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5:29:55

에스토니아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72ce 70%, #0072ce 80%, #000 80%, #000 90%, #fff 90%, #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에스토니아 공국 ·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 러시아 제국 ·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 소련(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발트 3국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에스토니아 크론(폐지) · 유로
국방 에스토니아군 · 독립 전쟁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에스토니아 영화 · 에스토니아어 · 발트핀어군
지리 탈린 · 타르투 · 행정구역()
인물 루이스 칸 · 콘스탄틴 패츠 · 파울 케레스 · 카르멘 카스 ·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 카야 칼라스 · 알라르 카리스
민족 에스토니아인 ·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세투인
기타 스카이로드 · Skype
}}}}}}}}} ||

우랄어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사모예드어파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핀우그르어파 핀페름어파 페름어군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발트핀어군 핀란드어 · 카렐어 · 에스토니아어 · 리보니아어
기타 사미어 · 마리어 · 모르드바어
우그르어파 헝가리어 · 한티어 · 만시어
}}}}}}}}}
에스토니아어
Eesti keel
Estonian language
파일:Estonian language.png
<colcolor=#fff,#000><colbgcolor=#83dfbd>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에스토니아|]][[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120만 명
계통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발트핀어군
남부 발트핀어
에스토니아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93edca> ISO 639-1 ET

1. 개요2. 특징3. 문자 및 발음4. 문법
4.1. 명사4.2. 동사
5. 어휘6. 학습
6.1. 난이도
6.1.1. 어려운 점6.1.2. 쉬운 점
6.2. 교육 기관
7. 언어별 명칭8. 들어보기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에스토니아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조[1]
Namuwiki, tarkuse puu, mida te koos kasvatate.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우랄어족 발트핀어군에 속하는 에스토니아 공용어. 주변 국가인 라트비아, 핀란드, 러시아에도 소수의 화자가 있다.

2. 특징

흔히 발트 3국이라 일컬어지는 이웃 두 나라의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와는 어족이 다르다. 같은 발트핀어군에 속하는 핀란드어와의 언어적 유사성은 대략 40~50% 정도이며 입말과 글말에서 모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서로 잘 통하지는 않는다.[2] 특히 철자나 발음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들이 있어서 엉뚱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다.

표준어는 북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남부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을 버로(Võro)어 세토(Seto)어 등으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핀란드어 알파벳 스웨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 에스토니아어는 독일어권에서 쓰는 알파벳의 영향을 많이 받은 편. 가령 /y/ 발음은 핀란드어에서는 ' y'라고 쓰지만 에스토니아어에서는 ' ü'라고 쓴다. 서체도 에스토니아에서는 20세기 초까지 프락투어를 사용했다고 하고, 원래는 v도 독일어처럼 w라고 적었는데, 20세기 들어 철자법을 개혁해 v로 고쳤다. 옛날식으로 쓰인 에스토니아어의 예시

18~19세기 에스토니아의 하급 귀족인 크리스토프 아담 폰 슈타켈베르크(Christoph Adam von Stackelberg)가 에스토니아어를 홍보했기 때문에 에스토니아 역사에서 유명[3]한 사람이다. 링크

3. 문자 및 발음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발음
A a aa(아) /ɑː/
B b bee(베) /beː/
C c cee(체) /tseː/
D d dee(데) /deː/
E e ee(에) /eː/
F f eff(에프) /efˑ/
G g gee(게) /geː/
H h haa(하) /hɑː/
I i ii(이) /iː/
J j jott(요트) /jotʲˑ/
K k kaa(카) /kɑː/
L l ell(엘) /elˑ/
M m emm(엠) /emˑ/
N n enn(엔) /enˑ/
O o oo(오) /oː/
P p pee(페) /peː/
Q q kuu(쿠) /kuː/
R r err(에르) /erˑ/
S s ess(에스) /esˑ/
Š š šaa(샤) /ʃɑː/
T t tee(테) /teː/
U u uu(우) /uː/
V v vee(웨) /ʋeː/
W w kaksis-vee(칵시스 웨)[4] /kɑk.sisˈʋeː/
X x iks(익스) /iks/
Y y igrek(이그렉) /iɡ.rek/
Z z zett(제트) /zetˑ/
Ž ž žee(제) /ʒeː/
Õ õ õõ(어) /ɤː/
Ä ä ää(애) /æː/
Ö ö öö(외) /øː/
Ü ü üü(위) /yː/

