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1:18:41

잡화점

🏪 상점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운영 방식별 분류
도매상 도매시장
소매상 공공 시장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재래시장, 수산시장, 야시장, 시전, 벼룩시장
기업형 소매 시장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업종별 분류
금은방 꽃집 드러그​스토어 떡집
매점 문구점 반찬가게 서점
세탁소 술집 음식점 식료품점
쌀집 약국 의류점 유흥업소
잡화점 정육점 제과점 철물점
지물포 청과점 카페· 다방 컴퓨터 가게
총포사 통닭집 통신사 대리점 고물상
전당포 식자재​마트 인쇄소 복권판매점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생활정보신문에 대한 내용은 벼룩시장(신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8cbacdd90b1396ed320a0deba0237460d09efa121.png.webp
언어별 명칭
한국어 잡화점
한자 雜貨店
영어 General Store
1. 개요2. 특징3. 대중매체
3.1. 잡화점3.2. 잡화상

[clearfix]

1. 개요

잡화를 파는 상점. 말그대로 잡다한 상품을 파는 가게를 말한다.

2. 특징

파일:스크린샷 2024-06-12 오후 2.20.57.png
1900년대 초 부산의 한 잡화점

옛날에는 우리의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다양하게 파는 곳을 잡화점이라고 칭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다이소 대형마트의 등장으로 잘 쓰이지 않는 말이 되었다. 또한 구분없이 잡다하게 팔았던 옛날과 달리 요즘에는 생활용품만 파는 잡화점, 중고물품만 파는 잡화점, 원단이나 부자재 등을 파는 잡화점 등 다양한 장르의 잡화점이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가게 주인이 좋아하는 것만 파는 잡화점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 보다 해외에 나가면 이러한 잡화점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파일:266359619_111168158076659_3861836854711711547_n.jpg
파일:116952789_o.jpg
알 오 자페르(Halle Aux Affaires) 통베 뒤 카미옹(Tombées du Camion)[1]

위의 이미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잡화점인데 '알 오 자페르(Halle Aux Affaires)'는 파리의 유명 생활잡화점으로 1,000종류 이상의 생활잡화를 파는 곳이다. 접시부터 시작해 샹들리에, 가방, , 장난감, 베개 등 다양한 잡화를 살 수 있다. '통베 뒤 카미옹(Tombées du Camion)'은 폐업 공장이나 가게의 남은 재고 부품을 주인장이 수집해서 판매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살 수 없는 것이나 갖고 싶었으나 단종/ 품절되어서 못샀던 상품을 운좋게 살 수도 있다.

3. 대중매체

3.1. 잡화점

3.2. 잡화상



[1] ' 트럭이 떨어뜨린 물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