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2:28:35

가석방자관리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대통령령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de1f4,#312030><tablebgcolor=#fde1f4,#312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가석방자관리규정
假釋放者管理規定
}}} ||
<colbgcolor=#c41087,#2F0321><colcolor=white> 제정 1962년 3월 22일
각령 제550호가석방단속규정
현행 2022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32737호
소관 대한민국 법무부
링크 국가법령정보센터
1. 개요2. 내용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제1조(목적)이 영은 가석방자에 대한 가석방 기간 중의 보호와 감독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석방처분을 받고 풀려난 사람을 관리하기 위해 제정된 법규명령.

2. 내용

  • 이 영에서 “가석방자”란 징역 또는 금고 형의 집행 중에 있는 사람으로서 형법 제72조 및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122조에 따라 가석방된 사람(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호관찰 대상자는 제외한다)을 말한다(제2조).
  • 가석방자는 그의 주거지를 관할하는 경찰서(경찰서의 지구대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장의 보호와 감독을 받는다(제3조).
  • 교도소·구치소 및 그 지소(支所)(이하 “교정시설”이라 한다)의 장은 가석방이 허가된 사람을 석방할 때에는 그 사실을 가석방될 사람의 주거지를 관할하는 지방검찰청의 장(지방검찰청 지청의 장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형을 선고한 법원에 대응하는 검찰청 검사장 및 가석방될 사람을 보호·감독할 경찰서(이하 “관할경찰서”라 한다)의 장에게 미리 통보하여야 한다(제4조제1항).
  • 교정시설의 장은 가석방이 허가된 사람에게 가석방의 취소 및 실효사유와 가석방자로서 지켜야 할 사항 등을 알리고, 주거지에 도착할 기한 및 관할경찰서에 출석할 기한 등을 적은 가석방증을 발급하여야 한다(제4조제2항).
  • 가석방자는 제4조제2항에 따른 가석방증에 적힌 기한 내에 관할경찰서에 출석하여 가석방증에 출석확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천재지변, 질병,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기한 내에 출석할 수 없거나 출석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사유를 가장 가까운 경찰서의 장에게 신고하고 별지 제1호서식의 확인서를 받아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제5조).
  • 가석방자는 그의 주거지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종사할 직업 등 생활계획을 세우고 이를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한다(제6조제1항).
  • 가석방자의 보호를 맡은 사람은 제1항의 신고서에 기명날인(記名捺印)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제2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가석방자가 가석방 기간 중 정상적인 업무에 종사하고 비행(非行)을 저지르지 아니하도록 적절한 지도를 할 수 있다(제7조제1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제1항에 따른 지도 중 가석방자의 재범방지를 위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특정 장소의 출입제한명령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제7조제2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제2항에 따른 조치를 할 경우 그 사실을 관할 지방검찰청의 장 및 가석방자를 수용하였다가 석방한 교정시설(이하 “석방시설”이라 한다)의 장(이하 “관계기관의 장”이라 한다)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7조제3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6개월마다 가석방자의 품행, 직업의 종류, 생활 정도, 가족과의 관계, 가족의 보호 여부 및 그 밖의 참고사항에 관하여 조사서를 작성하고 관계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변동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제8조).
  • 관할경찰서의 장은 석방시설의 장의 의견을 들어 가석방자의 보호와 감독을 적당한 사람에게 위임할 수 있다(제9조제1항).
  • 제1항에 따라 보호와 감독을 위임받은 사람은 매월 말일 제8조에서 정한 사항을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제9조제2항).
  • 가석방자는 국내 주거지 이전(移轉) 또는 1개월 이상 국내 여행(이하 “국내주거지 이전등”이라 한다)을 하려는 경우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제10조제1항).
  • 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려는 사람은 별지 제2호서식의 신고서(전자문서로 된 신고서를 포함한다)를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제10조제2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가석방자가 제10조에 따라 국내주거지 이전등을 신고한 경우에는 제7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지도 및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관할경찰서의 관할 구역에서 주거지를 이전하거나 여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제11조제1항).
  • 제1항의 경우에는 제7조제3항을 준용한다(제11조제2항).
  • 관할경찰서의 장은 제10조에 따라 국내주거지 이전등의 신고를 받은 경우에는 가석방자의 새 주거지를 관할하는 지방검찰청의 장 및 경찰서의 장에게 신고 사실을 통보하고, 해당 경찰서의 장에게 관계서류를 송부하여야 한다(제12조).
  • 가석방자는 국외 이주 또는 1개월 이상 국외 여행(이하 “국외 이주등”이라 한다)을 하려는 경우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제13조제1항).
  • 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려는 사람은 별지 제3호서식의 신고서(전자문서로 된 신고서를 포함한다)에 다음 각 호의 서류(전자문서를 포함한다)를 첨부하여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담당 공무원은 「전자정부법」 제36조제1항에 따른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가석방자의 주민등록표 초본을 확인하여야 하며, 가석방자가 확인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출하도록 하여야 한다(제13조제2항).
    1. 가석방증 사본 또는 수용증명서 1부
    2. 초청장 등 사본 1부
    3. 귀국서약서 1부(국외여행자만 해당한다)
  • 제13조에 따라 신고한 가석방자는 국외 이주등을 중지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제15조).
  • 국외 여행을 한 가석방자는 귀국하여 주거지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관할경찰서의 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국외 이주한 가석방자가 입국하였을 때에도 또한 같다(제16조).
  • 제13조, 제15조 및 제16조에 따른 신고를 받은 관할경찰서의 장은 그 사실을 관계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17조).
  • 각 지방검찰청의 장, 경찰서의 장 및 교정시설의 장은 가석방자가 「형법」 제74조 또는 제75조에 해당하게 된 사실을 알았을 때에는 지체 없이 석방시설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하며, 통보를 받은 석방시설의 장은 지체 없이 법무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제18조).
  • 법무부장관은 가석방 처분을 취소하였을 때에는 가석방자의 주거지를 관할하는 지방검찰청의 장 또는 교정시설의 장이나 가석방 취소 당시 가석방자를 수용하고 있는 교정시설의 장에게 통보하여 남은 형을 집행하게 하여야 한다(제19조제1항).
  • 제1항의 경우 제4조제2항에 따라 발급한 가석방증은 효력을 잃는다(제19조제2항).
  • 가석방자가 사망한 경우 관할경찰서의 장은 그 사실을 관계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20조제1항).
  • 제1항의 통보를 받은 석방시설의 장은 그 사실을 법무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제20조제2항).
  • 군사법원에서 형의 선고를 받은 사람에 대한 법무부장관의 직무는 국방부장관이 수행하고, 검사의 직무는 형을 선고한 군사법원에 대응하는 군검찰부의 군검사가 수행한다(제21조).

3.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