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1 20:46:11

간뇌도지


1. 개요2. 의미3. 출전4. 기타

1. 개요

고사성어
칠할
중국어: gān nǎo tú dì

2. 의미

간과 뇌장을 땅에 쏟아내면서까지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 함

3. 출전

누경은 제(齊)나라 사람이다. 한(漢)나라 5년, 누경은 가죽 옷을 입은 채 제나라 출신인 우장군(虞將軍)에게 고제를 알현하고 싶다고 했다. 우장군이 그에게 깨끗한 옷을 주려고 했으나, 그는 끝내 옷을 갈아입지 않은 채 고제를 알현하면서 물었다.
"폐하께서 낙양에 도읍하고 계신데, 이는 원래 주(周) 왕실과 융성함을 겨루고자 하려는 뜻에서입니까?"
"그렇다."
"하지만 폐하께서 천하를 차지하시게 된 것은 주나라의 경우와는 사정이 다릅니다. (…) 폐하께서는 풍(豐)·패(沛)에서 일어나 3천의 병졸을 거느리고 촉(蜀)·한(漢) 땅을 석권하고, 삼진(三秦)의 땅을 평정하고 항우와 형양(滎陽, 현재의 허난 성 정저우 싱양 시)에서 싸우고 성고(成皐)[1]의 요충지를 차지하기까지 큰 싸움 70회, 작은 싸움 40회를 치렀습니다. 이로 인해 백성들의 간과 뇌수가 땅바닥을 칠하게 되었고, 아버지 자식들판에서 해골을 드러내게 된 것이 이루 헤아릴 수 없습니다. 울음소리가 끊이지 않고 다친 사람들이 일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성(成)· 강(康)의 시대와 융성을 겨루고자 하다니, 신은 이를 꾀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사기》 〈유경· 숙손통 열전(劉敬叔孫通列傳)〉. '부자가 들판에서 해골로…' 부분은 〈 회음후 열전(淮陰侯列傳)〉에도 있다.
장판파의 사지에서 조운 유비의 아들 아두를 구해 바쳤으나, 유비가 도리어 아두를 땅바닥에 집어던지며 "아아, 고작 이 아이 하나 때문에 출중한 장수를 잃을 뻔했구나!" 하고 오열하니, 조운이 감복하고 오열하며 "소장이 간과 뇌장을 쏟아내도 주공의 은공을 갚을 수 없겠습니다." 고 말했다.
삼국지연의[2]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기타

경순왕도 '간뇌도지는 차마 못 할 짓'이라는 말을 한 바 있다. 다만 이때는 '(이미 대세가 정해졌는데 이제 와서 나라를 위해 싸워 봐야) 목숨을 내다 버리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는 절망적인 뉘앙스였다. 실제로 이 말을 한 것은 항복을 결정함으로써 신라의 사직을 닫기 불과 두 달 전이었다.
[1] 현재의 싱양 시 서쪽의 사수진(汜水鎭). [2] 진수 《삼국지》〈촉지(蜀志)〉조운(趙雲)전에는 나오지 않고 여개(呂凱)전의 격문(檄文)에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