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8:44:05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네덜란드 가톨릭 방송 KRO가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네덜란드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핌 포르타윈 빌럼 1세 판오라녀 빌럼 드레이스 안토니 판레이우엔훅 에라스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요한 크루이프 미힐 더라위터르 안네 프랑크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레인 빈센트 반 고흐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알레타 야콥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아니 M. G. 슈미트 율리아나 여왕 요한 뤼돌프 토르베커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알리다 보스하르트 안톤 필립스 프레디 하이네컨 하니 스하프트 빌헬미나 여왕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바뤼흐 스피노자 톤 헤르만스 클라우스 폰암스베르크 요한 판올덴바르네벌트 마르코 반 바스텐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핏 피터르손 헤인 요프 던아윌 얀 레이흐바터르 파니 블랑커르스쿤 판코턴 언 더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후고 그로티우스 요한 더빗 안토니 포커 에뒤아르트 데커르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빔 콕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 마르코 보르사토 에릭 하젤로프 룰프제마 티에스토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베아트릭스 여왕 티튀스 브란츠마 코르넬리스 렐리 한스 테이우언 요서프 륀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온틴 판모르설 빌럼 콜프 홋프리트 보만스 헨드릭 A. 로런츠 아벌 타스만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요프 판던엔더 안드레 판다윈 요스트 판던폰덜 리누스 미헬스 미스 바우만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빌럼 바런츠 페르디난트 도멜라 니우언하위스 뤼트 뤼버르스 얀 틴베르헌 빔 소네벌트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요커 스밋 프리츠 볼케스테인 히에로니무스 보스 조니 크라이캄프 마르하 클롬페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요하너스 페르메이르 딕 브뤼나 알베르트 플레스만 요프 주테멀크 헬라 하서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토마스 아 켐피스 윌리엄 3세 케나우 시몬스도흐터르 하셀라어르 요하너스 디데릭 판더르발스 부보 오컬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아나 마리아 판스후르만 헤르만 부르하버 루드 굴리트 모니크 판더번 프레이크 더용어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안톤 픽 바우데베인 더그로트 빌럼 프레데릭 헤르만스 피터르 옐러스 트룰스트라 알버르트 헤인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파울 더레이우 약 P. 테이서 얀 볼커르스 핏 몬드리안 시몬 스테빈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하윌라우머 흐룬 판프린스테러르 륏허르 하우어르 하리 뮐리스 아브라함 카위퍼 마르턴 트롬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빔 칸 폴 버호벤 이자벨 드 샤리에르 람서스 샤피 아버 렌스트라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bgcolor=#000><colcolor=#fff> FRS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Christiaan Huygens
파일:586px-Christiaan_Huygens-painting.jpg
출생 1629년 4월 14일
네덜란드 공화국 헤이그
사망 1695년 7월 8일 (향년 66세)
네덜란드 공화국 헤이그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직업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자연철학자
학력 레이던 대학교
서명 파일:Huygens_black_&_white_signature.jpg

1. 개요2. 여담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간혹 '호이겐스'라고도 언급된다.[1]

서로 다른 매질에서 파동이 어떻게 진행하는가에 대한 이론인 하위헌스 원리(Huygens 原理)를 도입하였다. 또한 1655년 3월 25일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최초 발견했으며, 토성에 고리가 있음을 묘사한 최초의 인물이다.[2]

그는 또한 라이프니츠의 수학 스승이기도 한데, 처음 수학 문제에 관심을 가진 라이프니츠의 어설픔에 웃음을 터뜨리지만 진지하게 교류하며 그를 지도했고, 그로부터 열심히 교육받은 라이프니츠는 수학에 굵직한 업적을 남기며, 스승을 뛰어넘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럼에도 그는 제자의 능력과 업적을 다소 과소평가했다고 평가받는다.

2. 여담

  • 네덜란드어 외래어 표기법이 잘 갖춰져 있지 않았던 과거에는 일본어 표기 ホイゲンス(호이겐스)를 따라 '호이겐스'로 표기되는 일이 잦았으나,[3] 2005년 네덜란드어 외래어 표기법이 정리됨에 따라 '하위헌스'로 적게 되었다.
  • 참고로 네덜란드어 사전에서는 huygens의 발음 기호를 /ˈhœyγəns/ 또는 /ˈhœixəns/라고 제시하며,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발음 기호와 실제 발음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uy'의 발음 기호 /œy/는 한국어로 옮기면 '외위'에 가까우나 외래어 표기법대로 /œy/는 사실상 '아위'에 가깝에 발음되는 상황이다.

3. 관련 문서


[1] Huygens". Merriam-Webster Dictionary. Retrieved 13 August 2019.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Huygens [2] 발견 자체는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먼저 했으나 갈릴레이는 이가 고리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3] 참고로 영어식으로도 네덜란드어 본토 발음에 꽤 가까운 /háiɡəns/(하이건스)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