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20:30:20

금강불괴

금강불괴(무협)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포츠 관련 유행어에 대한 내용은 금강불괴(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무협소설에 대한 내용은 금강불괴(소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공의 경지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경지 삼류 → 이류 → 일류 절정 초절정 화경 현경 생사경
검도 검기 검사 검강/ 신검합일 검환 이기어검술 무형검/ 심검
관련 문서 무협 용어/ 분류 · 무림의 세력 · 무공

1. 개요2. 능력3. 역사
3.1. 변형, 사용
4. 기타

[clearfix]

1. 개요

스포츠 관련 유행어 금강불괴의 유래로, 외공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러 몸이 금강석처럼 단단해지는 경지이다.

2. 능력

단순히 겉만 단단한 게 아니라 도검을 맨몸으로 막을 만큼 단단하면서도 인체의 유연함과 부드러움을 함께 겸비한 외공의 완전체다. 숭산 소림사에 실제로 있는 무공이며, 이룽이란 자는 이 금강불괴를 실제로 수련했다고 주장하며 격투기 선수로도 활동했다. 단 '같은 이름'을 가진 무술이 있다는 뜻이지 현실의 소림사 무술과 무협소설의 그것이 효과까지 같다는 말은 당연히 아니다.

3. 역사

과거 무협에서는 ' 철포삼'이나 '금종조' 같은 외공을 익혀 창칼이 박히지 않을 정도만 되어도 엄청난 고수 취급을 받았다. 김용의 사조삼부곡에서 동시철시가 강남칠괴를 바르는 장면이나, 영화 황비홍에서 엄사부를 떠올리면 알기 쉽다. 하지만 점차 무협소설에서 무공의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하자 이런 외공 자체도 급수가 나눠어서 철포삼은 하급 무공으로 떨어지고, 금강불괴라는 강력한 외공이 있다는 식으로 바뀌었다.

이런 인플레이션 현상은 세월이 흐를수록 점점 심해져서 결국 마공서에서는 내공만 단련하면 만독불침과 함께 절로 굴러들어오는 경지로 추락했다. 하위호환 격인 경지로는 도검불침과 한서불침이 있다. 도검불침은 말 그대로 검과 도로 해할 수 없다는 소리고, 한서불침은 고열이나 극저온에서도 버틸 수 있는 경지로 이 경지에 오른 고수는 추위나 더위를 못 느낀다.

금강불괴를 익힌 주인공이 등장하는 작품은 초중반에는 그야말로 대적할 적이 없지만, 작품 후반에서는 심검이라든가 이상한 무공을 등장하게 하여 주인공이 상처를 입긴 한다. 어떨 때는 대금강불괴용 독이나 암기가 나오기도 한다. 강호패도기라는 만화에서는 심지어 금강불괴인 사람도 사람이긴 할 테니 땀구멍이 있을 테고, 그 땀구멍을 바늘로 찔러서 죽이면 된다는 괴악한 방법으로 금강불괴를 익힌 소림의 고승을 살해한다. 실제로는 땀구멍에 수은을 넣고 조종해서 죽인 거지만.

'금강'은 금강석, 즉 다이아몬드를 뜻한다. 한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가 되는 셈이다. 사실 이 또한 잘못된 고증인 것이,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가장 세서 긁히는 상처가 없을 뿐이지 망치 같은 걸로 얻어맞으면 어김없이 개박살난다.

3.1. 변형, 사용

한편 금강이 다이아몬드라는 것을 모르는 무식한 양산형 무협지 작가들은 은강불괴나 동강불괴(...) 따위의 괴악한 하위호환 기술을 만들기도 했다. 단순하게 강불괴의 '금'이 라고만 생각한 모양. 상식이 아니라고는 하지만 자기가 쓰는 장르의 기본도 제대로 조사하지 않은 단순무식함이 드러나는 것. 참고로 금이라면 좀 문제인 게, 애초에 금은 경도가 낮아서 이빨로 살짝 깨물기만 해도 자국이 남는다.

스페이스 차이나드레스에서는 고분자합금강불괴 같은 기술도 나온다. 뭔가 기묘하지만 위의 은강불괴, 동강불괴 같은 이상한 단어완 달리 뜻자체는 이해한 걸로 보인다. 작가로선 아마 뭔가 대단하고 멋져보이고 상위호환같은 기술명을 생각하다가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하면서 어감상 금강이란 글자를 그대로 유지하는 단어를 붙인 듯.

와탕카에서는 금강불괴를 소재로 해서 두 가지 에피소드가 실린 적이 있는데, 하나는 소림사 승려가 금강불괴를 시전하다가 맹장 터져서 실려가는 이야기로 메스가 대기만 하면 이빨이 나간다는 슬픈 결말이다. 마블 히어로 루크 케이지가 진짜 이렇다. # 그리고 두 번째는 금강불괴 # vs 독고구검 #

히어로메이커에서는 목을 졸라 금강불괴를 깬다. 금강불괴라는 무공이 이름그대로 전신이 금강석처럼 단단해진다기보단 원래 살의 무른면을 유지한채로 동시에 금강석같은 내구력을 가져 칼이나 주먹같은 공격에 피해를 안받는 기술이니 목조르기엔 내성이 없을 가능성도 높다고 볼 수 있다. # 이는 헤라클레스 네메아의 사자를 죽일때 썼던 방법과 동일하다. 네메아의 사자의 가죽에는 어떤 무기도 통하지않고 헤라클레스의 힘으로도 큰 타격을 줄 수 없었으나 목을 졸라 숨통을 조이자 질식해서 죽게 되었고, 사후 헤라클레스는 사자의 발톱을 이용해 사자의 가죽을 뜯어내서 자기 옷감으로 삼는다.

게임쪽에서는 주로 높은 체력과 방어력을 가진 캐릭터들이 금강불괴에 비유된다.(예를 들어 RPG 게임이면 전방에서 버텨주는 전사 계열이 보통 그렇다.) 무협을 소재로 한 게임이라면 아예 금강불괴 능력도 나오는 경우가 존재. 귀혼에서는 환골탈태 무공으로 금강불괴(마교는 강시‎연성이라는 이름으로 바뀐다)가 존재하며, 방어력을 600 혹은 700 높여주기 때문에 필수 무공으로 유명하다.

4. 기타

  • 무협소설 작가 좌백 금강불괴라는 제목의, 금강불괴 능력자 주인공의 소설을 쓰기도 했다. 작가의 의도로는 서유기 등의 문체를 따라 하려고 했다고 한다. 말 그대로 외공으로는 단단한 주인공이 나오기는 하는데, 스승의 유지를 이어 금강불괴의 꿈을 이루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겪은 많은 깨달음으로, 금강불괴의 지척에서 결국 포기하고 평범한 사람의 길을 걷는다.
  • 2024년 영화 九龍城寨之圍城(구룡성채: 무법지대)에서 최종 보스 王九는 硬氣功(경기공)을 연마하여 날붙이가 들어오지 못하는데, 칼날을 이빨로 받아내는 순간 주인공 陳洛軍이 입을 막아 칼날을 삼킬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경기공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패배 겸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4 ( 이전 역사)
문서의 r514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