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6 21:18:17

체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체크무늬 판을 이용해 대각선으로 말을 움직이는 보드게임에 대한 내용은 체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영단어2. 체크무늬3. 계산서4. 체스 용어
4.1. 타 보드게임에서
5. 췤

1. 영단어

Check

일반적으로 '점검하다'와 비슷한 의미로 '체크하다'라는 식으로 자주 사용된다. 어떤 표시를 남기는 것도 '체크를 남기다'와 같은 식으로 말한다. 아래의 체스 용어였던 checkmate의 check가 17세기부터 일반용어화 되면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서양에서는 X표로 체크하기도 한다.

2. 체크무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체크무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계산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산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체스 용어

체스에서 어떤 한 선수의 이 다른 체스 기물에 의하여 공격을 받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체크 상태에 걸리게 되면 체크 상태에서 벗어나는 수를 두어야 하며, 어떤 수를 두어도 체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경우 패배하게 되는데 이를 체크메이트라고 부른다. 또한, 스스로 체크 상태에 걸리게 하는 수는 둘 수 없으며, 체크 상태가 아닌데 어떤 수를 두든 스스로 체크 상태에 걸릴 수밖에 없는 경우라면 스테일메이트라 하여 무승부 처리된다.

공식 경기에서는 상대방에게 소리나 신호 등으로 체크 또는 체크메이트를 선언하면 안 된다. 체스 토너먼트에서 체크 소리로 인해 다른 선수의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크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야 하며 실수 혹은 고의로 체크 상황에서 체크를 해제하지 않는 수를 둘 경우 반칙으로 간주하며, 페널티가 가해진다.

기호로는 기보상 더하기 기호 +이다. 자세한 것은 체스/기보 표기법 문서 참고.

4.1. 타 보드게임에서

쇼기의 경우 왕장/옥장이 다른 기물에 의해 공격받을 때 ‘왕수’(王手)라고 하며, 체스와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왕수에 걸리게 하는 수는 둘 수 없다.

장기의 경우 궁이 상대의 기물에 의해 공격을 받을 때 ‘ 장군’이라고 한다. 장군을 피할 수 없는 경우는 외통수이며, 스스로 장군에 걸리는 수는 ‘자장’이라고 한다.

5.

장문복 스피드 레이서(아웃사이더) 문서 참고. 문복스타일도 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