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12:36:42

와지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변형 체스의 기물에 대한 내용은 와지르(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fff 중동·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fff }}} 작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54a0> 황제 <colcolor=#000,#fff> 왕중왕 · 파디샤 · 카간 · 칼리파
제왕 마하라자 · 파라오
라자 · 말리크 · · 술탄 ·
왕자·귀족·제후 파샤 · 아미르 · 셰이크 · 베이 · 랄라 · 아가 · 나와브 · 샤리프 · 사이이드
장군·전사 불사 부대 · 크샤트리아 · 맘루크 · 시파히 · 키질바시 · 가지 · 예니체리
총독 사트라프 · 마르즈반 · 와지르
※: 편의상 북아프리카도 포함된다. }}}}}}}}}

페르시아어: وزير‎
영어: Vizier

이슬람권에서 재상을 부르는 명칭. 지금도 수상이나 총리를 와지르라고 한다.

국무회의 격인 디완을 주재한다.

9세기 까지만 해도 아바스 왕조 칼리파 알 만수르 하룬 알 라시드는 와지르를 자주 갈아치우고 갖은 누명을 씌워 숙청하곤 했으나, 10세기 이후 아바스 왕조와 파티마 왕조에서는 종종 와지르가 칼리파를 능가하는 권력을 갖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시로 파티마 왕조 말기의 와지르였던 샤와르가 있다.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대(大) 와지르(vezir-ı a’zam이나 sadr-ı a’zam을 비롯해 다양한 호칭이 있었다)가 재상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국사의 고려가 왕씨 가문이 주도해서 세워지고 후삼국을 통일한 것이 아니라 여러 지방 세력가들의 도움을 받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오스만도 여러 가지 집단들과 일미예(대략 성직자들과 학자들) 집단들의 도움을 받아 나라를 발전시킬 수 있었는데, 그러다 보니 유력한 가지들과 일미예들에게 재상직을 나누어 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여러 재상들 가운데 황제의 옥새를 보관하는 일을 맡은 재상이 특히 강한 힘을 갖게 되어 대재상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다른 재상들은 조선으로 치면 정승에서 판서 사이쯤 되는 역할로 격하되어 황제와 대재상을 보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