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13:04:24

광야에서

1. 개요2. 김광석 버전3. 영상4. 가사

1. 개요


문대현[1] 작사, 작곡의 민중가요.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은 노래를 찾는 사람들 2집에 수록된 안치환이 부른 곡과 김광석의 앨범 다시 부르기 1에 수록된 곡이다. 처음 불린 것은 1984년 성균관대학교 음악동아리인 노래패 '소리사랑'에 의해서였고 1980년대 학생운동에서 많이 불리며 1986년을 기점으로 입에서 입으로 널리 전해진다. 처음 레코드로 취입된 것은 1988년 노래패 ' 노동자노래단'의 1집에서였으며 이후 전술한 노찾사와 김광석의 앨범에 의해 널리 불리게 된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되는 것처럼 6.10 민주 항쟁 기념식에서는 이 노래를 마지막에 제창한다. 2017년 6월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 민주 항쟁 30주년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자들과 이 노래를 불렀다.

가톨릭 청소년·청년 표준 성가집에서도 수록되어 있으며, 번호는 67번이다.

2. 김광석 버전

광야에서
In the Wilderness
다시 부르기 1
파일:김광석 다시부르기 1.jpg
<colbgcolor=#ebe1bd><colcolor=#373d2f> 발매 1993년 3월 2일
수록 음반 다시 부르기 1
작사 문대현
작곡
편곡 조동익
길이 3분 13초
[clearfix]

3. 영상

김광석이 부른 버전 안치환이 부른 버전
노찾사가 부른 버전 6.10 민주 항쟁 30주년 기념식 버전( 2017년)

4. 가사

광야에서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만주 벌판이라는 가사에서 민족주의적 색채가 있다. 음악 면에서는 단순하면서도 대중에게 쉽게 어필할 수 있는 다장조 멜로디의 음악으로, 80년대 노찾사, 김민기로 대표되는 민중가요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1] 문대현은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82학번으로 이 곡을 만들 때 22세였다. 그에게 큰 영향을 준 형 문승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78학번으로 노찾사 결성의 중요 멤버였고 그 날이 오면, 사계 등의 곡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