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본 문서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여러 사유로 인하여 취소되었습니다.
1. 개요
2000년대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추진했었던 페이퍼 플랜. 지상 987m[1]에 260층 랜드마크 빌딩과 더불어 주변에 80~100층 마천루 6채 정도가 같이 들어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보다 거대한 프로젝트였다. 완공되었으면 부르즈 할리파보다도 더 높은 건물이 될 수 있었으며, 지반 때문에 1,600m는 무리였는지 포기하고 1,000m 이상으로만 잡았다. 그러니 완공되었다면 어찌 되었을지는 모르는 일.종종 세운상가 랜드마크로도 불린다. 중구는 민선 4기 핵심 사업 중의 하나로 서울 도심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내 240층 이상 초고층 빌딩 건립을 추진했었다.
2. 추진 경위
중구가 서울 도심에 1,300m에 260층이 넘는 초고층 빌딩 건립을 추진하게 된 것은 1970~80년대 강남 위주의 개발 정책과 강북 개발 규제로 강북 도심의 건물과 도시 기반 시설이 노후되고 슬럼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강북 도심은 유동인구 감소와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었고, 사람이 살지 않는 도심 지역에 대한 투자 기피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결국 도심의 활기를 잃었다. 이에 중구는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청계천변에 건축물의 총 면적을 늘리지 않고 높이만 높여 세계에서 제일 높은 초고층 빌딩을 건립함으로써 세운재정비촉진지구의 개발 촉진은 물론 칙칙한 중구의 활력을 소생시키고자 했다.중구는 청계천변과 남북 녹지축이 교차하는 지점에 260층의 세계 최고층 빌딩을 건립해 도심의 문화 유적과 종묘~남산을 연결하는 녹지축, 청계천 등과 어우러진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를 만들고자 했다.
3. 문제점
중구가 고려하지 못한 서울 도심 내 커다란 장애물이 하나 있었다. 도심부발전계획에 의해, 한양 4내산[2]( 북악산, 남산, 낙산, 인왕산) 중 가장 낮은 낙산의 높이를 기준으로, 건축물 높이를 90m 이하로 일률 규제하고 있었던 것이다. 도심 내 건물 높이 규제는 육백 년 역사가 담긴 성관 도시 서울의 역사성 보호와 도심 주위 4개 산에 '둘러싸인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 한다. 서울시는 유럽의 사례를 바탕으로 2000년부터 이 법을 시행하고 있다.[3]설령 고도 제한 규제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서울 사대문 안의 도로는 저런 초고층, 초고밀도 개발 행위 허가를 받아낼 수 없다. 종묘, 창덕궁 등 문화재와의 극단적인 스카이라인 부조화와 광역교통계획의 부재로 실현 불가능한 계획이다. 기존의 서울 사대문 안의 도로는 극심한 포화상태이며 이 정도의 대규모의 개발은 기존 도심의 교통 수용량이 감당할 수 없다.
또한 서울 내에 사대문 안이 아니더라도 용산, 잠실, 강남, 여의도 등 초고층 마천루가 들어설 곳은 많다. 굳이 극심한 교통 혼잡과 문화재와의 이질감을 감수하면서까지 사대문 안에 저런 마천루가 건설될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 단지 페이퍼 플랜이었을 뿐이다.[4] 그러나 구도심 재활성화가 지지부진해 구도심 인근 지역(강북)의 쇠퇴가 가속되자 국토교통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사업을 통해 경기 남부 지역과 거의 동일한 소요 시간으로 사실상 현재 서울의 제1도심 기능을 하고 있는 강남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도권 전철망을 고속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