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9:27:52

하나후사 마리

설조 역대 톱 여역
무라사키 토모 (18대) 하나후사 마리 (19대) 츠키카게 히토미 (20대)
주조 역대 톱 여역
하나후사 마리 (1대) 시죠 루이 (2대)
<colbgcolor=#e2bcd9><colcolor=#ffffff> 하나후사 마리
[ruby(花總, ruby=はなふさ)] [ruby(まり, ruby= まり)] | Mari Hanafusa
파일:1366d1dc73e64b268b4e12b56b332ecb.jpg
본명 [ruby(醍醐, ruby=だいご )] [ruby(まり子, ruby=まりこ)] ( 다이고 마리코, Daigo Mariko)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생 1973년 2월 28일 ([age(1973-02-28)]세)
도쿄도 토시마구
신체 163cm, O형
가족 부모님[1], 1남 3녀 중 막내
초무대 1991년 월조 공연 <베르사유의 장미 ~오스칼 편~>
경력 성조 (1992~1993)
설조 (1993~1998)
주조 (1998~2006)
입단 성적 40명 중 9등
소속사 블루밍 에이전시
학력 일본여자대학 부속초등학교 (졸업)
일본여자대학 부속중학교 (졸업)
일본여자대학 부속고등학교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졸업)
애칭 하나, 오하나, 여제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다카라즈카 입단 전3. 다카라즈카 활동 시기
3.1. 초무대~ 성조 (1985~1993)3.2. 설조 (1993~1997)3.3. 주조 (1998~2006)
4. 퇴단 후5. 여담

[clearfix]

1. 개요

다카라즈카 가극단 설조, 주조의 톱 여역.

다카라즈카 가극단 출신 뮤지컬 배우로 1991년 입단하였다. 다카라즈카 가극단 77기로 동기에는 성조 톱스타 아란 케이, 화조 톱스타 하루노 스미레, 설조 톱스타 아사미 히카루, 전과 스타 나루세 코우키 등이 있다.[2]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설조 톱 여역이었다가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주조 톱 여역이었다. 5명의 톱스타의 상대 역을 맡았고, 톱 여역으로서의 임기는 12년을 넘어, 이것은 역대 최장 기록이 되었다.
2006년 퇴단 이후 2010년부터 다시 연예계 활동을 재개하여 일본 연극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2. 다카라즈카 입단 전

쇼치쿠 가극단에서 활동하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서 5살부터 바이올린을 배웠다.

음악대학으로의 진학을 목표로 하였으나, 고등학교 1학년 때 다카라즈카 음악학교 입학시험을 보고 한번의 수험으로 입학하게 되었다. 처음 봤던 다카라즈카 연극은 설조의 "3개의 왈츠"(1986)[3]

3. 다카라즈카 활동 시기

3.1. 초무대~ 성조 (1985~1993)

1991년 77기 초무대로 월조의 <베르사유의 장미 ~오스칼 편~>으로 무대를 밟은 후 성조로 배속되었다.

1992년 한큐-한신 전철의 하츠모우데 포스트 모델로 cm과 포스터를 찍었다. 신년 포스터 모델로 일반적으로 미래의 톱/여톱 스타들의 등용문이다. 한큐-한신 전철의 하츠모우데 포스터 모델이 톱스타가 된 사례는 아사노 카요, 준나 리사, 유즈키 레온, 란노 하나, 미사키 리온, 호시카제 마도카가 있다.

1992년 3월 「자금성의 낙일」(도쿄 다카라즈카 극장만)
1992년 5월 - 8월 백야 전설/ 원나이트 미라지
1992년 10월 '헬로, 조지!'( 바우홀 )
1993 년 1월 - 2월 ' 보수 봉 '
1993년 2월 - 3월 '헬로, 조지!'( 일본 청년관 )
1993년 4월 '보스 뺨' 'PARFUM DE PARIS'
1993년 6월 - 8월 ' 우타카타의 사랑'

1993년 '우타카타의 사랑' 신인공연에서 첫 히로인을 맡았다.

3.2. 설조 (1993~1997)

1993년 성조에서 설조로 조 이동을 하였다. 1994~1998년까지 설조 톱 여역이었다. 1994~96년까지의 상대역은 이치로 마키, 1996~97년까지는 타카네 후부키, 1997~1998년까지는 토도로키 유우의 상대역을 맡았다. 타카네 후부키와는 3개, 토도로키 유우와는 1개의 극을 하였다.

