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6:29:08

가디언 테일즈/데스 매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가디언 테일즈
파일:가디언 테일즈 로고.png
영웅 · 장비 · 부유성 · 등장인물 (던전링크) · 페이스 브레이크 · 패러디
모험 · 외전 · 미궁 · 원정대 · 농장 · 아레나 · 데스 매치
길드 레이드 · 협동 원정대 · 테티스 영웅전
시즌3 업데이트 · 평가 · 사건 사고 · 마이너 갤러리 (근데 이제 뭐함?)


1. 개요2. 상세
2.1. 시즌 보상
3. 문제점

1. 개요

가디언 테일즈실시간 PvP 컨텐츠. 3명의 영웅을 고르고 본인을 포함한 총 6명의 플레이어와 랜덤 매칭되어 상대 플레이어와 개인전으로 전투를 벌이는 배틀로얄 형식의 콘텐츠이다.

시즌 3 업데이트 때 정규 출시된 콘텐츠로 정규화 이전의 이름은 '팀 데스 매치 Beta'이다. 기존 Beta에서 팀전 모드[1]와 난투 모드, 2가지 모드가 있었는데 시즌 3 업데이트 때 팀전 모드는 추후 개선 작업을 한 후 이벤트 형식으로 재출시될 예정이다.

===# 팀 데스 매치 Beta #===
삼레나라는 별칭이 있었으며 2주년 때 나온 신규 PvP 컨텐츠이다. 최초로 PVP에서 유저와 팀을 맺고 다른 유저와 상대하는 컨텐츠로 3대3 답게 정신없는 난전이 특징인 컨텐츠다. 출시 초기에는 마스터 아레나가 처음 출시했을 때처럼 베타 딱지를 달고 나와서 반응을 보고 계속 크게 보완해나갈 것으로 보이며, 베타인 만큼 보상도 '순위에 관계없이 300젬'으로 아주 소소한 정도다.

평가는 유래없는 대호평다. 스펙의 장벽이 기존 아레나보다 낮고[2], 메타도 뒤집혔다. 다양한 영웅이 쓰이는 것도 장점, 단순할 거 같은 첫인상과 달리 깊이감도 있어 색다른 재미를 주었다는 평가다.

출시 첫 주차에는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으나, 2주차부터는 덱 획일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문제로 떠오르는 게 첫째로는 아마로크를 착용한 베로니카를 미래기사, 수유즈와 파티를 구성하고 베로니카로 도망다니며 아마로크 무기스킬로 맵을 뒤덮고 다니는 플레이, 둘째로는 세 명 모두 탱커 위주로 구성한 뒤 지구전과 상자깡에 치중하는 플레이다. 이 둘은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반응이 많고 이로 인해 삼레나가 노잼이라는 반응도 관련 커뮤니티에서 많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패작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5판당 훈장 2개를 보상으로 주기 때문에 훈장을 받기 위해 하루 5판을 패작하는 유저가 종종 나타나고 있고, 3 대 3 팀플레이 특성상 한 명이 패작이라 3 대 2 구도가 되면 3명 쪽이 압도적으로 이기게 되기 때문에 순위 보상 차이가 없는 베타에선 이기는 쪽도 지는 쪽도 노잼이 되고, 일 대 일인 마스터 아레나와 달리 패작 하나로 피해자가 여러 명이 되므로 그 폐해가 훨씬 크다.

팀 데스 매치의 모드는 상자전 말고도 '거점모드' '난투모드' '난투모드-안개구역' 3개의 다른 게임 모드를 가진다. 월요일 0시에 금주의 게임 모드가 정해진다.

2. 상세

  • 데스 매치 입장
    데스 매치 입장 가능 시간대는 총 3개로 00~04시, 11시~15시, 19시~23시이다. 입장 가능 횟수의 제한은 없다.
  • 시즌 진행 및 보상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주일 간 시즌이 진행되며 차주 월요일 00시가 되면 시즌이 끝난다. 마지막으로 위치한 티어에 따라 전투 훈장과 젬을 보상으로 받는다. 승리 시 본인의 티어와 게임 내 등수에 따라 점수를 얻거나 잃는다. 티어는 콜로세움, 아레나와 동일하게 브론즈부터 in 1까지의 순서. 시즌이 끝나면 티어가 한 단계 내려간다. 다이아 1 이하의 티어에서는 획득 트로피가 증가하고 트로피가 감소되지 않는다.

    아레나와 번갈아가며 격주로 열린다. 즉, 아레나가 열린 일주일 동안은 데스 매치 플레이가 불가능하며, 데스 매치가 열린 일주일은 반대로 아레나가 플레이 불가능한 방식이다. 대신 데스 매치가 열린 일주일은 마스터 아레나가 진행된다.
  • 플레이 방식
    우선 데스 매치 로비에서 전용 프리셋을 통해 3명의 영웅을 선택하는데, 이때 첫 번째로 배치한 영웅이 시작 영웅이 되고 게임 내에서 사망하여 부활할 때는 영웅의 배치 순서와 상관없이 원하는 영웅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랜덤 매칭을 통해 본인을 포함한 총 6명의 플레이어와 매칭된다.

