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21:04:52

호프(유희왕)

유토피아 관련 카드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토피아
호프 미래황 호프
제알
ZW ZS
오노마토
가가가 주바바 고고고 도도도
}}}}}} ||
호프
한국어판 명칭 호프
일어판 명칭 ホープ
영어판 명칭 Utopic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전사족
드래곤족[1]
엑시즈


[clearfix]

1. 개요

애니메이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EN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 슈팅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로드 ·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츠쿠모 유마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및 카드 시리즈
No. · 호프 · 유토피아 · 미래황 호프
ZW · ZS · 오노마토(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마인(魔人)
RUM · 엑시즈 · 제알 · 넘버즈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애니메이션
H-C 엑스칼리버
더블 업 찬스
애니메이션 · 코믹스
No.39 유토피아
OCG
No.39 유토피아 더블
No.39 유토피아 라이징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애니메이션
CNo.39 유토피아 레이
수장합체 라이오 호프레이
CNo.39 유토피아 레이 V
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
No.39 유토피아 루츠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
코믹스
SNo.39 유토피아 ONE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OCG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애니메이션
FNo.0 미래황 호프
코믹스
SNo.0 호프 제알
OCG
FNo.0 미래황 호프-퓨처 슬래시
FNo.0 미래용황 호프
}}}}}}}}} ||
아스트랄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No. · 호프 · 유토피아 · 엑시즈 · 제알 · 넘버즈 · 아스트랄 · RUM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RUM No.39 유토피아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애니메이션
CNo.39 유토피아 레이
CNo.39 유토피아 레이 빅토리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
애니메이션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
코믹스
No.93 유토피아 카이저
OCG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 ||

유희왕의 카드군. 엑시즈 몬스터만을 지정하고 있다.

원작 유희왕 ZEXAL에서는 다수 등장하였으나, 북미판에서 희망황 호프를 유토피아로 번역하면서 명칭 충돌 문제도 있다보니 대부분 OCG화하며 희망황 호프(유토피아) 카드군으로 범위를 좁히며 사라졌던 카드군이다. 그러던 중 샤이닝 호프 로드을 시작으로 몇몇 카드는 이 범위를 지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유토피아 미래황 호프의 상위 카드군이며, 따라서 일본판 기준으로 효과에 "ホープ (호프)"를 지정하는 카드들은 한글판에서 "유토피아"와 "호프"를 함께 지정하고, 영어판에서는 "Utopia"와 "Utopic"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번역되었다.

참고로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수장합체 라이오 호프레이는 살짝 복잡한 관계. 얼핏 호프가 들어가는 것 같지만, 룰상 카드명은 CNo.39 유토피아 레이로만 취급되므로 이름에 호프가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한글판 및 미국판에서의 이야기고, 일본판에서는 룰상 카드명을 "CNo.39 희망황 호프 레이"로 취급하는 것이므로 엄연히 호프 카드에 포함된다. 물론 상술했듯 수출판 카드군 지정은 모두 유토피아와 호프를 동시에 지정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서포트 대상에 들어가는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굳이 분리해서 따질 필요는 없다.

2. 엑시즈 몬스터

2.1. 랭크 1

2.1.1. FNo.0 미래황 호프

2.1.2. FNo.0 미래황 호프-퓨처 슬래시

2.1.3. FNo.0 미래용황 호프

2.1.4. SNo.0 호프 제알

유토피아 계열 몬스터 중 유일한 금지 카드로, 파이어월 드래곤, 링크로스, 파멸룡 간드라X에 이어 주인공의 카드들 중 금제 리스트에 오른 또 다른 사례. 항목 참조.

2.2. 랭크 4

2.2.1. No.98 절망황 호프리스

2.2.2. ZS-호프 세이지

자신도 호프이면서 호프 몬스터에 대한 서포트 효과를 가진 카드.

2.2.3. FA-호프 레이 랜서

2.3. 랭크 6

2.3.1.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

이 쪽은 정발명도 호프라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룰 상 유토피아 몬스터라서 유토피아 서포트를 고스란히 받을 수 있다. 항목 참조.

