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4:45:22

홍콩 익스프레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5년에 방영된 SBS 수목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홍콩 익스프레스(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아시아 저비용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항공
플라이강원운항 중단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스카이마크항공 로고.svg 파일:피치항공 로고.svg 파일:Jetstar_Logo.svg 파일:스프링재팬 로고.svg
스카이마크 항공 피치 항공 스프링재팬
파일:ZIPAIR 로고.svg 파일:AirJapanLogo.svg 파일:토키에어 로고.svg
ZIPAIR 에어재팬 토키에어

||<-4><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9에어 로고.png 파일:춘추항공 로고.svg 파일:kn_logo.webp 파일:럭키에어로고.jpg
구원항공 춘추항공 중국연합항공 럭키에어
파일:logo중국서부항공.webp 파일:UrumqiAir.png
중국서부항공 우루무치항공
[[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 파일:그레이터베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거에어 타이완 로고.svg 파일:이즈니스 항공 가로형 로고.png
홍콩 익스프레스 그레이터베이항공 타이거에어 타이완 이즈니스 항공 }}}}}}}}}

[[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 홍콩의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홍콩항공 로고.svg
캐세이퍼시픽항공 홍콩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 파일:그레이터베이항공 로고.svg 파일:에어홍콩 로고.svg 파일:홍콩항공 카고 로고.svg
홍콩 익스프레스파일:cathay logo.png 그레이터베이항공 에어 홍콩파일:cathay logo.png 홍콩항공 카고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파일:Cathay_Dragon_Logo_horizontal_jpg.jpg
캐세이드래곤항공파일:cathay logo.png
파일:cathay logo.png : 캐세이퍼시픽의 자회사
}}}}}}}}} ||
홍콩 익스프레스
香港快運航空 | HK Express
파일:홍콩익스프레스 로고.svg
<colbgcolor=#702b91><colcolor=#fff> 기업명 香港快運航空
HK Express
국가
[[홍콩|]][[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4년 3월 10일 ([age(2004-03-10)]주년)
허브 공항 홍콩 국제공항 (HKG)
보유 항공기 수 14 (2024년 2월)
취항지 수 25 (2024년 6월)
부호
<colbgcolor=#702b91><colcolor=#fff> HONGKONG SHUTTLE
UO
HKE
항공권 식별 번호
128
모기업 캐세이퍼시픽항공 (100%)
슬로건 Your Move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일본어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보유기종4. 서비스
4.1. 요금 규정
5. 노선
5.1. 한국
6. 기타

[clearfix]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B-LCA-Hong-Kong-Express-Airbus-A320-200_PlanespottersNet_480093.jpg
파일:HK Express-airbus-A320-271N.jpg
구도장 A320 신도장 A320

1. 개요

홍콩의 유일한 저비용 항공사. 근래까지 저비용 항공사로 오해를 자주 받고는 했던 캐세이퍼시픽항공(...)[1], 홍콩의 제2민항 격인 홍콩항공과 달리 이쪽은 진짜 저비용 항공사이다. 한국 항덕들은 주로 줄임말인 홍익이라고 부른다.

2. 역사

원래는 저비용 항공사가 아닌 일반 항공사였다. 원래 이름은 항련항공공사(港聯航空公司/Hong Kong Express Airways)로 2004년 마카오 카지노 갑부 스탠리 호가 투자한 홍콩의 4번째 민항이다. 자금 사정도 홍콩항공보다 좋았고 애초부터 중국의 2선 급 도시들에 취항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캐세이퍼시픽과의 경쟁을 피할 수 있었다. 틈새 시장을 파고 드는 전략으로 대만 타이중 노선에도 취항했다. 그러나 천하의 스탠리 호도 캐세이퍼시픽의 장벽 앞에서는 어쩔 수 없었는지 홍콩항콩과 함께 2006년 중국해남항공에 인수되는 운명에 처한다. 인수된 후 중국어 사명을 홍콩쾌운항공(香港快運航空)으로 변경한다. 헌데 문제는 중국 대륙 홍콩을 연결하는 노선에서 홍콩항공과 홍콩 익스프레스의 역할이 겹친다는 점이었다.[2] 홍콩익스프레스는 저비용 항공사로 변모하는 것으로 결론내고 회사명과 도색까지 모두 바꾼다. 영문 사명을 HK Express로 변경하고 도색도 기존 하이난항공그룹의 빨간색에서 현재의 보라색으로 바꾼다. 이후 A320기를 도입하면서 일본과 한국 노선에 취항하게 되었다. 이후로 일본 노선은 대폭 늘리고 베이징 노선 등을 홍콩항콩에 넘기며 중국 대륙행 노선은 조금씩 줄이는 대신 동남아시아 노선이나 , 사이판 등 신규 취항지를 개척하는 행보를 보여왔다.

그러나, 모회사 하이난항공이 자금난이 심했는데 마침 캐세이퍼시픽이 자회사로 저비용 항공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저비용 항공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수하는 것에 이해관계가 들어맞아 2019년 7월 21일부로 캐세이퍼시픽항공의 자회사에 들어갔다. #

2023년에 현재의 로고로 바뀌었다. 워드마크가 색조와 텍스트 크기 등이 조정되고 ex 라는 글자를 활용한 로고가 새로 추가되었다.

