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16:31:01

아리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한 언어를 사용하는 인종 아리안(Aryan)에 대한 내용은 아리아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델타 IV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파일:ariane-comparaison-famille-1080x763.jpg

Ariane

1. 개요

아리안[1] 시리즈 로켓은 유럽 우주국 (European Space Agency, ESA)이 발사하는 우주 발사체이다. 최초 버전인 아리안 1은 1973년 개발이 시작되었고, 계속 후속작이 개발되어 현재 아리안 5가 현역으로 있다. 주로 프랑스의 남미 레지옹 #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ESA가 발사하는 로켓이지만, 로켓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곳은 아리안 스페이스라는 곳으로, 이 아리안 스페이스의 지분 60%는 프랑스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프랑스가 이 로켓을 실제로 개발했다고 봐도 크게 무리가 없다.[2] ESA는 이 로켓을 이용하여 여러 상업 위성과 연구용 위성 그리고 프랑스의 군사위성을 쏘아올리고 있다.

하지만 유럽의 경제난 때문에 한때 미국-러시아(소련)에 이어 우주 발사체 기술 3위라고 자랑하던 유럽의 우주 발사체 기술은 답보상태이다. 이미 자체 우주정거장 톈궁을 건설할 정도로 우주굴기를 시전하는 중국은 물론이고, LE-7 엔진을 채택한 H-II 시리즈를 앞세운 일본도 따라왔다. 거기다 미국이 2010년대 들어서 스페이스X를 필두로 우주기술이 급가속을 거듭하고 있는 상태라 유럽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는 상태.[3]

2. 시리즈

보통 미국계 로켓들이 로마자 표기법으로 명칭을 정하고 숫자도 메인 엔진 개수로 이름짓는 것과 달리 아리안 시리즈는 1세대, 2세대, ...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2.1. 아리안 1 - 아리안 2 - 아리안 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아리안 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아리안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5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아리안 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리안 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아리안 넥스트

아리안 6의 뒤를 이어 2030년대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차세대 로켓이다.

아리안 넥스트의 목적은 아리안 6의 상업적 임무 수행 시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다. 아리안 5부터 사용하던 액체수소/액체산소 로켓엔진 대신 메탄과 액체산소의 혼합물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프로메테우스 엔진이 탑재된다. 프로메테우스 엔진은 100톤급(980kN)의 추력을 가지며 30~110%의 추력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3~5회 재사용이 가능한 메탄 엔진으로, 엔진의 50%를 금속 3D 프린팅으로 제작한다. 이 엔진은 아리안 5의 1단 엔진의 10분의 1 가격에 제작하는 것이 목표이며, 아리안 6 후속 버전에도 탑재된다.

아리안 넥스트는 아리안 6와 동일하게 2단으로 구성되며, 1단에는 프로메테우스 엔진 7~9기를 클러스터링해 스페이스X 팰컨 9과 유사하게 2단에서 분리된 후 지면에 수직으로 착륙해 재사용이 가능하다. 2단에는 프로메테우스 엔진 1기를 사용할 계획이다. 기본 버전 이외에도 2개의 소형 액체연료 부스터를 탑재한 버전과 팰컨 헤비와 유사하게 1단과 동일한 부스터 2개를 탑재한 버전이 검토되고 있다.

아리안 넥스트에 적용되는 수직이착륙(VTVL) 기술은 소형 수직이착륙 시연체인 FROG와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 독일 항공우주센터, JAXA가 공동으로 개발한 재사용 로켓 시연체 CALLISTO, 그리고 이르면 2023년에 첫 발사가 예정된 ESA의 재사용 로켓 시험발사체인 Themis 개발 프로그램에서 얻은 교훈으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2021년 아리안그룹의 전액 출자 자회사인 MaiaSpace가 설립됐는데 이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소형위성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MaiaSpace에서 개발하고 있는 Maia는 Themis에서 파생되어 마찬가지로 프로메테우스 엔진을 사용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수직이착륙 로켓이다. 팰컨 9의 미니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Maia 로켓의 구성은 총 4가지로 지구 저궤도(LEO)에 500kg~1,000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는 소형발사체이다. 부스터가 장착된 확장 버전은 최대 1.5t의 소형과 중형 위성을 운반할 수 있다. 첫 비행은 2026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1] 참고로 이 아리안은 히틀러가 주장한 아리안(aryan, 아리아족)과는 전혀 상관없으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신 아리아드네의 프랑스 명칭이다. 나치 독일의 침략, 점령을 겪었던 프랑스가 나치에서 좋아할 단어를 자신의 로켓 이름으로 사용할리도 없고. [2] 간단하게, 나사 ULA, 스페이스X 와의 관계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3] 물론, 아직 ESA의 우주 기술은 3위가 맞다, 로제타 같은 탐사선을 소행성에 보낸 것이나, 미국의 유인 우주선 오리온의 기계실에 쓰일 만큼 성능과 가격이 충실한 ATV 라던가