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1:41:41

제주시 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제주시/정치
,
,
,
,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제주 갑 제주 을 서귀포
문대림 김한규 위성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회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제주시 갑
노형동, 연동, 한림읍, 애월읍 등
濟州市 甲
Jeju A
}}}
파일:국회선거구 제주시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213,825명 (2024)
상위 행정구역 제주특별자치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주시 일부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노형동, 도두동, 오라동, 이호동, 외도동, 연동, 애월읍, 한림읍, 추자면, 한경면
신설년도 2008년
이전 선거구 제주시·북제주군 갑, 제주시·북제주군 을
국회의원
문대림


[clearfix]

1. 개요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새롭게 신설된 선거구다. 舊 제주시와 舊 북제주군이 합쳐져 통합 제주시로 재편됨에 따라 선거구도 갑 지역구와 을 지역구로 나뉘었다. 서부 생활권은 갑 지역구, 동부 생활권은 을 지역구이며, 제주시 중앙로를 기준으로 나눈다. 중앙로에 걸쳐져 있는 동은 주민센터가 중앙로 서쪽에 있으면 갑 지역구, 동쪽에 있으면 을 지역구다. 사실 중앙로 동서로 걸치는 행정동은 전부 다 중앙로 동쪽에 주민센터가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그냥 삼도동-오라동부터 서쪽으로 쭉 이어진 선거구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18대 강창일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송재호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문대림
2024년 5월 30일 ~

2.1.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창일(姜昌一) 32,707 1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39.29% 당선
2 김동완(金東完) 22,592 3위


27.14% 낙선
6 유병녀(劉炳女) 1,231 4위


[[평화통일가정당|
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1.48% 낙선
7 현경대(玄敬大) 26,71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2.09% 낙선
선거인 수 160,569 투표율
52.34%
투표 수 84,049
무효표 수 808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19639><bgcolor=#419639> 18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강창일 김동완 현경대
득표수
(득표율)
32,707
(39.29%)
22,592
(27.14%)
26,711
(32.09%)
+5,996
(△7.20)
52.34%
삼도1동 37.48% 21.64% 39.49% ▼2.01 52.66
삼도2동 37.39% 20.98% 40.20% ▼2.81 45.69
용담1동 38.07% 21.08% 38.83% ▼0.76 47.65
용담2동 41.15% 20.39% 37.38% △3.77 49.88
연동 38.29% 22.09% 38.61% ▼0.33 45.10
오라동 42.38% 21.02% 34.59% △7.79 53.21
노형동[1] 39.87% 21.52% 37.52% △2.35 49.87
외도동 44.30% 21.46% 32.72% △11.58 50.52
이호동 37.07% 19.55% 41.91% ▼4.84 55.89
도두동 40.96% 20.78% 36.55% △4.41 60.14
한림읍 25.49% 59.22% 13.78% ▼33.73 58.86
애월읍 41.68% 30.29% 26.19% △11.39 55.71
한경면[2] 61.21% 26.68% 10.84% 34.53 65.28
추자면 36.64% 26.49% 33.03% △3.61 39.97
후보 강창일 김동완 현경대 격차
부재자투표 34.02% 31.63% 31.00% △3.02
한나라당 친박계에 대한 공천학살 가운데 낙천당한 현경대가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면서 보수표가 분열되었고, 그 결과 현역 강창일 의원이 재선에 성공했다.

2.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현경대(玄敬大) 37,878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9.09% 낙선
2 강창일(姜昌一) 42,006 1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3.35% 당선
6 장동훈(張東訓) 13,52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95% 낙선
7 고동수(高東秀) 3,48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9% 낙선
선거인 수 173,316 투표율
56.44%
투표 수 97,822
무효표 수 923
||<-6><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d400><bgcolor=#ffd400> 19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
정당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colbgcolor=#eee,#353535> 후보 현경대 강창일 장동훈
득표수
(득표율)
37,878
(39.09%)
42,006
(43.35%)
13,527
(13.95%)
-4,128
(▼4.26)
56.44%
삼도1동 47.69% 39.56% 7.98% △8.13 55.17
삼도2동 49.47% 39.92% 6.87% △9.55 50.44
용담1동 47.71% 40.25% 8.82% △7.46 51.48
용담2동 44.56% 43.16% 9.07% △1.40 53.67
연동 44.79% 42.06% 9.67% △2.73 49.77
오라동 42.10% 44.49% 8.48% ▼2.39 57.16
노형동 38.82% 42.62% 15.09% ▼4.80 57.88
외도동 37.29% 46.89% 12.63% ▼9.50 55.92
이호동 49.86% 36.14% 11.26% △13.72 58.46
도두동 44.57% 40.38% 12.42% △4.19 59.33
한림읍 24.58% 34.64% 38.76% ▼4.12 58.44
애월읍 34.44% 48.41% 12.61% ▼13.97 58.75
한경면 25.17% 62.15% 11.43% 36.98 65.51
추자면 37.86% 40.16% 18.88% ▼2.30 51.00
후보 현경대 강창일 장동훈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25.69% 64.22% 4.59% 38.53
국내부재자투표 36.17% 45.65% 11.59% ▼9.48
4년 전과 반대로 이번엔 현경대 새누리당 공천을 받았고 이에 반발한 장동훈, 고동수 두 예비후보가 무소속 출마하며 보수진영은 또다시 적전분열을 일으켰다. 반대로 야권의 경우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간에 야권연대가 이루어졌고 민주통합당 강창일 후보와 통합진보당 이경수 후보 간 후보단일화 경선을 통해 강창일로 단일화가 되었다. 그 결과는 강창일의 신승.