문자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이중 C, Q, W, X, Y는 외국어 고유명사 표기를 제외하면 사용되지 않고 F, Z, Š, Ž는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된다. 그리고 모음 표기를 위해 Ä, Ö, Ü, Õ의 네 글자가 추가로 사용된다. 각각 /æ/, /ø/, /y/, /ɤ/로 한국어에서는 'ㅐ', 'ㅚ'[5], 'ㅟ'[6], 'ㅓ(혹은 ㅡ)'에 가까운 발음이다. õ 글자는 원래 에스토니아어에서 ö라고 적었으나, 19세기 오토 빌헬름 마싱이 /ɤ/ 발음을 /ø/ 발음과 구별하기 위해 글자 õ를 새로 추가했다.[7] 과거 소련 시절 러시아어로 에스토니아 지명을 표기할 때 이 4글자를 Я, Ё, Ю, Ы로 적었기 때문에, 에스토니아어의 키릴 문자 표기 → 러시아어의 로마자 표기 두 단계를 거치면서 패르누(Pärnu), 펄바(Põlva) 같은 에스토니아어 지명이 외국에선 퍄르누(Pyarnu), 필바(Pylva)처럼 이상한 철자로 알려지게 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음운론은 '장단음의 이중 대립과 악센트'로 정리할 수 있다. 장음이냐 단음이냐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지므로 장단을 명확하게 구분하며, 음의 고저나 강세로 뜻이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사실 20세기 중반 이래 음운론에 도입되어 온 +/-로만 표기되는 변별적 자질[8]에 반대하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몇몇 언어에서 모음 길이의 삼중 대립이 일어난다고 보고되었으나, 특정 환경에서 음성학적으로 조금 더 길어지거나 짧아질 뿐 인지적인 음소 구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장음 표기는 같은 모음 두 개를 겹쳐 나타내는데, 간혹 장음끼리 서로 이어져서 Jäääär[9]나 Töööö[10]처럼 괴상한 단어가 나오기도 한다.

이중 모음의 종류가 많지만 모음 자체는 핀란드어보다 덜 쓰이는 경향이 있다. 핀란드어로 '하나', '호수', '숲'을 뜻하는 단어인 yksi, järvi, metsä는 에스토니아어로 üks, järv, mets이다.

R은 치경 전동음으로, 혀를 'rrrrrrrr(아르르르르르)' 이렇게 떨어서 발음한다.

모음조화의 경우 표준 에스토니아어에는 없고, 남부 방언에만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어로 '마을', '오늘'을 뜻하는 küla, täna는 한 단어에 전설모음 후설모음이 연달아 와서 모음조화가 깨진 반면에 버로어에서는 külä, täämbä와 같이 모음조화의 형태가 유지된다.

4. 문법

이 14개나 있고 인칭 시제 등에 따라 동사가 이리저리 변하는 등 문법이 복잡한 편이다. 덕택에 현지 러시아인들이 에스토니아 시민권 따는 걸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카더라.[11][12]

기본 어순 영어와 같은 주어-서술어-목적어(SVO)이나, 문장 배열이 비교적 자유로운 언어라서 다른 형태도 쉽게 볼 수 있다. 영어나 인도유럽어족 계열의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겐 배우기 힘든 언어로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에스토니아어를 배울 곳이 거의 없고, 교재도 한 권밖에 없어서 문제. 시중에 에스토니아어 알기와 공부하기 : Kuidas seda nimetatakse eesti? (2011)가 나와 있다.[13]

