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1:03:53

아산시외버스터미널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8c8c7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주시 금산군 계룡시 논산시 당진시
공주 · 산성동 · 공주시내1
유구
금산 금암동 · 신도안 · 양정 논산( 고속 · 시외) · 강경
연무대( 고속 · 시외)
당진 · 합덕 · 삽교천 · 기지시
보령시 부여군 서산시 서천군 아산시
보령 부여 서산 · 대산 서천 · 장항 · 한산1 · 문산1 고속 · 시외
봉강교·서부휴게소
천안아산역
예산군 천안시 청양군 태안군 홍성군
예산 · 내포신도시 천안 · 쌍용동 · 성환
병천
청양 · 정산 태안 · 안면도 홍성 · 광천 · 내포신도시 }}}
문서가 있는 터미널/정류소만 기재, 환승 휴게소도 제외
1 시내 · 농어촌버스 전용 터미널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아산시 CI_White.svg 아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철도 고속철도 천안아산
<colbgcolor=#0d9726> 일반철도 장항선 아산, 온양온천, 도고온천
서해선 인주
광역전철 파일:Seoulmetro1_icon.svg 아산, 탕정, 배방, 풍기, 온양온천, 신창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32.svg 당진청주고속도로
국도 21번 국도, 34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국가지원
지방도
70번 지방도
지방도 616번 지방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 645번 지방도
<colbgcolor=#ffbe00> 고속/
시외버스
버스터미널 아산고속버스터미널,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중간정류장 봉강교·서부휴게소, 신창, 천안아산역
버스 시내버스 아산시 시내버스
( 온양교통, 아산여객)
버스 목록 틀:아산시 시내버스
아산시 버스 목록
← 아산시의 대로 아산시의 주요 도로 →
}}}}}}}}} ||
아산시외버스터미널
Asan Intercity Bus Terminal
정식 명칭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영문 명칭 Asan Intercity Bus Terminal
개장 1989년
이전 2014년 1월 20일
행선지표기 아산(온양)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5 ( 모종동 555-9)
관련 전화번호
1688-9311


1. 개요2. 상세3. 시외버스 노선과 시간표4. 승차홈5. 중간정류소6. 시설7. 연계 교통
7.1. 철도7.2. 버스

[clearfix]

1. 개요

파일:아산시외버스터미널.jpg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5 ( 모종동 555-9) 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2. 상세

파일:온양시외버스터미널.jpg
옛 온양시외버스터미널
1989년에 지은 시외버스터미널은 그 당시 지명이 온양시였던 관계로 온양시외버스터미널이라고 불렸다.

2005년 들어서 2층 예식장이 폐업하고 건물의 노후화로 흉물스럽게 변해 폐건물 아닌 폐건물이 되어 문제가 되었다. 2012년 12월에 들어서 건물이 철거되었고, 인근(번영로 217번길 14[1])에 임시 터미널을 지어서 영업하다가 지하 2층, 지상 10층의 새 건물을 지어 2014년 1월 21일에 완공했다. 이때 명칭도 '온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아산시외버스터미널'로 변경하였다.

고속버스와 인천행 동양고속은 바로 옆에 있는 아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인천행도 시외터미널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대부분이 아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시외에서 타면 시간때문에 낭패를 볼 수가 있다.[A] 충남지역 시외버스 일부 노선에 한해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천안까지만 가는 경우 바깥에 시내버스 정류장도 있을더러 터미널이라는 이유로 매표소 수입 문제등 검표원이 수시로 검표하기 때문에 전 노선 승차권을 구입하여 승차하는 것이 좋다.[3][4]
파일:아산 시외버스 터미널 차고지.jpg
터미널 근처에는 아산시 시내버스와 온양행 예산군 농어촌버스 노선의 회차지가 있어서 아산에서 운행하는 많은 시내버스 노선의 시종착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소가 있어서 전기버스의 경우 이곳에서 충전하고 재운행한다.[5] 2022년 말부터 900번, 910번 천안시 시내버스도 전기버스를 투입하기 시작했고 천안버스도 해당 충전소를 이용할 수 있다.

3. 시외버스 노선과 시간표

아산(온양) 시간표

4. 승차홈

번호 행선지
1 성남, 천안, 서울남부, 안산, 유구, 춘천
2 천안
3 대전복합, 서대전, 유성, 안성, 원주, 청주, 용인, 양평, 이천, 천안
5 동서울, 잠실, 가락시장, 김포공항, 천안, 인천공항
6 예산, 홍성, 청양, 부여, 보령(대천), 서천
7 삽교천, 합덕, 당진, 서산(직), 태안, 안면도

5. 중간정류소

6. 시설

<rowcolor=#fff> 층수 시설
<colbgcolor=#005fae><colcolor=#fff> 9F 롯데시네마[27]
8F 아산터미널웨딩홀
4F~7F 주차장
3F 주차장, 애슐리, 리미니가든
2F 이랜드복합관, 모던하우스
1F 대합실, 매표소, 승/하차장, SPAO, 뚜레쥬르
B1F 롯데마트, 롯데하이마트
B2F 롯데마트, 다이소