2.4. 랭크 10

2.4.1.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

2.4.2.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

3. 서포트 마법 카드

3.1. 샤이닝 호프 로드

파일:card1000312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샤이닝 호프 로드,
일어판명칭=<ruby>輝望道<rp>(</rp><rt>シャイニング・ホープ・ロード</rt><rp>)</rp></ruby>,
영어판명칭=Shining Hope Road,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이 카드의 효과 이외로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몬스터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3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하여\, 그 3장만을 소재로서 "유토피아" 또는 "호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시즈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ShiningHopeRoad-JP-Manga-ZX.png
한글판 명칭 샤이닝 호프 로드
일어판 명칭 [ruby(輝望道, ruby=シャイニング・ホープ・ロード)]
영어판 명칭 Shining Hope Road
일반 마법
자신 묘지의 "No.(넘버즈)"를 "SNo.(샤이닝 넘버즈)"로 랭크 업 시켜 엑시즈 소환한다.

유희왕 ZEXAL 코믹스 51화에서 츠쿠모 유마 카미시로 료가& 텐조 카이토와 함께 한 e·라와의 3vs1 듀얼 중 사용한 카드. 일어판 기준으로 카드명은 '휘망도'라 쓰고 '샤이닝 호프 로드'라 읽는다.

샤이닝 호라이즌에 의해 드로우하는 순간 샤이닝 드로우를 통해 창조된 카드로, No.37 희망직룡 스파이더 샤크,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되살리고, 추가로 스파이더 샤크와 타아타닉 갤럭시의 랭크를 1씩 올린 다음 SNo.로 취급하여 이들 3장을 소재로 SNo.0 호프 제알을 엑시즈 소환했다. 카드명에 따로 적혀있지는 않지만, 유마는 이 카드의 발동 시에 ' 랭크 업 매직'이라고 언급했다. 이 카드 자체로 랭크 업 엑시즈를 하는 건 아니고 소재 몬스터를 랭크 업 시킨다.

OCG화되며 이 행적을 재현해 묘지에서 몬스터 3장을 되살리고, 이들만을 소재로 유토피아 호프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이 되었다.

최초로 "호프" 몬스터를 지정한 카드로, 기존에 "호프"란 이름은 붙었으나 희망황 호프가 아니었던 엑시즈 몬스터까지 지원을 받게 되었다.

하이 메달리온 아츠과 마찬가지로 묘지의 몬스터를 되살리고, 이들을 정규 소재로 삼아 엑시즈 소환을 실행하는 효과를 가졌다. 따라서 소재를 3장 요구하는 호프밖에 엑시즈 소환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또한 엑시즈 소재 제약도 채워줘야 하는데, 가령 CNo.39 유토피아 레이를 꺼내려면 레벨 4 / 빛 속성 몬스터를 3장 갖춰놓아야 한다.

후술할 엑시즈 소환 가능 카드 중 수장합체 라이오 호프레이 용장합체 드래고닉 호프레이 이외의 랭크 5 몬스터 3장은 이 카드로 엑시즈 소환해봤자 효과를 발동할 수 없어 시너지가 좋지 않다. 애초에 랭크 4 주축인 유토피아 덱에 채용될 만한 카드이므로 엑시즈 소재 제약도 갖추기 힘들어지니 현실성도 떨어진다. 랭크 4 2장의 경우 속성 지정이 걸림돌이 되겠지만, 조건만 채운다면 엑시즈 소재는 별 탈 없이 채워져서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그래봤자 상황을 타는 효과다 보니 바닐라 신세가 되기 쉽지만, 홀리 라이트닝 덱이라면 홀리 라이트닝 스케일, 홀리 라이트닝 셉터를 소재로 사용해서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으니 이용 가치는 높다.

랭크 10의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은 사실상 1턴 기다려야지 효과를 쓸 수 있게 되지만, 높은 공격력과 내성을 갖추고 있으니 제법 든든한 전력이 되어줄 것이다. 다만 묘지에 레벨 10 몬스터 3장을 전개해야되는 셈이므로 열차 덱 정도가 실현성이 있을 것이다. FNo.0 미래용황 호프는 요구하는 엑시즈 몬스터 수는 많긴 해도 같은 랭크의 No. 이외의 엑시즈 몬스터가 여럿 있는 RR 테라나이트 덱에서라면 조건을 채우기 어렵지 않다. 랭크만 같다면 범용 엑시즈 몬스터도 상관없으니 엑시즈 몬스터를 꺼내기 쉬운 덱에서 쐐기 박는 용도로 써보는 것도 좋을 듯. 그만큼 엑스트라 덱 자리에 압박이 가해지겠지만, 같은 조건으로 꺼낼 수 있는 FNo.0 미래황 호프를 통해서도 전개가 가능하다.