1993년 10월 - 12월, ' 부르봉의 봉인 '/ '코트 다쥐르'(다카라즈카 대극장)
1994년 1월 - 2월 ' 두 사람만의 전장 '(바우홀·일본 청년관)'
1994년 3월 '부르봉의 봉인'/ '코트 다쥐르'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994년 '두 사람만의 전쟁'에서 첫 히로인 역을 따냈고 1994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신인 공연 히로인, 본 공연 에트와르로 톱 여역에 취임한다.

1994년 5월 - 8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94년 10월 '두 사람만의 전장'( 아이치 후생 연금 회관 )
1995년 3월 'An actor's revenge' - 나미, '사지타리우스'(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995년 5월 - 8월 'JFK' - 재클린, '바로크 천일밤'
1995년 11월 - 12월 '아카네사스 무라사키노 하나' ' 마 벨 에투알 '(다카라즈카 대극장만)
1996년 2월 - 3월 엘리자벳 '(다카라즈카 대극장)
1996년 4월 - 5월 '아카네사스 무라사키노 하나' '마 벨 에투알'(전국 투어)
1996년 6월 ' 엘리자벳'(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996년 다카라즈카판 엘리자벳 초연에 엘리자벳 역할로 출연하게 된다. 하나후사가 연기한 엘리자벳은 일본 엘리자벳의 기준이 되었고 엘리자벳으로 인해 하나후사 마리는 일본 뮤지컬계의 전설로 자리잡게 된다.


1996년 8월 - 9월 '무지개의 나타샤' 'La Jeunesse!'(다카라즈카 대극장)[4]
1996년 11월 '맑은 날에 영원이 보인다'(바우홀)
1996년 12월 '무지개의 나타샤' 'La Jeunesse!'(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1997년 2월 '무지개의 나타샤' 'La Jeunesse!'
1997년 3월 - 5월 '가면의 로마네스크 ' ' 골든 데이즈 '(다카라즈카 대극장)
1997년 5월 - 6월 '맑은 날에 영원이 보인다'(일본 청년관·아이치 후생 연금 회관)
1997년 7월 '가면의 로마네스크' '골든 데이즈'(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5]
1997년 9월 - 11월 '한밤중의 고스트' '레 쉐르반'(다카라즈카 대극장만) [6]

3.3. 주조 (1998~2006)

1998년 1월 1일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기존에 있던 화조, 월조, 설조, 성조에 주조를 추가하여 5개의 조를 운영하게 되었고, 월조의 2번수인 시즈키 아사토가 주조 1대 톱스타에, 설조의 하나후사 마리가 주조 1대 톱 여역에 취임하게 되었다.

1998년 1월 『몽환보수배』 『This is TAKARAZUKA!』( 홍콩 문화 센터 )
1998년 3 - 8월 ' 엑스칼리버 ' ' 감귤의 바람 ' 대극장 톱 피로연 공연
1998년 9월 『바우 보야쥬!』(바우홀)
1998년 10 - 1999년 3월 ' 엘리자벳'

하나후사 마리는 1998년 주조 엘리자벳으로 다카라즈카에서 또다시 엘리자벳 역할을 맡게 되었고, 지금까지 다카라즈카 가극단 내부에서 엘리자벳 역할을 2번 한 여톱은 하나후사 마리가 유일하다. 하나후사가 입은 별드레스는 금실과 다이아몬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조명밝기를 낮춰야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1999년 4 - 5월 '엑스칼리버' '감귤의 바람'(전국 투어)
1999년 6 - 11월 ' 격정 ' - 카르멘 ' 더 리뷰'99 '
2000년 1 - 5월 '사막 의 검은 장미 ' ' GLORIOUS!! '
2000년 8 - 12월 ' 망향은 바다를 넘어 ' ' 밀레니엄 챌린저! ' [7]
2001년 4 - 8월 ' 베르사유 장미 2001-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편-'[8]
2001년 11 - 2002년 5월 ' 카스텔 미라지' ' 댄싱 스피릿! '
2002년 7 - 11월 ' 봉황전 ' ' 더 쇼 스토퍼 '
2003년 2 - 6 월 ' 용병 피에르 '
2003년 8월 '봉황전' - 투란트 '더 쇼 스토퍼'( 하카타자리 )
2003년 10 - 2004년 2월 ' 백낮의 번개 ' ' 템프테이션! '
2004년 5 - 8월 ' 팬텀(뮤지컬)] '
2004년 10 - 11월 '바람과 함께 떠나지 않는다'(전국 투어)
2005년 1 - 6월 '호텔 스텔라 마리스' '레뷰 전설'
2005년 8 - 11월 ' 불꽃에 뿌리내리기를' '네오 보야쥬'
2006년 3 - 7월 ' NEVER SAY GOODBYE '

2006년 프랑크 와일드혼이 작곡한 never say goodbye를 마지막으로 상대역인 와오 요우카와 함께 다카라즈카를 은퇴하였다.