7. 연계 교통

7.1. 철도

버스로 5정거장 거리에 있는 온양온천역에서 1호선, 장항선 일반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7.2. 버스



[1] 현재 터미널의 바로 옆이다. 터미널 신축 이후 보조 박차장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건설되고 있다. [A] 2020년 5월 현재 동양고속 단독배차로 변경되어 시외버스터미널에는 들어오지 않는다. [3] 다만 예외로 터미널이 오후 22시에 서해인방향 막차 출발과 동시에 매표소 문을 닫고 서해안에서 천안으로 돌아오는 (신창 출발 22시 10분 추정) 심야 막차시간대 한정으로 검표원이 없기 때문에 이 때는 예외적으로 무인발매기 오류 등으로 인해 안될경우 기사에게 말하고 교통카드로 탑승 가능하다. [4] 그렇게 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싶다면 바깥 정류소에 900번대 노선버스를 이용해보도록 하자, 온양시내를 한바퀴 둘러가긴 하지만 퇴근시간한정으로 쌍용동, 천안은 직행보다도 오히려 일찍도착할때가 있고 800원이나 저렴하면서도 환승이 가능하다. [5]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2019년형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2020년형 에디슨 화이버드, 2018년형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이다. 충전소 설치 이후 저 칸들은 대부분 전기버스의 자리가 되었다. 맨 오른쪽에 가로로 서있는 버스는 2021년형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다. [6] ( R1312), 봉강교, 천안, 가천대, 장지역, 가락시장, 잠실역 경유 [7] 아산에서 승차시는 일반차량 한정 맨 앞자리부터 20번 좌석까지 밖에 예매되나 천안에서 승차하는 사람이 없을경우 뒷좌석에 앉아도 상관은 없다. 좌석 부족 민원으로 우등차량이 천안까지만 운행하는 걸로 변경되면서 전 시간대 일반차량이 운행한다. [8] 천안-서울남부 전환고속 시외 통합으로 현재 폐선됨에 따라 천안가서 서울남부방향 고속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9] 1일 4회 운행 [10] 1일 3회 운행 천안, 봉강교 미경유 [11] 현재 폐선 되었다. 따라서 대전복합터미널과 동일하게 천안까지 간다음 천안에서 갈아타야한다. [12] 신갈오거리, 기흥역, 강남대, 용인대, 명지대 경유. 1일 2회 운행. 배차가 많지 않아 그 외 시간에는 천안에서 갈아타거나 1호선 또는 일반열차를 이용해 수원역에 내려 수인분당선을 이용해 기흥역에 내려 용인 에버라인을 이용해 운동장송담대역에 내려야 한다. [13] 안성 방면 노선 중 경기고속에 한해 연장 운행하였으나 2024년 5월 16일부터 운행하지 않는다. [14] 배차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온양온천역에서 1호선 또는 열차를 이용해 용산역에 내려 경의중앙선을 타 청량리역에 내려서 다시 일반열차로 환승해서 양평역에 내리거나 쭉 타고 양평역에 내려야 한다. [15] 1일 2회(충남고속) 운행하므로 시간대가 맞지 않을경우 아산 버스 500번대 또는 온양온천역에서 1호선을 타고 평택역이나 평택터미널로 와서 환승해야한다. [16] 서산 출발. [17]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지. 이제 온양온천역에서 1호선 또는 무궁화호, 새마을호를 이용해 용산역에 내려 ITX-청춘을 이용해 남춘천역에 내리거나 동서울에서 환승해야 한다. [18] 코로나19로 인해 운행중지, 동서울에서 환승하거나 천안에서 환승해야 한다. [19] 일자 미상 운행중단 방치 및 천안-대전복합 고속버스 통합으로 폐선 된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아산온양 - 대전복합터미널 이동시에서 무조건 천안종합버스터미널까지 가서 환승해야한다. 아산시 관내에서는 배방정류소, 봉강교에서도 환승은 가능하나 1일 1회 운행이라 권장하지는 않는다. [20] 코로나19로 1일 1회 운행 그 외 시간대는 천안에서 환승해야 한다. [21] 배차가 천안에 비해 넓다. 따라서 그 외 시간에는 천안종합버스터미널로 가서 청주행을 이용 혹은 천안역에서 무궁화호, ITX-새마을을 이용해 조치원역에 내리거나 천안아산역에서 KTX, SRT를 이용해 오송역에서 하차 후 502번을 타야 한다. [22] 수도권, 충청권 시외버스로 구간 승차 이용가능 만약에 시간이 안 맞을경우 시내버스를 이용하거나 온양온천역에서 장항선 무궁화호를 이용해도 되나 기본요금이 2,600원이므로 권장하지 않으며 차라리 수도권 전철을 이용하는게 낫다. [23] 만약에 시간이 안 맞을경우 1호선을 이용해서 신창역에 내리거나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24] 1일 2회만 운행한다고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20회 넘게 운행한다. 천안 시간표를 참고하여 이용하면 된다. [25] 완행 노선으로 온양온천역에서 무궁화호 혹은 새마을호를 타는 것이 훨씬 이롭다. [26] 완행 노선으로 온양온천역에서 무궁화호 혹은 새마을호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이롭다. [27] 직영 극장으로, 6관 1,020석 규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