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8:52:20

현대예술관

파일:HD현대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계열사
<colbgcolor=#00AD1D> 지주회사 HD현대
조선·해양
HD한국조선해양 ( HD현대중공업 | HD현대미포 | HD현대삼호) | 아비커스
산업기계
HD현대사이트솔루션 ( HD현대건설기계 | HD현대인프라코어) | HD현대로보틱스 (현대L&S)
에너지·
화학
HD현대오일뱅크 ( HD현대케미칼 | HD현대쉘베이스오일 | HD현대코스모 | HD현대OCI | 현대E&F) | HD현대일렉트릭 | HD현대에너지솔루션
서비스 HD현대마린솔루션 (HD현대마린솔루션테크) | HD현대이엔티 | HD현대스포츠 | 씨마크서비스
싱크탱크
아산정책연구원
기타
HD현대미래파트너스 (암크바이오)
CSR
공익재단
아산사회복지재단 ( 아산의료원) | 아산나눔재단
문화시설
현대예술관
학교법인
현대학원 | 울산공업학원
기타 현대중공업공과대학 | 현대외국인학교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주요 공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font-size:0.9em"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50,000명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인천문학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10,000명 이상 고척 스카이돔 | 잠실보조경기장 |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대전월드컵경기장 | 광주월드컵경기장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화성종합경기타운 | 안산와~스타디움 | 강릉종합운동장 | 천안종합운동장 | 청주종합경기장 | 전주월드컵경기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월드컵경기장 |
전문공연장
CJ라이브시티 아레나(예정) |
전문공연장
서울아레나(예정) | 송도달빛축제공원 | KSPO DOME |
전문공연장
인스파이어 아레나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5,000명 이상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SK핸드볼경기장 | 장충체육관 | 잠실학생체육관
3,000명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전문공연장
올림픽홀 |
전문공연장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000명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우송대학교 우송아트센터 | KBS울산홀|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전문공연장
블루스퀘어 |
전문공연장
LG아트센터 서울 |
전문공연장
우리금융아트홀 |
전문공연장
예스24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명화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국립극장 |
전문공연장
국립국악원 |
전문공연장
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유니버설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충무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샤롯데씨어터 |
전문공연장
롯데콘서트홀 |
전문공연장
부산문화회관 |
전문공연장
드림씨어터 |
전문공연장
부산시민회관 |
전문공연장
소향씨어터|
전문공연장
아트센터 인천 |
전문공연장
인천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대구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대구콘서트하우스 |
전문공연장
대구오페라하우스 |
전문공연장
대구학생문화센터 |
전문공연장
수성아트피아 |
전문공연장
대전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광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전문공연장
울산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경기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고양아람누리 |
전문공연장
용인포은아트홀 |
전문공연장
성남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부천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안양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안산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의정부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군포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청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천안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전문공연장
익산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군산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목포시민체육센터 |
전문공연장
GS칼텍스 예울마루 |
전문공연장
포스코 백운아트홀 |
전문공연장
구미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경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통영국제음악당 |
전문공연장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성산아트홀 |
전문공연장
3.15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김해문화의전당 |
전문공연장
제주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현대예술관
1,000명 미만
전문공연장
국립정동극장 |
전문공연장
두산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무신사 개러지 |
전문공연장
롤링홀 |
전문공연장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전문공연장
예스24 스테이지 |
전문공연장
예스24 아트원 |
전문공연장
예스24 원더로크홀 |
전문공연장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 |
전문공연장
링크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링크아트센터드림 |
전문공연장
광림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


현대예술관
Hyundai Arts Center (HHIARTS)
파일:현대예술관 로고.svg
설립일 1998년 6월 13일
국가 대한민국
관장 차주호
위치 울산광역시 동구 명덕로 10 ( 서부동)
링크 홈페이지

파일:현대예술관 전경.jpg

1. 개요2. 상세3. 연혁4. 시설5. 상주단체
5.1. USP 챔버 오케스트라5.2. 동구여성합창단5.3. 울산남성합창단5.4. 현대청소년오케스트라5.5. 울산현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6. 기타7. 교통
7.1. 버스
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 소재 HD현대중공업 소유 종합문화예술센터. 울산 동구 유일의 대규모 복합 공연 · 문화시설이기도 하다.

