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2:34:41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자격정지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튀르키예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Føroyska fótbóltsmanslandsliðið
정식명칭 Føroyska fótbóltsmanslandsliðið[1]
Færøernes fodboldlandshold[2]
FIFA 코드 FRO
협회 페로 제도 축구 협회 (FSF)
연맹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스웨덴|]][[틀:국기|]][[틀:국기|]] 호칸 에릭손 (Håkan Ericson)
주장 할루르 한손 (Hallur Hansson)
최다출전자 프로디 베냐민센 (Fródi Benjaminsen) - 96경기
최다득점자 로그비 야콥센 (Rogvi Jacobsen),
클레민트 올센 (Klæmint Olsen) - 10골
홈 구장 토르뵐루르 (Tórsvøllur, 6,040석),
스방가스카르디 (Svangaskarð, 6,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0 승),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 (1988년 7월 2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5:1 승),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토르스하운 (2021년 6월 7일),
VS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4:0승),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말라가 (2024년 3월 23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0:7 패),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1991년 5월 16일)
VS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0:7 패),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1992년 5월 6일)
VS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0:7 패),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토프티르 (1993년 8월 11일)
VS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1:8 패),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토프티르 (1996년 10월 6일)
별칭 Landsliðið (팀)
FIFA 랭킹 133위[3]
Elo 랭킹 150위[4]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파일:errea White logo.png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1

하의 9
양말


[clearfix]

1. 개요

감독은 호칸 에릭손이다. 산사태팀 (Landsliði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월드컵 지역예선이나 유로대회 예선에서 대량실점을 하는 팀(일명 골 자판기)으로 유명하다.

국제대회는 1993년부터 출전하기 시작했지만 인구 적은 속령 국가대표팀들이 다 그렇듯 월드컵이나 유로에서는 동네북 신세다. 그래서 노르딕컵이라는 바이킹계 지역 축구대회에 주로 나가는데 여기서 1985년 아이슬란드에게 0:9로 크게 진 게 비공식 기록이긴 하지만 역대 최다 실점패 경기다. 반대로 최다 득점 승리 기록은 2021년과 2024년에 리히텐슈타인을 상대로 기록한 5:1, 4:0 승리이다.

비록 독립국가는 아니지만 FIFA에 가입한 상태. 하지만 산마리노, 리히텐슈타인, 지브롤터, 안도라와 함께 유럽 축구계의 공인 승점자판기. 그러나 그렇다고 무조건 동네북은 절대 아니었다. 유로 92 예선이 열리던 1990년 9월 12일 지역예선 4조 첫 경기인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1-0으로 이겼던 것이 페로 제도의 첫 유로 예선참가 승리였다.[5] 물론 그 다음은 두들겨 맞았고 오스트리아와 사이좋게 1승 1무 6패로 탈락했지만 당연히 실점은 3득점 26실점으로 6득점 14실점인 오스트리아보다 압도적으로 밀려 조 꼴찌를 거뒀다.[6]

2014년 11월 15일에 벌어진 유로 2016 예선에서 그리스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이기는 파란을 연출했다! 불과 몇 달 전 월드컵 본선 16강을 찍은 팀을 상대로 원정에서 이긴 것![7] 그야말로 그리스 축구 사상 최대 굴욕이라고 할 수모인데 한국 대표팀이 당한 몰디브 쇼크 오만 쇼크가 원정경기임을 감안하면 가히 차원이 다르다. 여담으로 유로 96 예선경기에서 (유로 예선사상) 처음이자 딱 1번 만난 그리스에게 원정 0-5, 안방 1-5로 패했던 페로 제도였는데 역대 그리스전 유로 예선 성적은 이로서 1승 2패가 되었다.[8]