4.1. 명사

에스토니아어에서 명사는 대충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가까운 언어인 핀란드어 항목과 비교해 보자.
  • 농장: talu
  • 농장: tal[14]
  • 농장: talu[15][16]
  • 농장으로부터: talust (-st), talult (-lt)
  • 농장에서: talus (-s), talul (-l)
  • 농장으로: talusse (-sse), talule (-le)[17]
  • 농장으로서: taluna (-na)
  • 농장까지: taluni (-ni)
  • 농장으로 (변화격): taluks (-ks)
  • 농장없이: taluta (-ta)
  • 농장: taluga... (-ga-)

대체로 핀란드어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18] talu(핀란드어에선 talo)라는 말은 핀란드어에선 '집'으로 쓰이는데 에스토니아어에선 '농장'으로 쓰이고 에스토니아어에서 집은 maja이다.[19] 다만 옛날에는 핀란드어에서도 talo는 농장이란 말로 쓰였다.

4.2. 동사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kirjutama(쓰다)라는 동사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부정사 kirjutama, kirjutada
분사 능동 수동
현재 kirjutav kirjutatav
과거 kirjutanud kirjutatud
직설법 현재 완료 과거 과거완료
1인칭 단수 kirjutan olen kirjutanud kirjutasin olin kirjutanud
2인칭 단수 kirjutad oled kirjutanud kirjutasid olid kirjutanud
3인칭 단수 kirjutab on kirjutanud kirjutas oli kirjutanud
1인칭 복수 kirjutame oleme kirjutanud kirjutasime olime kirjutanud
2인칭 복수 kirjutate olete kirjutanud kirjutasite olite kirjutanud
3인칭 복수 kirjutavad on kirjutanud kirjutasid olid kirjutanud
수동형 kirjutatakse on kirjutatud kirjutati oli kirjutatud
능동 부정형) ei kirjuta ei ole kirjutanud ei kirjutanud ei olnud kirjutanud
수동 부정형) ei kirjutata ei ole kirjutatud ei kirjutatud ei olnud kirjutatud
조건법 현재 완료
1인칭 단수 kirjutaksin oleksin kirjutanud
2인칭 단수 kirjutaksid oleksid kirjutanud
3인칭 단수 kirjutaks oleks kirjutanud
1인칭 복수 kirjutaksime oleksime kirjutanud
2인칭 복수 kirjutaksite oleksite kirjutanud
3인칭 복수 kirjutaksivad oleksid kirjutanud
능동 부정형 ei kirjutaks ei oleks kirjutanud
수동 부정형 ei kirjutataks ei oleks kirjutatud
수동형 kirjutatataks oleks kirjutatud
명령형 현재 현재 부정 완료 완료 부정
2인칭 단수 kirjuta ära kirjuta
3인칭 단수 kirjutagu ärgu kirjutagu olgu kirjutanud ärgu olgu kirjutanud
1인칭 복수 kirjutagem ärgem kirjutagem
2인칭 복수 kirjutage ärgu kirjutage
3인칭 복수 kirjutagu ärgu kirjutagu olgu kirjutanud ärgu olgu kirjutanud
수동형 kirjutatagu ärgu kirjutatagu olgu kirjutatud ärgu olgu kirjutatud
인용형 현재 완료
능동 kirjutavat olevat kirjutanud
수동 kirjutatavat olevat kirjutatud
능동 부정형 ei kirjutavat ei olevat kirjutanud
수동 부정형 ei kirjutatavat ei olevat kirjutatud

5. 어휘

(kuu), 나무(puu), (käsi) 같은 기본어휘는 대부분 핀란드어와 유사하다. 다만 에스토나아어는 여러 언어에 융화되었기 때문에 고유어 어휘뿐만 아니라 저지 독일어, 독일어, 발트어, 러시아어, 스웨덴어 등에서 유래한 어휘들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게르만어 계열의 비중이 높은데, 이는 독일 스웨덴에게 오랜 기간 지배를 받은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단어들을 합성하여 새로운 어휘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20] 예를 들어 에스토니아어로 샌드위치는 'võileib'인데, 이 단어는 버터를 뜻하는 'või'와 빵을 뜻하는 'leib'이 합쳐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어진 단어의 경우 või/leib 이런 식으로 반드시 끊어서 읽어줘야 한다.

