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7:01:28

플랜테이션

1. 개요2. 플랜테이션의 특징3. 대표적인 플랜테이션 작물


plantation

1. 개요

기술[1]을 독점한 선진국 대자본이, 식민지 제3세계 나라에서 열대 기후에 견딜 수 있는 원주민이나 이주노동자의 노동력을 강제로 또는 저렴한 값에 착취해서, 기호품이나 산업 원료로 수출하기 위한 농작물을 단일경작(單一耕作)하는 기업형 농업을 말한다.

재식 농업이나 재식경이라고도 한다.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플랜테이션은 거대한 식량 수요를 공급하던 고대 로마 라티푼디움이라 할 수 있다. 이후 16~17세기 부터 유럽의 식민제국들은 식민지의 토지와 기후, 노동력을 이용하여 유럽권에서 고부가가치를 지닌 작물들을 경작해 왔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콩키스타도르의 정복 이후에 엔코미엔다 제도[2]를 거쳐 대농장인 아시엔다/파젠다가 자리잡으며 플랜테이션 농장이 생겼고, 18~19세기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도 식민지를 확보하면서 플랜테이션이 도입되었다.

그러다가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들이 대거 독립하면서 농장의 경영권이 국유화되어 현지인이 경영하게 되었다. 재배작물 중 대체재가 개발되어 수요가 줄어든 마, 목화 등의 섬유, 인디고 같은 염료, 그리고 고무 등의 작물들은 재배가 상당수 줄어들었다. 하지만 아직도 세계적으로 경제성이 있는 상품작물들은 이런 농업방식이 유지되고 있다. 덕분에 과거 값비싼 작물들이 세계 시장에서 저렴한 시장가격을 유지한다. 그러나 경영주체가 달라졌을 뿐 경영방식이 여전히 과거와 같은 불공정한 저임금, 착취노동에 의존하는 문제가 남아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정무역과 같은 사회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불법적이고 폐쇄적이기 때문에 마약과 불법작물 역시도 이런 방식으로 경작되어 범죄조직과 엮여 경영된다.

미국 남북전쟁 전후까지 자국 내(미국 남부지방)에서 흑인 노예노동을 이용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면화를 재배했었다. 하와이 등도 사탕수수농장으로 재편되어 노동이민자들이 건너간 역사가 있다.

2. 플랜테이션의 특징

생산물은 소비하는 나라의 기후조건에서는 재배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열대성 혹은 아열대성의 특산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심을 때부터 수출시장을 지향한 환금작물이다. 현지인들의 생활과는 관계 없는 상품인 고로, 한 토지에 단일작물만을 밀식재배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 전근대적 대토지소유제 및 경영자 감독하에 현지인 조장을 두는 집단적 노동양식인 갱 시스템(gang system)을 기초로 하고 있다. 노동력은 저임금 혹은 강제노동력에 의존하여 마진을 높인다. 단일재배의 특성상,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른 가격의 불안정, 흉작(기후변화 및 병충해 등)에 취약하다. 이전부터 행해지던 현지 고유의 농업 및 경제적인 순환이 망가져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플랜테이션 농업에 엮여 생활을 의존하는 현지인들은 더욱 크게 피해를 입는다. 이게 더 심해지면 아예 국가의 경제 자체가 해당 농업의 상태에 좌지우지되는 식민지 수준으로 전락하기도 한다.[3]

특히 플랜테이션 작물들은 대부분 극소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전세계의 유통망을 장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플랜테이션 농업의 상징인 바나나 치키타, Dole, 노보아[4], 델몬트, 스미후루[5]라는 단 5개의 기업이 전세계 시장을 통제하고 있으며 바나나 생산국들은 을의 신세이다. 이런 플랜테이션 농업에 잠식당한 나라의 비참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용어가 바나나 공화국이다.

자연히 아동노동과 같은 노동착취 및 인권문제의 온상이 되기도 하며 토지 황폐화나 단일종 경작에 따른 생물 다양성 문제, 서식지 파괴 환경파괴 문제도 거의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팜유 플랜테이션, 미취학 아동 노동력 착취와 아무다리야 강 시르다리야 강 수자원 파괴로 잘 알려진 우즈베키스탄 목화 플랜테이션 산업 문제가 있다.

일부 인권 운동가들이 이에 반발하여 공정무역 등 이익재분배나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고 유럽 등지에서 공정 무역 상품은 상당히 인기가 있으나, 전체 시장 중의 영향력은 미미하고 이 시스템으로 이익을 보고 있는 선진국들은 오히려 해당 산업을 더욱 지원하는지라, 인공지능 기술 등 인건비 절감을 위한 기술만 계속 발전하는 일 등을 고려하면 미래에는 아예 현지인을 이용하지 않고 로봇을 사용해 모든 이익을 경영주가 독점하는 쪽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된다.[6]

3. 대표적인 플랜테이션 작물



[1] 오늘날 많은 경우 종자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포함해서. [2] 콩키스타도르에게 영지와 원주민 통치권을 본토에서 위임하고 간접통치 및 가톨릭 개종, 세금 수취 및 납부를 맡긴 제도. [3] 애당초 자국 수요보다는 해외수요를 대상으로 만든 경제구조이므로 수요국에서 보이콧 등으로 얼마든지 해당국의 경제를 뒤흔들수 있다. 좋든 싫든 따라갈수밖에. [4] 에콰도르의 플랜테이션기업 [5] 스미토모 후르츠. 일본 스미토모 그룹의 전 계열사이다. 회사는 싱가포르에 있다. "감숙왕"이라는 바나나 브랜드 광고를 라디오에서 보내고 있다. [6] 물론 진짜 그랬다가는 폭동이나 아니면 혁명이 일어날지 모르고 기업들도 사람이 운영하기에 인도적인 지원의 중요성을 알고 있고, 어떨 때는 이익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최소한이나마 현지인들에게 뭔가를 쥐어주려고 노력한다. 예를 들면 나이지리아에 진출한 서방 석유 회사들이 한상기 박사의 신품종 카사바 보급을 적극적으로 도왔는데, 지원이 중단될 시 기근과, 그에 따르는 사회 불안정으로 유전 운영도 보장하기 힘드리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