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3:00:01

안양시외버스정류장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409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pad> 가평군
가평 목동 설악 청평 현리
<nopad> 고양시 <nopad> 광명시 <nopad> 광주시 <nopad> 구리시 <nopad> 군포시
고양 광명 광주 구리 군포
<nopad> 김포시 <nopad> 부천시 <nopad> 성남시 <nopad> 수원시
김포 부천 성남 동수원 서수원
<nopad> 수원시 <nopad> 시흥시 <nopad> 안산시
수원 우만동 아주대 시흥 안산
<nopad> 안성시 <nopad> 안양시
안성 공도 안양 안양역 호계
<nopad> 양평군 <nopad> 여주시 <nopad> 연천군
양평 용문 여주 연천 전곡
<nopad> 오산시 <nopad> 용인시
오산역 용인 기흥역 신갈 양지
<nopad> 용인시 <nopad> 의왕시 <nopad> 의정부시 <nopad> 이천시
좌찬 백암 의왕고천 의정부 이천
<nopad> 이천시 <nopad> 파주시 <nopad> 평택시 <nopad> 포천시
장호원 문산 안중 평택 관인
<nopad> 포천시
도평리 송우리 이동 일동 포천시외
<nopad> 하남시 <nopad> 화성시
하남 향남 }}}}}}}}}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무궁화호 안양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 명학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인덕원역 · 평촌역 · 범계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해안 광명역IC, 일직JC /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평촌IC / 파일:Expressway_kor_110.svg 제2경인 일직JC 석수IC, 삼막IC
국도 1번 · 47번
지방도 57번
버스 버스 목록 광역급행 경기순환 직행좌석 일반좌석
일반시내 마을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버스 터미널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
시외버스 정류장 안양시외버스정류장 / 호계시외버스정류장 / 범계시외버스정류장 / 비산동시외버스정류장
}}}}}}}}} ||
경기도의 교통


1. 소개2. 시외버스 노선
2.1. 상행 정류장(09-241)2.2. 하행 정류장(09-240)


파일:anyang_sioui_bug_station.png

1. 소개

홈페이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와 안양로340번길의 분기점 인근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장. 별도의 주소는 없으며 상행정류장 번호는 09-241, 하행정류장 번호는 09-240이다. 정식 명칭은 '안양시외버스정류장'이지만 근처 존재했던 결혼식장의 이름을 따서 '왕궁예식장 정류장'[1]으로도 불린다.

거의 모든 노선이 부천종합터미널이나 인천종합터미널에서 출발해 이곳을 경유하는 형태다.[2] 안양 경유 노선이 아닌 안양 착발 노선은 안양역 앞에 있는 '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탑승할 수 있다.[3][4]

향후 안양시에서 환승터미널을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세우게 되면 이곳을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로 통폐합할 예정이라고 한다.

안양역과 약 600m 정도 떨어져 있어서 간접적으로 연계가 가능하다. 다만 도로로만 갈 경우 안양역 앞 횡단보도가 조금 멀기 때문에 편하게 바로 지하상가를 통해 지나가자. 어차피 지하상가는 한번 거쳐야한다.

안양시/교통/터미널 문제 문서도 참조.

2. 시외버스 노선

2.1. 상행 정류장(09-241)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비고
부천 무정차[5]/( 송내역[6]) 경기고속 대원고속 강원여객 친선고속
영암고속 화성고속 호남고속 함양지리산고속
10~70분 2,400원[일반]/3,100원[우등]
인천 무정차 강원고속 친선고속 35~120분 2,700원

용현동 방향 시외버스는 8848번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되었으나 그마저도 2018년 9월 15일에 폐선되었다.

부천 방향으로 갈 때, 시간이 맞지 않다면 G8808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정체가 없으면 40~45분 정도 걸린다.

부천 행, 인천 행의 경우 승차권 발권 시 좌석이 지정되지 않으며, 부천 행 노선의 경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9]

일부 시외버스의 경우 호계동, 안양 하차 승객이 없을 경우 안양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목적지인 부천이나 인천으로 향하는 경우도 있다.