    배틀 로얄 형식으로 상대방과 대결하며 영웅이 쓰러지면 5초 후에 부활하게 되며 부활 전까지 출전 영웅을 변경할 수 있다. 부활한 영웅은 2초간 무적 상태가 지속된다. 한 번 쓰러진 영웅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더 이상 출전할 수 있는 영웅이 없다면 완전 탈락[3]이 되며 등수가 선정된다. 이런 식으로 제한 시간 내에 다른 플레이어를 탈락시켜 최종 생존자가 되면 1등을 차지하게 된다.

    만약 제한시간 내에 최종 생존자가 나오지 않는다면 남은 영웅 수와 체력 비율로 등수를 가린다. 남은 영웅 수가 많고 체력 비율이 높은 쪽이 높은 등수를 차지한다.

    맵에 5초에 하나씩 랜덤 생성[4]되는 상자를 획득하면 개당 공격력 20% 증가 효과를 얻으며 이 효과는 최대 200%를 넘지 못한다. 영웅이 쓰러지면 해당 효과가 절반만 남는다.

    영웅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히는 L-박테리아가 일정 시간마다 좁혀온다. L-박테리아가 움직임을 멈추면 피버 타임이 발동되고, 해당 피버타임에는 살아남은 플레이어 전원이 추가로 공격력 20% 증가 효과를 얻는다.[5]
  • 데스 매치 전용 규칙
    • 파티로 구성한 영웅들의 파티 버프와 파티 추가 효과 적용
    • 영웅의 상태 이상에 대한 저항 능력이 증가하고 영웅의 체력이 2배 상승
    • 영웅의 레벨, 진화, 초월, 각성, 축복이 최고 수준으로 보정

      • 승급한 영웅의 경우 승급하여 확장된 각성 노드가 모두 개방
    • 착용하고 있는 장비의 레벨, 진화, 초월, 기본&보조 옵션[6], 장비 각인이 최고 수준으로 보정

      • 노멀 유물과 레어 유물은 기본&보조 옵션만 최고 수준으로 보정
    • 가디언 레벨, 지식, 부유성 건물 버프가 최고 수준으로 보정
    • 파티에 노멀 영웅 혹은 장비 미착용 영웅이 있으면 게임 시작 불가능

2.1. 시즌 보상

데스 매치 순위 보상 ▼
||<-3><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e1717,#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1e1717,#010101> 데스 매치 순위 보상 ||
등수 전투훈장
1등 2,400젬 135개
2등 2,200젬 130개
3등 2,000젬 125개
TOP 10 1,800젬 122개
TOP 50 1,700젬 121개
TOP 100 1,600젬 120개
마스터 1,500젬 115개
다이아 1 1,300젬 112개
다이아 2 1,200젬 111개
다이아 3 1,100젬 110개
플레티넘 1 1,050젬 107개
플레티넘 2 1,000젬 106개
플레티넘 3 950젬 105개
골드 1 900젬 102개
골드 2 850젬 101개
골드 3 800젬 100개
실버 1 750젬 97개
실버 2 700젬 96개
실버 3 650젬 95개
브론즈 1 600젬 92개
브론즈 2 550젬 91개
브론즈 3 500젬 90개

==# 맵 목록 #==

3. 문제점

  • 첫주차 기준으로는 단순히 체력이 많이 남은 순서대로 순위가 결정된다는 점 때문에 싸울수록 손해고, 적극적으로 싸우지 않고 구석에 짱박혀 숨어있거나 열심히 도망만 다니면 높은 순위로 점수를 받는 문제가 있다. 그런 유저로 상위 랭킹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순위가 올라갈수록 게임 양상이 그렇게 된다.
  • 생존력이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탱커에 너무 유리하다. 실제 상위 랭킹은 탱커 픽으로 도배되어 있다. 오그마를 제외한 나머지 탱커는 공격력도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딜러나 지원가는 경쟁력이 별로 없다. 그나마 딜러나 지원가 중 가끔 보이는 게 아라, 베로니카, 비슈바크처럼 생존력이 어느정도 있는 영웅들이고 나머지는 거의 나오지 못한다.

[1] 거점 모드 및 팀 난전 모드 [2] 한 명만 전투를 하고 나머지는 파티버프용으로 쓸 수 있으며, 부족한 약점은 팀원이 보안해줄 수 있다. [3] 중간에 탈락한 유저는 관전하거나 퇴장할 수 있다. [4] 한번 획득한 장소에서는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다. [5] 해당 효과는 영웅이 쓰러져도 감소되지 않는다. [6] 보조 옵션은 보유하고 있는 옵션만 적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5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