2. 상세

1998년 당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임직원들과 가족 및 울산 동구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문화, 예술활동 등의 영위를 위해 현대예술관은 고품격 공연장과 미술관, 레저와 스포츠시설을 갖춘 복합문화센터로 문을 열었다.

개관한 해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았고, 현대중공업의 지원에 따라 꾸준한 메세나 사업으로 2007년에 '한국메세나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대예술관은 지하 3층, 지상 4층, 연면적 1만평에 스포츠동, 공연동, 업무동 등 3개동 으로 되어 있고, 주요시설로는 962석의 대공연장과 스포츠 시설로는 실내체육관, 볼링장, 인공암벽, 바디클리닉(GX룸), 라켓볼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배드민턴, 농구, 라켓볼 등 실내스포츠 종목과 요가, 필라테스, 댄스 등 강좌들을 운영하며 다양한 회원층을 확보하고 있다.

964석 규모의 대공연장은 쾌적한 관람여건을 가지고 있고, 특히 어쿠스틱(잔향)이 좋아 정통 클래식에서부터 라이브콘서트, 뮤지컬, 오페라, 연극, 퓨전뮤직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인 연주자들로부터 ‘다시 서보고 싶은 무대’로 인정받고 있다.
연간 40여 개 작품을 유치해 60여회 공연하고 있으며 연간 4만5천~5만여 명의 관객들이 찾는다. 주요 공연으로는 주빈메타&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 사라장, 홍혜경, 조수미, 미샤 마이스키, 요요마, 유키 구라모토가 다녀갔고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리골레토', 발레 ‘호두까기 인형’, '지젤', ‘안나 카레니나’ 뮤지컬 '캣츠(해외오리지널팀)', ‘지킬 앤 하이드’, ‘잭 더 리퍼’, ‘몬테크리스토’, ‘시카고’ 등 대형물을 선보였다. 또한 티켓가는 서울의 60~70% 정도의 수준으로 책정해 문화예술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220석 규모의 소공연장은 인기 있는 대학로 소극장 공연 및 지역 예술단체 공연과 지역민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소규모 무대로 관객과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무대와 객석 사이가 1.5미터로 가깝고, 객석 전체 길이는 10미터 남짓 해 관객이 무대 위의 배우들과 함께 호흡하며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개관시부터 있던 미술관은 2007년 리모델링하여 그해 이탈리아 피렌체의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탈리아 판화 400년 전’ (7주간)을 열어 유료관객 2만 7천명을 기록,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시로는 최다 관객을 기록하였다. 2008년에는 이탈리아 율란다 가문(메디치 가문의 방계)의 소장품을 전시한 ‘유럽회화특별전’과 개관10주년 기념으로 19~20세기 대표 미술가들의 작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세계미술거장전’을 열었으며, 그 해 울산에서 처음으로 '아트페어'를 진행하였다. 2010년에는 지방 최초로 ‘내셔널 지오 그래픽전’을 열었으며, 2014년 ‘구스타 프 클림트&에곤 실레 명화(레플리카)전’등 개관 때부터 국내외 유명작가의 작품과 세계적 미술품을 유치하는 다양한 기획 전시를 하고 있다.

현대시네마로 불리는 영화관은 1, 2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리모델링을 통해 각각 66석의 프리미엄 좌석과 3D 디지털 영사기, 7.1 돌비사운드 등의 시설을 갖춰 연중 무휴로 운영 중이다.