4. 퇴단 후

다카라즈카 은퇴 이후 하나후사 마리와 와오 요우카는 엔터 회사를 설립하고, 하나후사는 매니저가 되어서 와오 요우카를 서포트했다. 그러나 2011년 드라큘라(뮤지컬)/브로드웨이판/일본 후지테레비 프로덕션를 마지막으로 둘의 동업은 끝이 나고 하나후사 마리는 다시 연예계 복귀를 한다.

2010년 3월 - 4월 『디트리히 살아 사랑한 영원히』( 아오야마극장 , 우메다예술극장 )
2011년 8월 - 9월 ' 드라큘라(뮤지컬)/브로드웨이판/일본 후지테레비 프로덕션 '( 도쿄국제포럼 홀 C, 우메다예술극장)
2011 11월 『LOVE LETTERS』( 파르코 극장 )
2013 1월 - 2월 『NO WORDS,NO TIME ~하늘에 떨어진 눈물~』( 도쿄 글러브 자리 , 모리노미야피로티홀 )
2013년 3월 - 4월『영원 이야기』( 다카라즈카 바우홀 )
2013년 12월 - 2014년 1월 몬테 크리스토 백작』(닛세이극장, 우메다예술극장, 아이치현예술극장 대홀, 캐널시티극장 )
2014년 4월 - 9월 『레이디 베스』( 제국극장 /우메다예술극장, 하카타자, 주니치극장 )
2014년 11월 - 2015년 1월 모차르트!』(제국극장/우메다예술극장)
2015년 6월 - 8월 엘리자벳』(제국극장)
2016년 4월 - 6월 『1789 -바스티유의 연인들-』(제국극장, 우메다예술극장)
2016년 6월 - 10월 엘리자벳』(제국극장, 하카타자리, 우메다예술극장, 주니치극장)
2017년 10월 - 12월 『레이디 베스』(제국극장, 우메다예술극장)
2018년 3월 - 4월『ROMALE~로마를 살아남은 여자 카르멘~』(도쿄예술극장 플레이하우스, 극장 드라마시티)
2018년 6월 - 7월『비밀의 화원』( 극장 크리에 , 아쓰기문화회관, 쿠루메시티플라자, 효고현립예술문화센터 )
2018년 9월 - 2019년 1월 마리 앙투아네트(뮤지컬)』(하카타자리, 제국극장, 미조노좌 , 우메다예술극장)
2019년 6월 - 8월 엘리자벳』(/제국극장)
2020년 10월-11월『재미있는 두 사람』(극장 크리에,극장·드라마 시티)
2021년 1월 - 2021년 3월 『마리 앙투아네트(뮤지컬)』( 도큐 극장오브, 우메다예술극장)
2021년 11월 12일 - 28일『오늘도 휴진』( 메이지자 )
2022년 1월 - 2월 「어린왕자」( 극장 크리에, 빌리지 홀 )
2022년 4월 『은하철도 999 THE MUSICAL』(일본청년관 홀)
2022년 6월 『바이옴』( 도쿄 건물 Brillia HALL )
2022년 10월 - 2023년 1월 엘리자벳』(제국극장, 미소노자, 우메다예술극장, 하카타자)
2023년 6월 - 7월 『SUNNY』(도쿄 건물 Brillia HALL, 우메다예술극장, 극장 드라마시티)
2023년 12월 ' 베토벤(뮤지컬) '(닛세이극장)

5. 여담

예명인 하나후사 마리는 가족이 고안하였다. 가문의 주요 한자인 總에서 이름을 만들었다.


[1] 어머니가 전 쇼치쿠 가극단 아오에 나미 [2] 현재 77기는 모두 퇴단 [3] 상대역이였던 이치로 마키가 이 연극에서 조연을 맡았다 [4] 설조 6대 톱스타 타카네 후부키의 취임작 [5] 설조 6대 톱스타 타카네 후부키 퇴단작 [6] 설조 7대 톱스타 토도로키 유의 취임작 [7] 주조 2대 톱스타인 와오 요우카의 톱스타 취임작 [8] 에트와르도 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