 83m, 폭 4.5~7m[2], 높이 8m 내외의 목조 다리[3]이다. 1996년 12월 24일에 경기도 기념물 제162호로 지정되었다. 판문점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와 함께 6·25전쟁의 비극을 상징하는 시설물이다.

2. 역사

2.1. 6.25 전쟁 전후

자유의 다리가 건설되기 전에는 경의선 철교가 상행과 하행 2개가 있었는데, 6.25 전쟁 때 폭격으로 파괴되어 다리 기둥만 남게 되었다. 1953년 휴전 협정 이후 교환포로들을 통과시키기 위해 서쪽 교각 위에 철교를 복구했고 그 남쪽 끝에 임시 교량을 가설했는데, 이 임시로 가설된 교량이 바로 자유의 다리이다. 휴전협정 이전에는 노상리 쪽 마을명을 따서 독개다리라고 불렸는데, 이후 북쪽에 잡혀 있던 공산군의 포로 중 12,773 명의 한국군과 유엔군이 자유를 찾아 귀환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포로들은 차량으로 경의선 철교까지 온 뒤 걸어서 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이후 군사적 목적뿐 아니라 판문점 회담을 위한 경로로서의 필요성 때문에 임진강철교의 서쪽 교각을 일방통행 도로교로 이용하면서 이를 연결하기 위한 도로로 이용되었다.[4]

2.2. 자유의 다리 복원

2000년 1월 1일에 예전 자유의 다리 위치였던 임진강철교 하행선 옆이 아닌 근처의 다른 위치에 새로 자유의 다리를 조성하였다. 덕분에 일반인도 직접 자유의 다리를 걸어보며 체험이 가능하다. 자유의 다리 양옆으로는 철조망이 무한정으로 뻗어있는데 철조망을 따라서 형형색색의 소원이 적힌 리본이 매달려있다.

자유의 다리로 가는 길 아래 한반도 모양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통일연못이 있는 공원이 있다. 예전에 자유의 다리를 헌병이 지키고 있었는데 이 점을 살려 헌병 캐릭터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다.

복원된 자유의 다리 끝으로 가면 태극기와 각종 염원을 적은 천들로 뒤덮여있다. 천들을 들추고 그 너머를 바라보면 막혀있다. 자유의 다리 끝을 넘어가면 북한인 줄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자유의 다리 너머는 남측 민간인 통제선이다.

2.3. 또 한 번의 복원

2016년 12월에 한국전쟁 당시 건설되었던 자유의 다리 위치인 임진강철교 하행선 옆에 독개다리[5] 스카이워크 '내일의 기적소리'를 개장하였다. 길이 105m, 폭 5m 규모로 복원하였다. 이로써 복원된 자유의 다리가 두 개가 되는 셈. 이 복원된 독개다리는 민통선 내에 걸쳐져있는데, 국방부의 별도 출입허가 절차 없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민통선 내에서의 사진 촬영은 금지하고 있다.[6] 바닥에는 특수 유리를 설치하여 전쟁당시 탄흔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당시의 객차와 철로의 모습도 전시하고 있다. 끝부분인 '미래'구간의 1층에는 반개방형 전망공간으로 끝 부분에 강화유리를 부착해 다리 아래와 임진강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층 역시 전망대로 활용하고 있다.

내일의 기적소리는 2000년에 복원된 자유의 다리와는 다르게 유료이다. 개장시간은 동절기(11월 ~ 2월) 오전 9시 ~ 오후 5시, 하절기(3 ~ 10월)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이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 요금은 대인 2,000원, 12세 이하 어린이는 1,000원이다.

이 '내일의 기적소리'라는 이름은 다름아닌 고은 시인이 직접 지었는데, 2017 ~ 2018년 고은 시인에 대한 각종 미투 폭로로 파문이 일자 2018년 3월 19일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는 내일의 기적소리에서 고은 시인의 이름을 스티커로 가리고 안내판을 철거했다고 밝혔다. 가리기 전 이곳에는 ‘분단 65년, 한반도 통일의 열망을 담아 고은 시인이 명명하고 쓰다’라는 안내판과 ‘내일의 기적소리’ 시와 지형도를 담은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결국 시인의 이름은 스티커로 가려졌으며, 안내판은 철거되었다. #

3. 여담

비록 자유의 다리는 끊겼지만 사실 임진강을 건널 수는 있다. 자유의 다리 인근에 왕복 4차선의 통일대교가 건설되었고, 임진강철교 상행선과 경의선 복원공사가 완료되면서 임진강을 건널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자유롭게 넘어다닐 수는 없는데, 통일대교의 경우 사전에 허가증을 받아야하며, 임진강철교의 경우 도라산역으로 가는 길목인지라 일반인이라면 DMZ-train을 이용하거나 임진각에서 안보관광을 통해 버스로 통일대교를 건너는 방법이 그나마 가장 건너기 쉬운 방법이다.

4. 외부 링크

5. 경기도 기념물 제162호

자유의 다리는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 광장 앞 망배단 뒤편에 놓인 다리로 문산 시가지 북쪽 2km 부근에 있는데 임진강의 남과 북을 잇는 유일한 통로였 다. 원래 경의선 철교는 상ㆍ하행 2개의 교량이 있었으나 폭격으로 파괴되어 교각만 남아있던 것을 후에 전쟁 포로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서쪽 교각 위에 철교를 복구했고 그 남쪽 끝에 임시 교량을 가설했다. 예전에는 노상리 쪽 자연마을 의 이름을 따서 독개다리라고 불렸으나 1953년에 공산군의 포로였던 12,773 명의 국군과 유엔군이 자유를 찾아 귀환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자유의 다리는 6개의 경간(徑間)으로 이루어진 목조 평교(平橋)형식으로 길이는 83cm, 폭은 4.5~7m, 높이는 8m 내외이다. 순수한 목구조는 아니고 인장 력을 많이 받는 부분에 철재를 사용하여 만든 혼합 구조이다. 통나무가 4개씩 4열로 세워진 교각 위에 사각 받침목과 Ⅰ자형 강(鋼)으로 만 든 철제 보를 井자형으로 짰고, 그 위에 장선(長線)을 놓인 후 나무로 만든 상판을 올려서 마감하였다. 특히 구조적으로 안정을 기하기 위해 수평재와 가새가 많이 사용되었다.

판문점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와 함께 6·25전쟁의 비극을 상징하는 이 다리는 7·4 공동성명 이후 남북회담 대표 들이 지나다닌 길목이 되었다. 자유의 다리는 임시로 가설된 교량이므로 건축적으로 뛰어난 점은 없으나 ‘자유로의 귀환’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을 대 표하는 근대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6. 관련 문서


[1] 사진에서 맨 앞에 가로로 가로지르는 다리가 자유의 다리, 강 맨 왼쪽에 있는 다리가 임진강 철교 하행선, 중간에 다리 기둥만 남은 것이 임진강 철교 상행선, 그리고 맨 오른쪽에 있는 일부만 복원된 다리가 최근에 시공한 독개다리이다. [2] 차 한 대가 겨우 지날 수 있다고 한다. [3] 다만 인장력을 많이 받는 부분에 철재를 사용하였다. [4] 당초 문서에서는 전쟁직후 철거되었다고 나오는데, 에 보면 1970년대에 자유의 다리가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자유의 다리의 옛 이름으로, 근처 지명을 따서 불렀던 이름이다. [6] 완전 불가능은 아니고 복원된 복개다리 기준으로 정면으로는 촬영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