또한 2015년 6월 14일에 있던 유로 2016 예선 경기 안방전도 그리스를 2-1로 이기며 2승을 챙겼다! 역대 유로 예선 그리스전 성적은 2승 2패가 된 셈. 그리고 7월 FIFA 랭킹에서 28계단 올라 74위가 되었다. 페로 제도의 실력은 절대 산마리노나 지브롤터같은 100% 승점자판기가 아니며 유럽 중하위권 팀들이 방심하거나 준비가 미비하면 페로 제도가 언제든지 한방 먹일 수 있는 전력은 된다. 페로 제도는 위치가 위치인지라 북유럽 특유의 힘과 체력을 무기로 내세워 경기에 임하는데 이게 상대팀 입장에서는 한 번 경기가 말리면 꽤나 페로 제도 상대로 고생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유명한 선수로는 한때 분데스리가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에서 뛰었다가 현재 북마케도니아 프르바 리가의 KF 슈쿠비에서 뛰고 있는 요안 시문 에드문손, 한 때 맨체스터 시티에서 뛰었다가[9] 아이슬란드 리그에서 7년동안 활약한 골키퍼 군나르 닐센 그리고 현재 팀의 주장이자 클락스비카르 오트로타르펠라그 소속 미드필더 할루르 한손이 있다. 이밖에도 폴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1부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이 꽤 많아 인구 대비 굉장한 선수층을 자랑한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에레아.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연도 라운드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FIFA 비회원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불참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예선 탈락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 북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0/20[10]

2.2. UEFA 유로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프랑스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이탈리아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벨기에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976년 유고슬라비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이탈리아
UEFA 비회원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서독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스웨덴
예선 탈락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년 잉글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포르투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 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 분산개최
파일:독일 국기.svg
2024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0/16

유로에서는 처음 나간 유로 92 예선에서는 위에 나오듯이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1승을 거뒀고, 유로 96예선에서는 더 약체인 산마리노를 3-1, 3-0으로 이기며 2승을 거뒀지만 나머지는 죄다 참패하며 2승 8패로 탈락했다. 유로 2000에서는 3무 7패, 유로 2004에서는 1무 7패, 유로 2008에서는 12전전패, 유로 2012에서는 에스토니아를 안방에서 2-0으로 이기며 1승 1무 8패를 기록했고, 유로 2016은 2승 8패, 유로 92부터 2016 예선까지 모두 6승 6무 54패를 거뒀다.

2.3. UEFA 네이션스 리그

연도 리그 순위 경기 득점 실점
2018-19 시즌 D 3 6 1 2 3 5 10
2020-21 시즌 D 1 6 3 3 0 9 5
최약체라고는 해도 중위권 팀들 상대로 가끔 고춧가루도 뿌리는 전력인만큼 네이션스리그에서는 경쟁력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가 되었지만 첫 시즌에는 6경기에서 1승을 거두는데 그치며 승격에 실패했다. 코소보, 아제르바이잔, 몰타와 같은 조에 들었는데 몰타전 한 경기만 이기고 나머지는 무승이다. 그나마 마지막 경기인 몰타 원정경기에서 1-1로 막으며 꼴찌는 면한 것이 위안거리.

2번째 시즌인 2020-21 시즌에는 몰타, 라트비아, 안도라와 한 조가 되었다. 첫경기 상대는 지난시즌 유일한 승리 상대국인 몰타이다. 2-1로 패배 위기에 놓였다가 88분과 90+1분에 극적인 골로 승리했다.


[1] 페로어 [2] 덴마크어 [3] 2024년 4월 4일 기준 [4] 2024년 3월 27일 기준 [5] 다만 당시 오스트리아는 역시 동네북 신세로 페로 제도와 같은 1승 1무 6패를 기록할 정도로 유럽 약체급으로 떨어졌던 시절이었던 것을 감안해야 한다. [6] 오스트리아 원정은 0-3으로 설욕패를 당했다. [7] 참고로 2014년 10월 당시 페로 제도의 FIFA 랭킹은 187위로 세계적인 최약체이며 그리스는 FIFA 랭킹이 18위였다. [8] 결국 이 여파로 당시 그리스 대표팀 감독이던 클라우디오 라니에리 감독은 경질되었다. [9] 다만 리저브팀에서만 주로 뛰었으며 1군으로 출전한 경우는 단 한 경기 뿐이라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 [1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