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30 17:06:05

그래서울

강동빗살머니에서 넘어옴
문서가 존재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목록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000><colbgcolor=#000,#aaa>
전국 공통 대행사
대행사 파일:코나아이 CI.svg 파일:KT 로고.svg 파일:한국조폐공사 CI_상하.svg
목록 코나카드/지역사랑상품권 그리고 착한페이 지역상품권 Chak
지방자치단체 주관 지역사랑상품권
광역
단위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서울사랑상품권 그래서울 경기지역화폐 인천e음 동백전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상생카드 여민전 대전사랑카드 대구로페이 탐나는전
기초
단위
파일:노원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노원구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동구 파일:군산시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파일:부여군 CI_White.svg 충청남도 부여군
노원 대덕 e로움 e바구페이 군산사랑상품권 굿뜨래페이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경기도 김포시
김포페이
}}}}}}}}} ||
파일:그래서울.jp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그래서울
운영 대행사 코나아이
주관 서울특별시 자치구(현재는 강동구만)
사용처 서울 각 자치구 소재 모든 사업장[1]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자치구 카드 목록
2.1. 강동빗살머니 (강동구)
3. 지역화폐 혜택4. 단점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 카드형 지역화폐이다. 기존 서울사랑상품권에 이어 카드형으로 추가 출시하는 지역화폐로 앱은 2020년 7월 28일 출시했으나, 30일부터 강동구에서 사용이 시작되었다.

2023년 6월 30일 유일하게 운영되던 강동구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현재는 애플리케이션이 내려간 상태다.

2. 자치구 카드 목록

2.1. 강동빗살머니 (강동구)

강동빗살머니
파일:강동빗살머니.jpg
주관 서울특별시 강동구
출시일 2020년 7월 30일
종료일 2023년 6월 30일
사용처 서울특별시 강동구 소재의 모든 사업장
링크 강동구청 공지사항
서울특별시 강동구 주관의 카드형 지역화폐로 강동빗살머니의 명칭 유래는 암사동 ‘빗살무늬 토기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서울특별시 자치구 주관의 최초 카드형 상품권으로 최초 그래서울 앱 소속이다.

강동구는 우선 블록체인 기반 노원구 노원 노원사랑상품권처럼 2가지 방식 통용 지역이 된다. 기사 참조

상시 7% 할인으로 구매 가능하며 최초 구매는 50만원으로 앱 회원은 상향시 200만원까지 구매 가능하다.

2023년 6월 30일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잔여 금액은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전환되었다.

3. 지역화폐 혜택

  •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매장의 할인정보를 알려준다.
  •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된 할인혜택을 알려주기도 한다.

4. 단점

  • 디자인이 다양하지 않다. 특히 인천광역시의 인천e음 카드와는 다르게 어린이 용돈카드로도 활용이 가능한 6~13세 어린이용 디자인이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2]
  • 서울시 전체가 아닌 해당 자치구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좁다. 그러나 이는 애초 지역화폐의 유통 목적이 각 지역사회 내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치구 구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거주하여 사실상 생활권이 타 자치구에 위치하는 일부 인구가 아닌 이상 단점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5. 같이 보기


[1] 당연히 온라인 결제는 안되고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사행성업소,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제외한다. [2] 인천e음카드의 경우에는 점박이물범 친구들 디자인이 유일한 어린이용 디자인이고 고양시 고양페이는 교통권종에 한해 어린이들도 함께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