2.3.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양치석(梁治錫) 38,257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6.73% 낙선
2 강창일(姜昌一) 49,964 1위

47.98% 당선
3 장성철(張性哲) 15,914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28% 낙선
선거인 수 190,415 투표율
55.43%
투표 수 105,546
무효표 수 1,411
||<-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20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양치석 강창일 장성철
득표수
(득표율)
38,257
(36.73%)
49,964
(47.98%)
15,914
(15.28%)
+ 11,707
(△11.25)
55.43%
삼도1동 39.62% 45.66% 14.72% △6.04 53.13
삼도2동 41.17% 44.53% 14.30% △3.36 48.60
용담1동 40.64% 43.47% 15.89% △2.83 50.78
용담2동 39.25% 46.40% 14.34% △7.15 51.27
연동 35.01% 49.17% 15.82% △14.16 48.18
오라동 32.12% 52.53% 15.36% △20.41 57.01
노형동 31.54% 51.66% 16.81% △20.12 53.70
외도동 32.91% 50.60% 16.49% △17.69 54.81
이호동 44.43% 42.86% 13.19% △1.57 56.78
도두동 42.94% 41.02% 16.04% △1.92 57.33
한림읍 46.57% 39.79% 13.65% △6.78 54.11
애월읍 44.26% 40.91% 14.83% △3.35 57.16
한경면 34.70% 56.97% 8.34% △22.27 62.64
추자면 41.63% 46.83% 11.54% △5.20 55.20
후보 양치석 강창일 장성철 격차
거소·선상투표 37.82% 42.65% 19.54% △4.83
관외사전투표 26.55% 56.10% 17.34% △29.55
국외부재자투표 17.68% 67.07% 15.24% △49.39
앞선 두번의 선거와 달리 보수정당 후보 한 명과 야권 후보 두 명의 구도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역 강창일 의원이 3선을 하는 동안 쌓아놓은 기반과 의정활동 등으로 무난하게 새누리당 양치석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되었다. 이로써 강창일은 제주도에서 도중에 낙선 없이 연속해서 4선을 한 최초의 의원이 되었다.

2.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송재호(宋在祜) 61,626 1위

48.70% 당선
2 장성철(張性哲) 46,909 2위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07% 낙선
6 고병수(高秉秀) 9,260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7.31% 낙선
7 문대탄(文大彈) 773 5위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0.61% 낙선
8 현용식(玄龍植) 524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41% 낙선
9 박희수(朴喜秀) 6,90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5% 낙선
10 임효준(林孝俊) 54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43% 낙선
선거인 수 208,660 투표율
61.36%
투표 수 128,031
무효표 수 1,491
||<-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4ea2> 21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무소속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송재호 장성철 고병수 박희수
득표수
(득표율)
61,626
(48.70%)
46,909
(37.07%)
9,260
(7.31%)
6,901
(5.45%)
+ 14,717
(△11.63)
128,031
(61.35%)
삼도1동 44.90% 39.08% 6.63% 7.80% △5.82 61.14
삼도2동[E] 44.59% 39.50% 7.83% 6.63% △5.10 55.82
용담1동 44.37% 38.33% 8.01% 7.64% △6.04 56.32
용담2동[F] 44.92% 37.69% 7.50% 8.21% △7.22 57.80
오라동[K] 49.91% 32.06% 6.93% 9.96% △17.85 62.70
연동[L] 47.89% 38.49% 6.79% 5.42% △9.40 55.51
노형동[M] 49.92% 35.53% 7.92% 5.48% △14.39 61.01
외도동 56.99% 29.27% 7.90% 4.60% △27.72 62.11
이호동 50.87% 36.00% 6.43% 5.78% △14.87 64.02
도두동 50.43% 35.80% 5.92% 5.86% △14.64 65.11
한림읍 43.75% 45.63% 6.04% 3.03% ▼1.88 55.93
애월읍 46.06% 42.54% 6.58% 3.54% △3.52 59.15
한경면 47.73% 39.34% 8.10% 2.98% △8.39 59.22
추자면 44.85%[8] 44.85%[9] 2.27% 5.62% 0 59.63
후보 송재호 장성철 고병수 박희수 격차
거소·선상투표 43.44% 28.27% 11.95% 5.74% △15.17
관외사전투표 53.77% 30.28% 8.91% 4.82% △23.50
재외투표 76.69% 14.56% 5.82% 1.94% △62.14
더불어민주당에선 강창일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했다. 중앙당에서 전략공천 지역으로 분류했지만 박희수 전 도의회 의장과 문윤택 제주국제대학교 교수협의회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결국 송재호 전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전략공천으로 확정했다. 박희수 전 도의회 의장은 이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미래통합당에선 고경실 전 제주시장, 구자헌 전 도위원장, 김영진 전 관광협회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장성철 전 제주도 기획위원장이 공천되었다.