특기할 만한 점으로 일부 어휘에 인공어적 요소가 있다. 근대 언어 개혁 과정 도중에 도입된 '창조적 조어법'으로 그럴싸한 소리 조합에 특정 뜻을 붙인 것이다. 물론 아무렇게나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기존에 쓰이던 단어가 길어서 발음하기 불편할 경우, 짧고 어감이 좋은 소리를 임의로 제안하여 대체하는 방식이 주류였다. 요하네스 아비크를 비롯한 언어 개혁가들이 많은 단어들을 제안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는 단어는 적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 어휘 중 일부 역시 외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21] 예를 들어 범죄를 뜻하는 roim은 영어 crime에서, 시체를 뜻하는 laip은 독일어 Leib에서 가져온 것으로 본다.

6. 학습

에스토니아어는 약 120만 명 정도로 적은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배울 때 자료 부족 등의 어려운 점이 있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찾아보면 생각보다 에스토니아 자료가 인터넷에 많다.

한국어로 된 에스토니아어 교재는 산지니에서 출판한 '에스토니아어 알기와 공부하기', 그리고 문예림에서 출판한 '에스토니아어-한국어 사전' 두 가지가 있다.

영어 러시아어가 된다면 Keeleklikk[23]라는 사이트에서 배울 수 있다. 또 구글플레이스토어나 애플스토어에 'Estonian'으로 검색하면 나오는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공부할 수 있다. 에스토니아 회사가 만든 Speakly라는 앱이 괜찮은 편이다.

에스토니아 드라마를 보면서 공부할 수도 있다. 에스토니아 정부가 관리하는 jupiter라는 곳에서 몇몇 에스토니아 채널을 볼 수 있다. 무료에다 영어 자막도 있는 드라마 중 유명한 것은 Lahutust Eesti Moodi 정도가 있다.

그 외에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Vlog나 인터뷰 영상들로 에스토니아어의 억양과 발음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1. 난이도

대체로 핀란드어와 비슷하며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는 헝가리어보다는 쉽다는 평이다. 격 변화에 대해 읽어보면 '격이 많지만(14격) 규칙적이다.' 라는 설명이 많다. 그러나 이것은 에스토니아어를 가볍게 배웠을 때 해당하는 말이며 조금만 깊게 배운다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단 가장 많이 쓰이는 2격, 3격, 4격이 불규칙적이고, 규칙이 있더라도 매우 복잡하다. 그나마 단어의 성별이나 관사 같은 것이 없다는 점에서는 영향을 받은 독일어보다 단순하다고 할 수 있다.

