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3:42:07

철기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궤적 시리즈의 조직에 대한 내용은 철기대(궤적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0,#fff> 파일:Chess Nw.svg 기병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역사 대중매체
분류
{{{#!wiki style="margin: -16px -11px;" 경기병 중기병 용기병 }}}
검기병 창기병 궁기병 총기병
무장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병검 기병창 기병총 }}}
{{{#!wiki style="margin: -15.5px -11px;" 문서가 개설된 기병대 목록 개마무사 | 가별초 | 팔기군 | 카자크 | 케식
카타프락토이 | 누미디아 | 신성 기병대 | 시파히 | 맘루크 | 투르코폴레스
헤타이로이 | 아르콘토풀레 | 바르다리오타이 | 에테리아 | 하카펠리타트 | 스트라디오트 | 기사( 서전트 · 기사단 · 노르만) | 보야르 | 콩키스타도르 | 오프리치니크 | 철기대 | 후사르 | 윙드 후사르 | 울란 | 장다름 | 프랑스 제국 근위 기병대 | 퀴라시에 | 캐러비니어 | 기마 샤쇠르 | 러프 라이더
}}}
}}}}}}}}} ||

1. 개요2. 특징3. 매체에서

1. 개요

파일:철기대복장.jpg
Ironside. 잉글랜드 내전 당시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창설된 의회파 원두당 군대의 기병대.

2. 특징

시민과 상인 중심이었던 의회파는 귀족 중심인 국왕파에 비해 기병 전력에서 크게 밀리고 있었다. 이 문제를 타파해야겠다고 여긴 시골 지주 출신의 올리버 크롬웰 젠트리들로부터 지원병을 모아 편성한 기병부대가 철기대(鐵騎隊)이다. 이 이름 때문에 종종 중무장한 기병대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흉갑과 투구만을 착용한 당대의 평범한 기병대였다.

부대 명칭은 크롬웰의 별명 늙은 철인(Old Ironside)[1]에서 유래했으며, 강렬한 종교적 신앙심과 철통같은 규율, 맹렬한 훈련으로 막강한 전투력을 쌓았다. 이들은 마스턴 무어 전투(1644)와 네이즈비 전투(1645)에서 의회파가 국왕군을 격파하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세웠다. 내전이 종결된 뒤에도 존속, 스코틀랜드의 자코바이트와의 전투를 수행했다.

지휘관인 크롬웰처럼 병사들도 엄격한 개신교 신앙을 가졌기 때문에 당시 다른 군대의 병사들이 흔하게 했던 음주 도박을 절대 하지 않을 만큼, 엄격한 군율을 지녔고 그 때문에 영국 내전에서 끝내 승리할 수 있었다.

이후 의회파는 보유한 병력 전부를 철기대와 같은 시스템으로 재편성하여 신모범군(New Model Army)을 창설했다. 크롬웰 사후 군주정이 복원되면서 해체되었다.

3. 매체에서



[1] 미 육군 제1기갑사단의 별칭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