3. 보유기종

홍콩 익스프레스 보유기종 목록
제작사 기종 보유 대수 주문 대수
에어버스 A320-200 8 -
A320neo 10 32
A321-200 13 -
A321neo 5 11

4. 서비스

예약단계에서 고려사항이 많아 주의해야 한다. 하단 참조.

기내식은 없지만 진짜 배고프다면 딤섬, 비빔밥, 규동 등의 음식을 팔기도 한다. 그러나 양이 너무 적고 맛이 없다. 차라리 공항에 있는 식당에서라도 사 먹는 게 훨씬 낫다. 인천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 중 유일하게 모든 외부 음식의 기내 반입을 금하고 있다. 기내식 섭취를 원하는 경우 티켓구매 시 사전에 구입하면 20%를 할인해 준다.
  • 1인당 무료 휴대수하물은 7kg 이내, 최대 허용 크기는 56x36x23cm 이다. 위탁 수하물은 20kg 기준 37,000원에 신청할 수 있다.
  • 수하물 신청 가격은 시기에 따라 가격 변동이 행해지는데, 20kg 기준 항공권 예약 시 37,000원, 차후 인터넷 예약 시 38,500원, 공항에서 구매 시 54,600원이다 #
  • 아사히 맥주 1캔을 40 홍콩 달러[3]에 구입할 수 있다.
  • 체크인 마감 시간[4]이 되면 칼같이 체크인 카운터를 닫는다. 체크인 요원들이 보딩 지원을 겸하기 때문인데 이 점은 캐세이퍼시픽도 똑같다. 봐주지 않는다.[5]
  • 홍콩 도착편 이용 시, 입국 신고 카드를 승무원에게 달라고 요청해야 주는 경우도 있다.

4.1. 요금 규정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경우 위탁수하물 무조건 유료. 무료위탁수하물 없음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런데 여행사 등 다른 방법으로 예약 시 무료 위탁수하물 20kg이 허용되는 경우도 있다(링크 가장 아래 GDS 부분 참조). 예약 시 정확한 예약조건을 필히 살펴볼 것을 권한다.

다만 홈페이지가 아닌 곳에서 예약을 하면 발권 이후 아무것도 건드릴 수 없다. 기내식 사전구매, 수하물 허용량 온라인 추가, 좌석 사전선택 등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짐이 27kg 이상으로 아주 많거나 기내식 사전주문 등의 추가 서비스를 희망할 경우 잘 생각해야 한다. 참고로 양쪽은 가격체계도 완전히 다르다.(...) 진짜 복잡하다. 정말 짐이 많다 싶으면 캐세이퍼시픽이나 대한항공, 아시아나 등을 찾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수수료를 지불하면 일자 변경 등이 가능하다. 한국 출발편 기준으로 환불 규정은 티켓 구입처에 따라 제각각이다.
  • 잘못 입력된 이름은 한 명 당 3글자까지 수정 가능하며 350 홍콩 달러[6]를 내야 한다.
  • 날짜 변경 : 출발 2일 전까지 편도 기준 3만 원 / 출발 2일 이내, No-Show(예약부도)시 6만 원이다.
  • 노선 변경 및 양도는 불가하다.
  • 기본적인 수하물은 기내반입 7kg까지이며 위탁 수하물 20kg에 4만 8천 원 정도의 추가요금을 부과한다.[7]
  • 취소시 취소수수료를 물리고 유류할증료를 뺀 금액을 돌려준다.대체 왜?!

5. 노선

국가 도시 공항 운항 횟수
홍콩 착발 노선

[[중국|]][[틀:국기|]][[틀:국기|]] 중국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주 회
싼야 싼야 펑황 국제공항 주 회
닝보 닝보 리쉬 국제공항 주 회

[[대만|]][[틀:국기|]][[틀:국기|]] 대만
타이베이 타오위안 국제공항 주 회
타이중 타이중 국제공항 주 회
가오슝 가오슝 국제공항 주 회

[[일본|]][[틀:국기|]][[틀:국기|]] 일본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주 회
하네다 국제공항 주 회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주 회
나고야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주 회
후쿠오카 후쿠오카 공항 주 회
다카마쓰 다카마쓰 공항 주 회
가고시마 가고시마 공항 주 회
히로시마 히로시마 공항 주 회

[[베트남|]][[틀:국기|]][[틀:국기|]] 베트남
하노이 하노이 국제공항 주 회
다낭 다낭 국제공항 주 회

[[필리핀|]][[틀:국기|]][[틀:국기|]] 필리핀
마닐라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주 회
클라크 클라크 국제공항 주 회

[[태국|]][[틀:국기|]][[틀:국기|]]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주 회
돈므앙 국제공항 주 회
치앙마이 치앙마이 국제공항 주 회
푸켓 푸켓 국제공항 주 회