문제는 발동 턴에 이 카드 이외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을 못하게 되다 보니, 이 효과로 꺼낸 몬스터가 즉시 터지기라도 하면 망한다는 것. 소재를 묘지로 준비하는 것만 해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기에 이 카드 자체가 패 말림 요인이 되기 쉽다. 발매 시기가 너무 일렀던 탓에 제약이 너무 강해 실전성을 잃어버린 카드로, 12기 시점에서는 채용할 가치가 전혀 없다. 코스트가 더 무겁지만 맹세가 아닌 디메리트인 라스트호프 넘버즈를 쓰는 편이 나으며, 심지어 이쪽은 한정적이지만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 등으로 서치도 가능하다.

하이 메달리온 아츠와 마찬가지로 필드를 경유하기 때문에, 소재가 되는 몬스터 3장은 데블리언 송, DNA 이식 수술처럼 지속 적용되는 카드의 효과를 받는다. 이 경우 레벨이나 속성이 바뀐 상태에서 그 조건에 맞는 엑시즈 소환을 실행하게 되며, 대응하는 엑시즈 몬스터가 없으면 소재들은 그대로 필드에 남는다.

이 카드의 효과로 엑시즈 소환할 수 있는 "호프" / "유토피아" 몬스터
수록 시리즈
2015-12-19 |
[[일본|]][[틀:국기|]][[틀:국기|]] PP18-JP014 | PREMIUM PACK 18
2016-03-18 |
[[미국|]][[틀:국기|]][[틀:국기|]] PGL3-EN014 | PREMIUM GOLD: INFINITE GOLD
2016-12-23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P11-KR014 | 프리미엄 팩 Vol.11

3.2. HRUM-토피아 포스

4. 서포트 함정 카드

4.1. 마스터 피스

파일:マスター・ピー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마스터 피스,
일어판 명칭=マスター・ピース,
영어판 명칭=Halfway to Forever,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2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여 특수 소환하고\, 그 2장만을 소재로서 빛 속성인 "유토피아" 또는 "호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시즈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HalfwaytoForever-JP-Anime-ZX.png
한글판 명칭 마스터 피스
일어판 명칭 マスター・ピース
영어판 명칭 Halfway to Forever
일반 함정
이 턴 전투로 파괴되어 자신의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하여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ZEXAL 최종화에서 츠쿠모 유마 FNo.0 미래황 호프를 엑시즈 소환하기 위해 샤이닝 드로우로 뽑은 카드. 유마가 단독으로 샤이닝 드로우를 하는 것을 본 아스트랄은 이로써 유마가 수천 년 전 돈 사우전드와의 싸움에서 분리된 자신의 분신임을 확신하게 된다. 유마는 이 카드로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가가가 간맨 가가가 자무라이를 소재로 FNo.0 미래황 호프를 엑시즈 소환했다.

애니버서리 팩 2nd wave에서 OCG화 되었다. 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의 뒤를 이어 2번째로 OCG화 된 OST 관련 카드이기도 하다.

빛 속성 유토피아, 호프 엑시즈 몬스터만 소환 가능하다는 조건이 붙은 대신, 기존의 전투 파괴&해당 턴 한정 조건은 사라졌다. 애초에 유토피아 덱 이외의 덱에선 사용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상향이지만, 유토피아 덱에서도 채용 가치가 전혀 없는 게 문제.[2]

카드명의 유래는 ZEXAL 1기 오프닝 곡이었던 マスターピース.[3] 일러스트 또한 해당 오프닝의 마지막 장면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이에 영어판 명칭 또한 역시 미국에서 ZEXAL이 방영되었을 때의 첫 번째 주제가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모든 조각들을 전부 모았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엑시즈 소환할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20AP-JP057 시크릿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2. 운명의 계약

파일:運命の契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운명의 계약,
일어판 명칭=<ruby>運命<rp>(</rp><rt>うんめい</rt><rp>)</rp></ruby>の<ruby>契約<rp>(</rp><rt>けいやく</rt><rp>)</rp></ruby>,
영어판 명칭=The Deal of Destiny,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때마다\, 이 카드에 황의 열쇠 카운터를 1개 놓는다(최대 1개까지).,
효과2=②: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의 황의 열쇠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중에서\, "운명의 문"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엑스트라 덱에서 빛 속성의 "유토피아" 또는 "호프"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몬스터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황의 열쇠 카운터를 놓고, 카운터를 이용하여 "유토피아" 또는 빛 속성의 "호프" 몬스터를 엑시즈 소환하는 함정 카드.

