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5:30:44

원이대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15a3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15a38> }}}
{{{#!wiki style="color: #f15a38;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3.15대로 가락대로 거가대로 거제대로 거창대로
거함대로 경남대로 경서대로 고암성산대로 금관대로
김해대로 남서대로 남해대로 남해안대로 도마대로
동부대로 동서대로 드림베이대로 무전대로 밀양대로
부자대로 사천대로 산청대로 삼진의거대로 상정대로
생림대로 섬진강대로 신동읍대로 양산대로 우포1대로
웅상대로 원이대로 의령대로 의창대로 의합대로
장복대로 중앙대로(부산) 중앙대로(창원) 정렬대로 지리산대로
진마대로 진산대로 진주대로 진해대로 창녕대로
창원대로 창이대로 하림대로 함마대로 함안대로
합천대로 해안대로
경상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원이대로
原이大路 | Woni-dae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정동로 }}}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도계광장교차로
종점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 가음정사거리
연장
9.2km
관리
창원시설공단
왕복 차로 수
6차로
주요 경유지
도계광장교차로 ↔ 명곡광장교차로 ↔ 창원광장 ↔ 가음정사거리
1. 개요2. 상세3. 교차점4. 특징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도계광장교차로에서 출발하여 성산구 가음정동 가음정사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이름은 2009년 새주소 사업에 의해 당시 창원시의 마스코트인 창이와 원이 중 원이의 이름에서 땄다. 창이대로도 같은 이유에서 정해진 이름. 이 마스코트들은 창원시 통합 이후로는 자취를 감추었지만 도로명으로나마 그 흔적을 남긴 셈이다.

2. 상세

창원대로, 창이대로, 공단로와 함께 구 창원시내를 가로로 잇는 주요 간선도로다. 가음정사거리에서 정동로와 직결된다.

1980년경 창원시 계획과 동시에 건설된 도로. 건설 당시에는 명칭이 구간 별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도계광장~명곡광장 구간은 명곡로, 명곡광장~창원광장 구간은 반송로, 창원광장~가음정사거리 구간은 토월로로 불렸다.

창원시의 우회도로인 해원로의 건설 전까지는 25번 국도의 일부이기도 하였다.

3. 교차점

서쪽 기점
교차로명 도로명
도계광장 의창대로( 14번 국도)
도계사거리 도계로
도계중사거리
서부경찰서사거리 우곡로, 태복산로
목련삼거리 도계로
명지로
명서사거리 명서로
명서로
상북사거리 지귀로
명곡광장 창이대로
창원천로
중앙중사거리 반지로
운동장사거리 충혼로
운동장삼거리
용지사거리 외동반림로
용호로
시청사거리 용지로
창원광장 중앙대로
한국은행사거리 상남로
은아아파트사거리 마디미로
생활체육관삼거리 토월로
상남사거리 동산로
성원아파트사거리
남양동우성아파트앞삼거리 대암로
남양삼거리 가음로
가음정로
가음정사거리 창원대로
동쪽 종점( 정동로와 직결)

4. 특징

전 구간에서 화단 중앙분리대를 갖추고 있으며, 도계광장~서부경찰서사거리, 명곡광장~중앙중사거리, 운동장사거리~용지사거리(가음정사거리 방향 한정)을 제외한 전구간에 자전거전용도로를 갖추고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를 갖춘 구간은 편도 3차로, 자전거전용도로가 없는 구간은 편도 4차로이다.

창원의 주요 주거지역과 상업지구를 지나는 도로라 사실상 창원의 중심 도로다. 이점으로 인해 통행량이 매우 많으며 구 창원 지역에서 정체로 고생하는 도로이기도 하다. 그래서 장거리 이동시 창원대로, 창이대로로 우회하기도 한다.

도계광장 시점~ 창원서부경찰서사거리까지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평일 오전 6시 30분부터 8시까지, 평일 저녁 5시 30분부터 7시 30분까지 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한다.[1]

2023년 4월 ~ 2024년 5월 동안 BRT를 구축하는 공사가 있었다. 덕분에 안 그래도 출퇴근 시간대에 막히던 도로가 2차선으로 줄어들어서 극심한 교통 체증을 겪게 되어 창원시민들의 S-BRT에 대한 여론을 악화시켰다. 5월 15일부로 S-BRT가 개통되었으나 이제 막 개통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반응은 썩 좋지 않은 편이다. 아직은 생경… 갈 길 먼 ‘창원 S-BRT’


[1] 주말 및 공휴일(임시공휴일 포함)은 미실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