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2 21:17:48

알 무스탁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thumbnail.svg.png
보편 칼리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통 칼리파
초대 제2대 제3대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제4대 제5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하산 이븐 알리1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우마이야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지드 1세 마르완 1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아브드 알 말리크 왈리드 1세 술라이만 우마르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야지드 2세 히샴 왈리드 2세 야지드 3세
제13대 제14대
마르완 2세
아바스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 만수르 알 마흐디 알 하디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 아민 알 마문 알 무타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 와시크 알 무타와킬 알 문타시르 알 무스타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알 무타즈 알 무흐타디 알 무타미드 알 무타디드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알 무크타피 알 카히르 알 라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 무타키 알 무스탁피 알 무티 알 타이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알 카디르 알 카임 알 무크타디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알 라시드 알 묵타피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알 무스타디 알 나시르 알 자히르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알 무스타심 알 하킴 1세 알 무스탁피 1세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알 하킴 2세
제45대 제44대2 제46대 제45대2
알 무스타심 알 무타와킬 1세 알 와시크 2세 알 무스타심
제44대3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알 무스타인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알 카임 알 무타와킬 2세 알 무스탐식
제54대 제53대2 제54대2
알 무타와킬 3세 알 무스탐식 알 무타와킬 3세
오스만 왕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셀림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오스만 2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무라트 4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제29대 제30대
메흐메트 6세 압뒬메지트 2세
^^ 1: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
아바스 왕조 제22대 칼리파
알 무스탁피
المستكفي بالله
파일:Dirham_of_al_Al-Mustakfi_334h.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이름 아부 알 카심 압둘라 이븐 알리
أبو القاسم عبد الله بن علي
출생 908년 11월 11일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사망 949년 9월 (향년 41세)
부와이 왕조 바그다드
재위 기간 아바스 칼리파
944년 9월 ~ 946년 1월 29일/3월 9일 (2년)
전임자 알 무타키
후임자 알 무티
별명 알 무스탁피 빌라흐(المستكفي بالله: 신에게만 만족하고 싶은 욕망을 가진 자)
부모 아버지 : 알 무크타피
어머니 : 후슨
종교 이슬람 수니파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아바스 왕조 22대 칼리파.

2. 생애

908년 11월 11일 아바스 왕조 17대 칼리파 알 무크타피 동로마 제국에서 끌려온 여노예 후순의 아들로 출생했다. 그가 태어났을 때, 아버지는 3개월 전에 사망했다. 연대기 작가들은 그가 나비드(nabīdh, 발효음료)를 매우 좋아했으며 스포츠와 게임을 즐겼고, 시아파에 동조했으며, 바그다드의 아야룬(ayyārūn, 도시 방랑자 및 투사)와 긴밀한 접촉을 유지했다고 서술했다.

944년 9월 튀르크 대장군(아미르 알 우마라) 투준이 알 무타키를 폐위한 후 칼리파에 옹립되었다. 그는 즉위 직후 궁궐 구석에서 11년간 유폐되고 있던 알 카히르를 석방시켰다. 하지만 알 무크타디르의 남은 자식들을 잠재적인 경쟁자로 여기고 박해했다. 특히 알 파딜과 그는 어렸을 때 타히리드 궁전에 머무는 동안 서로를 증오했다고 한다. 알 파딜은 두려움을 느끼고 잠적했고, 그는 알 파딜의 집을 불태웠다.

944년 가을, 이란의 부와이 왕조군이 이라크를 침공했으나 투준은 알 무스탁피를 대동하여 출정해 이를 격퇴했다. 그러나 945년 8월, 투준이 사망한 후 바그다드는 혼란에 휩싸였다. 투준의 후계자인 아부 자파르 무함마드는 정국을 장악하지 못했고, 더구나 그해 가을 이라크에 흉년이 들어 민심 역시 흉흉해졌다. 이에 부와이 왕조군은 재차 진군하여 바그다드를 봉쇄하였고, 시민들은 개와 고양이를 잡아먹고 쓰레기를 뒤지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굶주림에 시달리던 민중이 폭동을 일으켜 상점들을 약탈했다. 상황을 통제할 수 없던 아부 자파르는 북쪽의 함단 왕조에게 자신의 아미르 직을 걸고 지원을 청했으나, 모술의 지도자 나시르 앗 다울라는 캅카스에서 남하하는 루스인들과 맞서느라 정신이 없었고, 알레포의 사이프 앗 다울라는 익시드 왕조과 맞붙느라 역시 바그다드를 도울 수 없었다.

그때 와시트의 총독이 부와이 측에 항복한 후 함께 바그다드로 진격했다. 이에 아부 자파르는 숨었고, 알 무스탁피 역시 항복하기로 하고 부와이 측이 협상을 위해 보낸 관료를 맞이했다. 알 무스탁피는 부와이 조의 군주 무이즈 앗 다울라 아흐마드에게 아미르 알 우마라 직을 내렸고, 946년 1월 17일 그는 바그다드에 무혈 입성했다. 이후 무아즈의 이름은 칼리파와 함께 쿠트바와 동전에 새겨졌다. 하지만 그들의 공존은 오래가지 못하였다. 무이즈 앗 디올라는 튀르크 군부에 의해 옹립된 칼리파를 경계했고, 그 역시 무이즈를 축출하기 위해 음모를 장교들과 음모를 꾸몄다. 결국 946년 1월 29일 또는 3월 9일, 무이즈는 그를 체포해 실명형에 처한 뒤 폐위시켰다.

부와이 왕조는 시아파 정권이었지만, 무이즈는 시아파 칼리파를 세운다면 바그다드 주변의 수니파 세력이 가만두지 않는다는 걸 잘 알았다. 그래서 은신처에 숨어있던 알 파딜을 모셔와서 알 무티라는 이름으로 칼리프로 세웠다. 물론 실권은 전혀 없었고, 무이즈가 실권을 행사했다. 이후 바그다드에서 재차 폭동이 일어나 궁전이 약탈당했지만, 부와이군이 곧 진압했다. 그는 칼리팔 궁전에서 조용히 지내다 949년 9월에 사망했다.

알 무스탁피의 일족들은 바그다드를 탈환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조카 중 한 명인 아부 알 나스르 이샤크는 960년 아다르바야에서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곳을 다스리던 총독에게 패배했다. 967년 무이즈가 사망한 뒤에는 알 무스탁피의 아들 아부 알 하산 무함마드가 이라크로 이동하여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마흐디(구원자)를 자처해 상당한 지지자들을 모았으나, 당국의 추적으로 체포되었다. 그는 비록 탈출에 성공했지만, 이후로 다시는 역사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리하여 부와이 왕조는 바그다드를 완전히 장악하고 100여 년간 아바스 칼리파를 꼭두각시로 삼은 채 이라크 일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