이 밖에 현대예술관은 문화와 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2007년 울산대학교 음악대학과 공동으로 'USP 챔버 오케스트라 창단', 지역의 5개 상주(지원)예술단체 지원, 찾아가는 음악회, 수요 로비음악회 등 문화보급사업, 메세나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3. 연혁

현대예술관 연혁
<colbgcolor=#ffffff,#141414>
1998.06.13 현대예술관 개관
[예원] 울산광역시 동구 지정 모범식당으로 선정
1998.09.01 현대예술관 '98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수상
2001.06.24 주한대사 및 영사, 외교사절단 106명 내방
2001.11.11 예술단체 연습실 '하모니홀'개장
2007.5 미술관 리모델링
2007.7 한국메세나 대상 수상
2007.11 USP 챔버 오케스트라 창단
2008.06.13 소공연장, 디지털 시네마1, 2관 개관
2011.03.06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부울경지회장 기관선임
2014.03 문화가 있는 날 참여
2017.09.26 노리파크(키즈카페) 오픈
2023.04.23 시네마 1, 2관 리모델링
2023.06.02 볼링장 리모델링

4. 시설

현대예술관 층별 안내
<colbgcolor=#ffffff,#141414>
4F 라켓볼장(A동), 공연장(B동)
3F 하모니홀(A동)
2F 체육관(A동), 대공연장(B동)
1F 클라이밍(A동), 볼링장(A동), 로비(B동), 키즈카페(A동), 미술관(B동), 카페 아마데우스(B동)
B1 소공연장(A동), 시네마 1,2 관(A동), 주차장(B동), 바디클리닉(C동), 샤브안(B동)
B2-B3 주차장(A, B, C동)

5. 상주단체

5.1. USP 챔버 오케스트라

USP(Ulsan string Players) 챔버 오케스트라는 HD현대중공업이 기업 메세나 활동의 일환으로 울산대학교와 협약을 맺고 2007년 창단 지원하고 있는 울산의 대표적인 챔버 오케스트라이다.

5.2. 동구여성합창단

동구여성합창단은 “아름다운 노래로 함께 열어가는 세상을 만들자”라는 슬로건 아래 1988년 창단된 울산을 대표하는 여성합창단이다.

5.3. 울산남성합창단

울산남성합창단은 2002년에 창단된 울산 최초의 남성합창단으로서 지난 17년간 ‘울산사랑 시가경연대회’에서 2회 연속 대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동으로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순수 아마추어 합창단이다.

5.4. 현대청소년오케스트라

현대청소년오케스트라는 1997년 창단 이후 매년 1회의 정기연주회를 현대예술관 대공연장에서 개최하고 단원들의 실력향상과 무대경험을 위하여 향상음악회를 기획 년 1회 현대예술관 소공연장에서 개최하고 있다.

5.5. 울산현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 등 HD현대 직원들이 모여 2011년 결성된 울산현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활기찬 직장생활과 자기계발, 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창단되었으며, 현악기와 목관악기, 금관악기 등 60여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6. 기타

  • 현대중공업이 현대예술관을 중심으로 한때 한마음회관(전하동), 미포복지회관, 서부회관(이상 서부동), 동부 1, 2 회관(동부동), 대송문화회관(화정동) 등 울산 동구의 주요 지역 및 현대중공업 사원아파트 중심으로 복지회관을 운영해 '복지 동구'라는 이름을 얻기도 했으나 조선업 불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5년 이후 현대중공업 측에서 부채 비율을 줄이기 위해 미포, 서부, 동부, 대송회관을 모두 매각해 이들 회관에 있던 수영장, 목욕탕, 헬스장, 탁구장, 문화강좌 등의 운영이 중단되고 폐쇄됐다. 한마음회관 역시 회사 직영으로 운영되던 식당(한식, 중식, 양식)을 민간에 매각하면서 음식값이 엄청 올라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후 울산 동구청에서 서부, 동부회관을 매입해 공공 회관으로 운영할 계획을 세워 서부회관은 2024년 서부건강센터로 바뀌었다.
  •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어 한때 울산 동구의 유일한 영화관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으나, 2022년 방어동에 CGV 울산동구점이 개관하면서 이 타이틀은 사라졌다.

7. 교통

7.1. 버스

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