정의당에선 고병수 도위원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이외에도 김용철 공인중개사, 양길현 제주대학교 교수, 임효준 전 제주매일 부국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무소속 후보들이 표를 잠식했음에도 불구하고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후보가 11.6%p 차로 미래통합당 장성철 후보를 꺾고 승리하며 자신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여담으로 국가혁명배당금당이 후보를 내지않은 지역구 중 하나다.

2.5.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문대림(文大林) 78,776 1위

62.88% 당선
2 고광철(高光徹) 46,503 2위


37.11% 낙선
선거인 수 213,825 투표율
59.66%
투표 수 127,576
무효표 수 2,297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2대 총선 제주 제주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문대림 고광철
득표수
(득표율)
78,776
(62.88%)
46,503
(37.11%)
+32,273
(25.77%)
127,576
(59.66%)
삼도1동 58.19% 41.80% △16.39 59.92
삼도2동 57.08% 42.91% △14.17 54.88
용담1동 55.63% 44.36% △11.27 53.58
용담2동 56.77% 43.22% △13.55 55.60
오라동 64.87% 35.12% △29.75 59.52
연동 60.67% 39.32% △21.35 53.35
노형동 64.09% 35.90% △28.19 56.83
외도동 71.09% 28.90% △42.19 60.99
이호동 62.92% 37.07% △25.85 61.15
도두동 64.69% 35.30% △29.39 64.10
애월읍 62.56% 37.43% △25.13 55.25
한림읍 59.21% 40.78% △18.43 57.57
한경면 57.79% 42.20% △15.59 58.06
추자면 60.73% 39.26% △21.47 59.63
후보 문대림 고광철 격차
거소·선상투표 63.23% 36.76% △26.47
관외사전투표 68.07% 31.92% △36.15
재외투표 87.64% 12.35% △75.29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송재호 의원, 문대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 문윤택 제주국제대 교수가 예비후보로 등록하였고, 국민의힘에서는 김영진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민주당은 제주 지역 내 유일한 경선 실시 지역구이고, 국민의힘에서는 후보들의 중량감이 이전보다 떨어진다는 평을 받고 있었다.

민주당은 송재호 의원과 문대림 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이 경선 후보로 올라가 경선을 치렀다. 경선 결과 문대림 전 이사장의 공천을 확정했다.

국민의힘은 2024년 3월 5일 고광철 보좌관의 전략공천이 확정되었다. 전략공천이 발표되자 그 후폭풍은 매우 컸다. 제주지역 총선을 진두지휘해야 할 허용진 제주도당 위원장이 바로 탈당하고 서귀포시 선거구에 무소속 출마를 검토했다. 해당 지역구의 김영진 예비후보도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나중에 출마는 포기했으나 지도부가 탈당으로 인해 붕괴되면서 승부가 이미 결정되었다. #

선거 결과 문대림 후보가 안 그래도 불리한 판에 공천 내홍까지 겪은 고광철 후보를 압도적인 표차로 꺾고 당선되어서 도의원 시절 이후 선출직 도전에 4번 좌절됐던 아픔을 딛고[10] 금뱃지를 거머쥐게 되었다.

[1] 현경대 후보의 고향 [2] 강창일 후보의 고향 [E] 제주목관아가 있었던 제주도의 전통적 중심지 [F] 용두암 제주국제공항이 있는 동네 [K] 버스터미널 및 종합경기장이 있는 동네 [L] 제주도청 및 번화가가 있는 신제주의 중심지이자 한라수목원, 제9해병여단이 있는 동네 [M] 신시가지(신제주)가 있는 동네 [8] 375표로 미래통합당 장성철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 [9] 375표로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 [10] 국회의원 선거 1번 낙선 1번 낙천, 제주도지사 선거 1번 낙선 1번 낙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