5.1. 한국

자사 기재 직항편
홍콩(HKG) 서울(ICN)/T1 홍콩(HKG) 서울(ICN)/T1
(UO618[실제운항편명]/CX5618)
서울(ICN)/T1 홍콩(HKG)
(UO619[실제운항편명]/CX5619)
기종 비고
07:10(HKT) 출발 / 11:40(KST) 도착 12:35(KST) 출발 / 15:35(HKT) 도착 A320-200
A321-200
홍콩(HKG) 서울(ICN)/T1
(UO630[실제운항편명]/CX5630)
서울(ICN)/T1 홍콩(HKG)
(UO631[실제운항편명]/CX5631)
기종 비고
10:20(HKT) 출발 / 14:55(KST) 도착 15:55(KST) 출발 / 19:00(HKT) 도착 A320-200
홍콩(HKG) 서울(ICN)/T1
(UO626[실제운항편명]/CX5626)
서울(ICN)/T1 홍콩(HKG)
(UO627[실제운항편명]/CX5627)
기종 비고
16:35(HKT) 출발 / 21:05(KST) 도착 21:55(KST) 출발 / 00:55(HKT) 도착 A320-200
A321-200
홍콩(HKG) 부산(PUS) 홍콩(HKG) 부산(PUS)
(UO674[실제운항편명]/CX5674)
부산(PUS) 홍콩(HKG)
(UO675[실제운항편명]/CX5675)
기종 비고
09:05(HKT) 출발 / 13:20(KST) 도착 14:10(KST) 출발 / 17:00(HKT) 도착 A320-200
홍콩(HKG) 제주(CJU) 홍콩(HKG) 제주(CJU)
(UO676[실제운항편명]/CX5676)
제주(CJU) 홍콩(HKG)
(UO697[실제운항편명]/CX5697)
기종 비고
02:40(HKT) 출발 / 06:40(KST) 도착 07:55(KST) 출발 / 10:10(HKT) 도착 A320-200 火/木/日 운항
인천국제공항은 2014년 3월 30일부터 매일 2-3편, 김해국제공항에는 동년 8월 7일에 매일 1편씩 취항하였다.[18] 이후 2016년 6월 27일부터 제주국제공항에도 주 4회[19] 취항했다.

6. 기타

  • 가끔 인천-홍콩 왕복 항공권을 3,600원에 팔거나[20] 가는 편을 사면 오는 편을 공짜로 해주는 등의 이벤트를 하기도 한다. 이전 항목이 좀 무성의하게 적혀 있었는데(...) 홈페이지에 가면 친절하게 이벤트나 얼리버드 등이 배너로 뜨니까 잘 찾아보면 된다. 좌우지간 한-홍콩 간을 사실 상 국내선 노선화시킨 장본인 중 하나다.
  • 홍콩항공 출신 기체를 제외한 신규 기체에는 애칭으로 차슈바오, 씨우마이 등 딤섬 이름을 따 붙였다.
  • 회원 프로그램은 마일리지 적립 시스템으로 리워드U 시스템이 있었다. 가족 단위 5명까지 몰아서 사용이 가능하다. 1 HKD당 10점 적립해 준다. 마일리지 유효기간은 3년. 캐세이퍼시픽에 인수된 이후 아시아 마일즈로 리워드 항공권 발급이 가능해졌다.


[1] 이 항공사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 높은 안전성을 자랑하는 FSC이다. 1960년부터 김포국제공항에 취항하였을 정도로 역사가 깊고 홍콩항공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노선망과 기재, 서비스도 갖추고 있다. [2] 인수 당시만 하더라도 중국해남항공도 홍콩행 노선을 운항하고 있어서 3사 간 겹치는 노선들이 있었다. 모회사인 하이난항공 먼저 2008년 말 홍콩 노선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홍콩항공 노선에 코드쉐어를 걸어 일부 중복노선 문제를 해소했다. [3] 약 6,000원 [4] 출발 1시간 전이다. [5] 정확하게는 봐주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다. 빨리 게이트 가서 보딩 일 처리 안 하면 모든 게 다 줄줄이 밀리기 때문. 제 시간에 체크인 마친 고객들을 위해서라도 신속히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요원들은 늦은 손님들 기다려줄 틈이 없다. [6] 약 5만 원 [7] 인천 - 홍콩 노선 홈페이지 예약 기준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18] 부산-홍콩간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가 예전엔 에어부산을 비롯해서 몇 곳이 더 있었으나 코로나19 이후로 운휴에 들어갔고 아직까지도 복구하지 않아서 현재까지도 이 노선을 전부 홍콩익스프레스가 떠안고 있다. 예전엔 캐세이드래곤항공이 부산 노선에 운행하며 부산발 유럽, 호주, 아프리카 방면 환승객들을 캐세이퍼시픽항공과 환승 연계로 실어날랐지만, 이 역시 코로나와 함께 사라졌고 홍콩행 승객뿐 아니라 캐세이퍼시픽 환승객도 이 회사가 맡고 있다. [19] 제주출발 기준 화, 목, 토, 일 [20] 공항세 및 부대비용이 좀 들어가가서 정가는 약 4만원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