2.2. 하행 정류장(09-240)

  • 주황색글씨는 시외우등 노선, 하늘색글씨는 일부시간대 시외우등이 투입되는 노선이다.
행선지 경유지 업체 배차간격 비고
이천 고천, 덕평, 청강대[10] 경기고속 대원고속 1일 1회(금 2회, 토,일 3회) -
안성 고천, 공도, 대림동산
중앙대 안성캠, 동아방송대
대원고속 1일 4회 -
춘천 (완행) 도농, 금곡, 마석, 대성리, 청평, 가평, 강촌
(직통) 대성리, 청평, 가평, 강촌
강원고속 1일 6회(직통)
1일 2회(완행)
[11]
원주[12] 고천, 문막 경기고속 대원고속 1일 12회 시외우등
강릉 무정차 경기고속 대원고속 강원여객 1일 7회 시외우등
태백 영월, 고한 영암고속 화성고속 친선고속 1일 1회 -
속초 무정차 경기고속 대원고속 1일 4회(토,일 5회) 시외우등
제천 무정차 친선고속 1일 4회 -
음성 일죽, 삼성, 대소, 무극 1일 3회 -
진천 백암, 죽산, 두원대, 광혜원, 이월 경기고속 1일 3회 -
충주 고천, 교통대 경기고속 대원고속 1일 3회[13] -
상주 고천, 교통대, 충주, 건국대, 문경, 점촌 경기고속 대원고속 1일 1회 -
포항 안양, 경주 아성고속 천마고속
경기고속
1일 1회 시외우등
안동[14] 풍기, 영주 경기고속 1일 3회(금,토,일 4회) 시외우등
지리산(백무동) 서상, 함양, 인월, 마천 함양지리산고속 1일 1회 -
전주 무정차, 세종시 대원고속 호남고속 1일 6회[15][16] -
정읍 무정차 대원고속 1일 1회 시외우등
동광양 남원, 광양 대원고속 1일 2회(금,토,일 3회) [17] 시외우등

보잘 것 없는 시설 치고는 꽤 많은 노선이 경유하는데, 거의 대부분 부천종합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가 정차하는 것이다. 그외 일부 인천발 노선도 정차한다.

다만, 대구, 부산, 광주[18] 방면 노선은 부족한 편이다. 이들 노선을 탈려면 광명역이나 수원역에서 기차를 타야하며 수원이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에서 버스를 타야 한다.


[1] 왕궁웨딩홀, 킹덤웨딩홀, WK웨딩 등 이름이 자주 바뀌다가 폐업하였고 지금은 그 자리에 안양요양병원이 들어서 있다. [2] 부천발 안양 경유 노선은 소풍터미널 개장 이전부터 안양을 경유하던 노선들이다. 소풍터미널 개장과 이 정류장 개설은 관련이 없으니 수정하는 편집자들은 주의 바람. [3] 전주행 막차는 안양역터미널에서 승차해야 한다. [4] 광주광역시발 의왕, 안양 경유 광명행 시외버스는 이곳에서 하차하나 안양발 광주행 시외버스는 이곳이 아니라 안양역터미널에서 승차한다. 단, 이곳에서 광명행 버스를 탑승할 수는 없다. 광명행 버스는 근처 정류장에서 12번을 타자 [5] 모든 지방발 시외버스, 일부 경기도내 운행 시외버스. [6] 일부 차량 송내역 경유. [일반] [우등] [9] 경기도 면허 버스에만 해당하고 타 지방 면허 버스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교통카드 이용이 안 된다. [10] 학기중 평일에만 [11] 국도 구간이 많은데다가 경유지가 많아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용산역에서 ITX-청춘을 타거나 수원이나 동서울,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버스를 타는 것을 권장한다. [12] 안양 발 노선 중 유일하게 이곳에서 출발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부천 착발로 변경. 이로 인해 11회에서 12회로 증회되었다. [13] 19:30 아미리( SK하이닉스), 태평리, 이황리, 장호원, 감곡, 생극, 용원, 주덕 경유 완행 1회 [14] 시외버스 부천-안동 참조. [15] 세종시 경유 1회 [16] 대원고속에 한하여 일부 시외우등 적용 [17] 막차는 남원통과 [18] 안양역시외버스터미널에 광주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