6.1.1. 어려운 점

  • 복잡한 격변화
2격은 소유격, 3격은 부분격인데 한 단어를 외울 때 총 5가지의 형태를 외워야 한다. 1격, 2격 단수, 2격 복수, 3격 단수, 3격 복수로 총 5개이다.[24] 즉, 단어 100개를 외울 때 알아야 할 형태는 결과적으로 500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 변화와 관련된 규정이 있기는 하지만[25]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라서 불규칙적이다. 생각보다 더 많은 단어들이 4격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음료수를 뜻하는 에스토니아어는 1격, 2격 단수와 복수, 3격 단수와 복수 순서대로 mahl-mahla-mahlade-mahla-mahlu인데, 4격도 mahla이다. 2격 단수, 3격 단수, 4격이 모두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 알아보기 힘든 동사변화
심하면 같은 동사라고 추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하기도 한다. 동사에는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ma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da(ta) 형태이다. 분사는 -nud 형태이고 수동태는 -tud/-dud 형태이다. 과거형에 -nud가 들어가는 탓에 이러한 형태들을 초보 단계부터 외워야 하며, 형태들을 하나하나 외우지 않으면 독해 자체가 힘들어진다.
  • 격 선택의 어려움
많이 헷갈려하는 격은 보통 4격(-sse)과 7격(-le), 6격(-st)과 9격(-lt)이다. 4격과 7격은 '~쪽으로'라는 뜻이고, 6격과 9격은 '~으로부터'라는 뜻이다. 뜻은 비슷해 보이지만 용도는 분명히 다르다. 문제는 외국인에게는 이 차이가 미묘하게 보여서 구분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 부분격
부분격은 에스토니아어에서 3격으로 2격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이지만 현지인들조차 언제 쓰이는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 또 단수와 복수로 나뉘어지는데, 3격 단수는 숫자 뒤에 쓰인다. 예를 들어 '몇몇 컴퓨터들'은 에스토니아어로 'mitu arvutit'[26]이다. 3격 복수는 3격 단수에 비해 불특정한 것들을 언급할 때 쓰인다고 보면 된다. '많은 사람들'은 'palju inimesed'보다 'palju inimesi'라고 쓰는 게 맞다.[27] 여기서 소개된 것들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 자유로운 문장 구조
기본 형식(SVO)을 벗어난 문장도 흔히 보이기 때문에 학습하는 입장에서 헷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그녀는 어제 학교에 갔다' 라는 문장은 'Eile läks ta kooli.' 와 'Ta läks kooli eile.' 등 여러 가지 구조로 쓰일 수 있다.[28]

6.1.2. 쉬운 점


*일관적인 음운 체계
까다로운 발음이 적다. 묵음 역시 없으며 쓰는 대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미래 시제가 없음
시제는 총 4가지로 현재 시제, 과거 시제, 현재완료 시제, 과거완료 시제가 있다. 미래는 현재 시제로 나타낸다.
  • 관사가 없음
영어의 a, the와 같은 관사가 없다. see(이것/저것), need(이것들/저것들)를 이용해서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한다.
  • 단어의 성별이 없음
전혀 없다. 특이한 점은 문법적 성뿐만 아니라 '그(he)'와 '그녀(she)'에 해당하는 구분도 없다. 에스토니아어는 그(tema/ta)로 통일한다.

6.2. 교육 기관

2022년 1학기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헝가리어과에서 '에스토니아어와 사회'라는 전공 강의를 개설하여 가르치고 있다.

7.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에스토니아어(Estonia語)
에스토니아어 Eesti keel
덴마크어 Estisk
독일어 Estnische Sprache
라트비아어 Igauņu valoda
러시아어 Эстонский язык
리투아니아어 Estų kalba
스웨덴어 Estniska
영어 Estonian language
핀란드어 Eestin kieli

8. 들어보기


에스토니아의 국가〈Mu isamaa, mu õnn ja rõõm〉( 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영상을 보면 에스토니아 국기가 어디서 따온 것인지 한 번에 알 수 있다. 참고로 핀란드의 국가와 선율이 같다.



에스토니아 버전의 'Let it go'. 에스토니아어로는 'Olgu nii'이다. 참고로 겨울왕국은 'Lumekuniganna ja igavene talv(눈의 여왕과 끝나지 않는 겨울)'이다.



201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에스토니아 참가곡 Birgit Õigemeel의 <Et Uus Saaks Alguse> (그렇게 새로 시작할 수 있어요)



에스토니아의 팝 가수 Karl-Erik Taukar의 <Segased Lood>(복잡한 이야기들).

