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0:42:45

Em 히구루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Em(엔터메이지)
,
,
,
,
,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에라타 전2.2.2. 에라타 후2.2.3.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하급 펜듈럼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external/2f7b40454389b6c926929d3f63a26a591d88efdc729c7998aa4feb3d17a09ddb.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지</rt><rp>)</rp></ruby> 히구루미,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ジ</rt><rp>)</rp></ruby>ヒグルミ,
영어판명칭=Performage Plushfire,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5,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몬스터 존으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ARC-V 57화에서 데니스 맥필드 곤겐자카 노보루와의 듀얼 중 사용. 번 기프트의 효과로 곤겐자카의 필드에 특수 소환돼, Em 윈드 서커의 특수 소환 조건을 만족시키고, 엔터메이지 허리케인의 효과로 파괴돼 엑스트라 덱으로 갔다가, 다음 데니스 턴에 펜듈럼 소환돼 Em 트래피즈 매지션의 엑시즈 소재가 된다. 112화에서 다시 등장했지만 역시 Em 트래피즈 매지션의 엑시즈 소재가 될 뿐 활약은 별로 없었다.

OCG에서 이 카드가 후술할 바와 같이 흉악한 성능을 보인 것과는 달리 원작에선 펜듈럼 효과 / 몬스터 효과 어느 쪽도 딱히 강한 효과는 아니었고 쓰이지도 않았다. 그렇게 별 활약도 없이 1회용 출연에 그쳤다.

이름의 유래는 불(ひ)+인형(ぐるみ).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에라타 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10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지</rt><rp>)</rp></ruby> 히구루미,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ジ</rt><rp>)</rp></ruby>ヒグルミ,
영어판명칭=Performage Plushfire,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5,
P효과외1="Em(엔터메이지) 히구루미"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Em(엔터메이지) 히구루미" 이외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펜듈럼 효과는 카드명 제약이 붙고, 앞면 표시 Em 몬스터가 파괴됐을 경우로 한정된 데다, 효과를 쓰면 데미지를 받도록 하향됐다. 반면 몬스터 효과는 레벨 제한이 없어지고, 덱에서도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대폭 상향됐다. 룡검사 라스터P 등으로 이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두 번째 히구루미를 패에 넣고, 다시 덱에서 Em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해지면서 EMEm이란 덱 탄생의 핵심이 됐다.

결국 2016년 1월에 OCG에서 Em 데미지 저글러, No.16 쇼크 마스터와 함께 금지 카드가 됐다. 꼬마 정룡이 세웠던 기존 최단 기간 금지 기록 169일을 167일로 갱신했으며, 펜듈럼 몬스터 최초의 금지 카드가 됐다. 이후 EM 멍키보드가 사이좋게 167일로 공동 기록을 세웠고 이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 않았다. 2016년 4월 11일에 TCG에서도 금지 카드가 됐다.

서몬 게이트에서 출소하는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보고 고요우 가디언, 구신 노덴, No.16 쇼크 마스터와 함께 시기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화가 난 걸 반영한 듯 빨대의 불길이 거세졌다.

2023년 7월 OCG 금제에서 마침내 펜듈럼 금지카드 세트로 묶여 언급되던 멍키보드가 출소했지만, 히구루미는 풀려나지 못했다. 멍키보드의 서치 효과가 강력하긴 하나 파워 인플레 및 조건부 스케일 패널티로 비교적 파급력이 적은 멍키보드와 달리 히구루미의 턴 제약이 없는 덱 특소는 현 시점에서도 엄청나게 강한 효과이고,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던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등 파괴 효과를 악용할 카드가 여럿 존재하기에 에라타 없이는 풀리기 어렵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현재의 마스터 룰에서는 링크 마커 제약으로 인해 과거의 EMEm, EM룡검사처럼 4축 펜듈럼을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힘을 쓰기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도 있는데, 실제로 금제 시점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펜듈럼 테마인 마술사에선 패에 잡히면 안되는 불순물인 Em 몬스터를 섞어야 하는 히구루미를 채용하기 어렵다. 사실 턴제 없는 덱특소가 강한 효과라고는 하지만 스피릿 오브 유벨이나 마나둠 튜너처럼 턴제 없는 덱 특소 카드는 12기 환경에서도 만들어지고 있기에 그것 하나만으로 무작정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다. 전성기 EMEm을 이끈 4축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상당수가 금제나 환경 변화로 약화되었기에 더더욱 그렇다. 무엇보다 이미 상위호환에 가까운 초중신동 워커-U4와 같은 카드가 활약할 정도로 인플레가 진행된 환경이기에 히구루미 정도로는 메타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의견.

2.2.2. 에라타 후

파일:1953_20240527062454_jFE3FtTwjOfNcR8FZPjXELf8Mk8NGOwnT1gZixJHCoSc5OhTbEqgPLecvanzoYc8.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Em<rp>(</rp><rt>엔터메이지</rt><rp>)</rp></ruby> 히구루미,
일어판명칭=<ruby>Em<rp>(</rp><rt>エンタメイジ</rt><rp>)</rp></ruby>ヒグルミ,
영어판명칭=Performage Plushfire,
속성=화염,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마법사족, P스케일=5,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은 500 데미지를 받는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Em(엔터메이지) 히구루미" 이외의 "Em(엔터메이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4에서 Em 카드들의 대폭 지원과 함께 에라타 + 재록되면서 24년 7월 금제로 제한으로 내려올 것이 선행공지 되었다. 턴 제약 없는 덱 특소가 문제였기에 해당 몬스터 효과에만 카드명 제약이 걸렸다. 다만 상술했듯 히구루미의 밸류 자체가 현대에는 꽤나 떨어졌기에 굳이 에라타를 해야만 했냐는 의문도 존재하는 편.

이와는 별개로, 펜듈럼 몬스터의 제재는 한 분기에 하나씩만 푼다는 코나미의 이상한 불문율 때문에 마제스펙터 유니콘의 제재 해제가 또 미뤄질 것이라는 비관적 추측이 거세졌다.

2.2.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5-07-18 |
[[일본|]][[틀:국기|]][[틀:국기|]] DOCS-JP016 | ディメンション・オブ・カオス [ DIMENSION OF CHAOS ]
2024-06-22 |
[[일본|]][[틀:국기|]][[틀:국기|]] AC04-JP054 | アニメーション クロニクル 2024
2015-11-06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DOCS-KR016 | 디멘션 오브 카오스
2015-11-06 |
[[미국|]][[틀:국기|]][[틀:국기|]] DOCS-EN016 | DIMENSION OF CHA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