랭크에 상관 없이 "유토피아" 또는 빛 속성의 "호프"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은 매력적이지만 조건 및 과정이 어렵다. 우선, 함정 카드라 자기 턴에 발동하고 스스로 카드를 파괴하여 카운터를 올려 놓을 수 없다. 고로 상대 턴에 자기 몬스터가 파괴되기 전에 발동해야 해서 상대한테 수가 훤히 읽힌다.

더구나 이렇게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엑시즈 소재가 딸랑 1개고, 유토피아를 엑시즈 소재로 갖고 있어야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V나, 빅토리, 라이트닝의 경우엔 효과를 쓸 수가 없고, 라이트닝과 드래그너의 경우 엑시즈 소재를 2개 써야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더구나 호프 제알은 현재 시점에서는 금지 카드지만, 굳이 쓴다고 해도 엑시즈 소재가 1개이기 때문에, 그럴 바엔 유토피아를 먼저 소환하고 강화체로 여러 번 진화시킨 후 RUM을 버려 뽑는 것이 훨씬 더 이득이니 이 카드로 뽑을 이유가 전혀 없다. 유토피아 레이의 경우도 애매하긴 마찬가지. 비욘드의 경우 엑시즈 소환에만 성공하면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 수 있어서 좋긴 하지만,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효과를 발동할 경우, 유토피아가 묘지에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필드 위의 엑시즈 몬스터를 제외해야 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애매하다. 즉, 이 카드를 써서 유토피아 계열을 뽑는다고 한다면, 원본 유토피아와 더블이나 미래황 계열을 뽑는 것이 훨씬 낫다.

이렇게 어렵게 카운터를 쌓아도, 소환 타이밍이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소환한 시점이며 상대가 배틀 페이즈 이후 메인 페이즈 2에 전개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음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 1에 상대가 엑시즈 / 싱크로 / 융합 / 링크 / 펜듈럼 몬스터를 소환해야 겨우 효과를 쓸 수 있다는 소리. 운명의 문이야 덱에서도 버려도 되니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카운터를 쌓는 것도, 소환 타이밍도 너무 수동적이며 시간도 오래 걸려서 실전에서 사용되기가 어렵다.

일러스트는 운명의 문이 열리면서 유토피아를 비롯한 넘버즈들이 흩날리고 있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TRUCTURE DECK -オーバーレイ・ユニバース- SD42-JP036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 엑시즈 몬스터 이외의 "호프" 카드

호프 카드는 엑시즈 몬스터만을 지정하며, 엑시즈 몬스터 중에서 카드명을 복사할 수 있는 카드는 엑시즈 몬스터만을 복사할 수 있기에 의미가 없다. 아래를 보면 마법은 물론이고 몬스터 중에도 관계없는 카드가 꽤 있기에 향후로도 이들을 포함해 지정할 가능성은 낮다.

6. 관련 문서



[1]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 [2] 효과 자체는 유토피아 덱의 불안정한 후속을 FNo.0 미래용황 호프로 보완할 수 있게 해주지만, 소속 카드군이 없어 유토피아 덱에서도 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의 4소재 효과로만 서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유토피아 덱에서의 달랑베르시안의 역할은 3소재 효과로 희망황 아스트랄 호프를 서치 후 ZS-호프 세이지와 함께 미래용황의 소재가 되는 것이고, 설령 4소재 효과를 쓴다고 하더라도 그 시점에서 필드에 4레벨 몬스터를 더 늘어놓는 건 불가능해 다음 턴에 4랭크 엑시즈 몬스터 하나를 소환하는 것 말고는 의미가 없다. [3] 다만 이 카드의 이름에는 중간에 띄어쓰기(한판)와 (일판)가 들어가 있어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토피아(유희왕), version=240, paragraph=4.1,
title2=마스터 피스(유희왕), version2=17,
title3=운명의 계약, version3=21,
title4=샤이닝 호프 로드, version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