9. 관련 문서



[1] 해석: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2] 사전 지식이 있다면 간단한 대화는 가능할 수도 있다. [3] 또한 스위스 교육자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에게서 영감을 받은 정치 개혁가로 농부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기 때문에 에스토니아 역사에서 국가 학교 시스템을 만든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게다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불멸의 연인으로 추정되는 요제피네의 전 남편이자 베토벤의 사생아로 추정되는 미노나 폰 슈타켈베르크의 공식적인 아버지라고 발표되었기도 하다. [4] '이중 v', dupla vee(더블 v)라고 쓰기도 한다. [5] 현대의 'ㅙ'와 같은 변형된 발음이 아닌 과거 단모음 ㅚ [6] 현대의 'Wi'와 같은 변형된 발음이 아닌 과거 단모음 'ㅟ' [7] 사레마와 히우마 섬 지역의 방언에서는 이 두 발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8] 유성/무성(+voice/-voice), 장음/단음(+long/-long), 유기/무기(+aspiration/-aspiration), 비음/구음(+nasal/-nasal) 등 [9] Edge of the ice [10] Work night [11] 사실 소련 시절에도 에스토니아의 러시아어 학교에서 에스토니아어를 가르쳤기는 했다. 다만 러시아인들은 중요과목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서 열심히 공부를 하지 않았을 뿐이지. 그리고 에스토니아 독립 이후로 에스토니아어를 해야 에스토니아 국적을 주게 되고, 실생활에서도 에스토니아어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서 1970년대 중반 이후에 출생한 러시아계 주민들은 대체로 에스토니아어를 할 줄은 안다. [12] 에스토니아 영주권 또는 시민권을 신청하려면 에스토니아어 시험 B1단계 이상을 통과해야 한다. [13] 다만 이 책을 본 한 현지인의 말로는 콤마의 사용이나 문법적인 오류가 종종 있다고 한다. Õ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Ö가 들어가거나 에스토니아어 철자에 없는 Ō가 사용 된 경우가 그 예시이다. 없는 어휘를 쓴 경우도 있으며 오타도 꽤 심한 편이라 질적 변화 때문에 글자 하나 차이로 격이 구분되는 에스토니아어를 배우는 데에는 상당히 치명적이다. [14] 단어마다 변화 형태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한 명사나 형용사를 외울 때 1격과 2격의 형태를 다 외워야 한다. 1격과 2격의 형태가 같은 단어도 많다. maja(집) - majan(집의), midagi-midagi 이런 식. [15] 부분격. 이 격은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것 또한 단어마다 변화 형태가 다르다. maja(집) - majaa(집의), jõgi(강) - jõge(강의) 이런 식. [16]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17] '으로부터' 부분부터 '으로' 부분까지는 두 가지 형태의 격이 있는데 앞의 것은 안, 뒤의 것은 밖 정도의 느낌이다. [18] 핀란드어는 15격이고, 에스토니아어는 14격이다. [19] maja와 kodu 모두 집이라는 뜻의 명사다. [20] 형태로는 '2격+1격'의 비율이 가장 높다. [21] 의외로 핀란드어로부터 받아들인 직접 차용어는 그렇게 많지 않다. [22] 사실 에스토니아나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사람들이 영어를 잘하는 이유에는 자국 언어로 된 컨텐츠가 부족한 것이 한 몫한다. [23] https://www.keeleklikk.ee/en/welcome [24] 1격 복수는 2격 단수에 -d를 추가하면 된다. [25] 예를 들면 -ne로 끝나는 1격은 2격 단수에서 -se로 변하고 3격 단수에서 -st로 변한다. [26] mitu는 '몇몇, 여러 개'라는 뜻이고, arvutit는 컴퓨터를 뜻하는 arvuti의 부분격 단수이다. [27] inimesed는 사람을 뜻하는 inimene의 복수형이며, inimesi는 3격 복수이다. [28] 'ta'는 '그/그녀'를 의미하고, 'läks'는 '가다' 라는 뜻의 'minema'의 과거형이며, 'kooli'는 '학교'를 뜻하는 'kool'의 4격이다. 'eile'는 '어제'라는 뜻이다. 다만 더 자연스러운 표현은 존재한다. 이 두 문장 중에서는 첫 번째 문장이 더 자연스러운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